도서 소개
김영훈 시인의 시집 《소담소담》은 삶의 굴곡진 고비 속에서도 신앙, 사랑, 고통, 기적에 대해 고백하듯 써 내려간 시편들을 모았다. 종교적 체험 그리고 사랑과 후회에 이르기까지, 시인은 삶의 흔들림을 오롯이 받아들이며 자신의 마음을 ‘시’라는 이름으로 소담히 담아낸다.
때론 산문처럼, 때론 편지처럼 흐르는 시어는 거칠고 솔직하면서도 내면 깊은 울림을 안긴다. 한 사람의 ‘사람됨’과 구도자의 진심이 응축된 이 책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다정한 온기를 전해주는 작은 성서와도 같다.
출판사 리뷰
소박하고 다정한 시 한 공기, ‘소담소담’ 담아낸 이야기
김영훈 저자의 시집 《소담소담》은 한 인간의 내밀한 고백을 시로 풀어낸 작품집이다. 그의 시는 격식을 갖추기보다는 삶을 밀착해서 붙잡고자 하는 몸짓에 가깝다. 이 시집은 신에 대한 갈망과 회의, 그리고 사랑과 상실의 경험까지 작가 자신의 모든 굴곡진 감정을 시라는 형태로 꾹꾹 눌러 담고 있다. 산문과 운문의 경계를 넘나들며 흐르는 문장들은 날 것 그대로의 감정을 여과 없이 쏟아내는데, 이 솔직함이야말로 《소담소담》의 가장 큰 미덕이다.
이 시집은 어느 한 편의 시로 압축되기 어렵다. 편지 형식으로 누군가에게 고백하는 글도 있고, 자신이 겪은 신비한 체험을 시처럼 쓴 장면도 많다. 일견 조심성 없이 툭툭 던져지는 말처럼 보이지만, 그 속에는 마음이 맨살처럼 드러나 있다. 다소 과장되거나 감정이 격한 부분이 있어 호불호가 갈릴 수는 있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인은 자신을 감추지 않는다. 오히려 모든 실수와 망설임, 미련과 소망까지 드러낸 채 독자 앞에 선다.
특히 인상적인 건, 신과 인간 사이에서 길을 잃고 헤매는 영혼의 목소리다. 신에게 벌을 받은 것 같다고 고백하다가도, 다시 축복을 받았다고 느끼는 장면들이 반복된다. 이 복잡하고 뒤엉킨 감정의 물결은 시인의 삶을 그대로 투사하는 거울과도 같고, 독자 또한 자신의 어떤 시간을 떠올리게 만든다. 사랑에 대한 회한과 그리움도 시집 전반에 흐르고 있다. 그는 누군가에게 줄 수 있는 게 마음뿐이었다고 말하면서도, 그 마음이 너무 커서 무거운 죄처럼 느껴진다고 말한다.
《소담소담》은 시인의 삶 자체가 시가 된 작품이다. 고운 말로 감정을 꾸미지도 않고, 화려한 수사로 삶을 덮지도 않는다. 그래서 어떤 시는 투박하고, 어떤 시는 거칠며, 또 어떤 시는 숨 막히도록 애잔하다. 하지만 그것이 바로 이 시집의 진심이며, 이 책을 읽는 가장 정확한 자세는 아마 ‘조용히 곁에 앉아 들어주는 것’일 것이다. 시를 읽는다는 행위가, 결국 누군가의 삶을 조용히 들어주는 일이기도 하니까.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영훈
너보다 잘산다보다 잘산다다 잘산다잘산다산다집착하는 것을 버릴수록우리는 한껏 나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