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임대근
한국과 중국, 아시아 여러 지역의 문화가 더욱 건강하고 활기차게 상호 교류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중국영화와 대중문화, 아시아에서의 한류, 21세기 문화콘텐츠, 문화정체성과 스토리텔링 등의 관심 분야를 중심으로 강의, 저술, 번역에 힘쓰고 있다. 『문화콘텐츠연구』, 『한류, 다음』(공저), 『세계의 영화 영화의 세계』(공저), 『한국영화의 역사와 미래』(공저) 등의 책을 지었다. 한국외대에서 중국어를 공부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중국영화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대 인제니움칼리지 교수이자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회장, 사단법인 아시아문화콘텐츠연구소 대표, 전주국제단편영화제 조직위원장, 한국문화콘텐츠비평협회 회장 등을 맡고 있다.
지은이 : 김소영
한신대학교 인문콘텐츠학부 영상문화학전공 초빙강의교수. 아시아문화콘텐츠연구소 이사를 맡고 있다. 영화를 비롯한 영상콘텐츠와 예술 장르 전반을 매체철학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 중이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세계문화예술경영 및 문화콘텐츠 융합전공에서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예술과 문화콘텐츠가 있으며, 주요 영화 논문으로는 레비나스의 타자 윤리학으로 바라본 '인 어 베러 월드', 차이밍량 영화의 공간: 밤의 체제가 떠도는 미궁, '토리노의 말'에 나타난 시간-이미지의 사유 등 다수가 있다.
지은이 : 백해린
한국외국어대학교 외래교수, 아시아문화콘텐츠연구소 책임연구원이다. 문화콘텐츠 분석과 수용자 연구, 비교문화연구에 관한 연구 활동을 수행 중이며, 세계문화예술경영과 문화콘텐츠 전공에서 영화 및 문화콘텐츠 이론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저서 『콘텐츠 속 한국문화&중국문화』 와 주요 논문으로 「한·중·일 관객의 영화 수용 특성에 대한 비교문화론적 연구」, 「장르 영화 문법을 통해 본 한국과 홍콩 느와르 영화」 등이 있다.
개정증보판 머리말
머리말
제1장 영화의 도착부터 ‘코리안 뉴웨이브’까지: 1919년-1980년대
1. 활동사진에서 유성영화까지
(1) 활동사진과 무성영화
(2) 상업영화와 민족영화
(3) 식민지 시대의 유성영화
2. 해방 후 영화 산업과 장르영화
(1) 해방 후 한국영화
(2) 한국영화의 중흥기
(3) 한국영화의 르네상스
3. 유신 시대에서 민주화 시대로
(1) 통제와 불황의 시기
(2) 문화정치와 에로티시즘
(3) 코리안 리얼리즘
제2장 한국영화의 전문화, 다양화, 국제화: 1990년대 이후
1. 상업적 작가주의의 등장
(1) 영화 산업의 기업화
(2) 작가주의와 상업적 작가주의
(3) 한국형 블록버스터
2. 웹툰 원작 영화의 성행과 OSMU
(1) 웹툰의 탄생과 한국 영화 산업
(2) 한국영화의 OSMU
(3) 웹툰 원작 영화의 대중성
3. 할리우드영화 제작사와의 협업
(1) 한국 합작영화의 역사
(2) 한국영화의 세계화
(3) 한국과 할리우드의 협업
제3장 한국영화의 작가주의
1. 미장센 속에서 피어나는 미학: 임권택, 이명세, 박찬욱
(1) 임권택: 전통과 상업성 사이에 선 구도자
(2) 이명세: 양식의 실험을 즐기는 스타일리스트
(3) 박찬욱: B급 정서로 웰메이드 영화를 만들다
2. 예술성과 상업성의 조화: 봉준호, 김지운, 최동훈
(1) 봉준호: 오락적인 이데올로기 영화
(2) 김지운: 장르의 법칙과 고유의 미학 사이
(3) 최동훈: 할리우드 액션물의 한국화
3. 일상성과 이데올로기의 만남: 장선우, 홍상수, 이창동
(1) 장선우: 하나의 법칙에 얽매이지 않기 위한 고뇌
(2) 홍상수: 즉흥적인 순간을 포착하다
(3) 이창동: 현실적인 공간, 예술적인 이야기
제4장 한국 장르영화의 경향
1. 시대별 장르의 변화
(1) 1960년대: 의무 제작 편수에 의한 양적 범람
(2) 1970년대: 멜로드라마, 호스티스 영화, 하이틴 영화
(3) 1980년대: 사회적, 역사적, 성적 담론의 형성
2. 코리안 뉴웨이브
(1) 코리안 뉴웨이브의 등장
(2) 코리안 뉴웨이브의 특징
3. 장르영화의 확장
(1) 기획영화와 상업적 작가주의의 등장
(2) ‘텐트폴 영화’의 등장
제5장 한국영화의 정책과 산업
1. 영화정책의 기능과 의미
(1) 보호 기능: 자국 영화와 문화 주권의 방어
(2) 진흥 기능: 산업 육성과 생태계의 확장
(3) 규제 기능: 표현의 자유와 공공성의 조율
2. 한국영화의 주요 정책
(1) 일제강점기의 영화 통제 정책
(2) 스크린쿼터(screen quota)
(3) 영상물 등급 제도
(4) 영화진흥위원회
3. 한국영화 산업의 성장
(1) 제작과 상영
(2) 영화 산업 매출
4. 영화제의 성행과 명암
(1) 부산국제영화제(BIFF)
(2)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BiFAN)
(3) 전주국제영화제(JIFF)
제6장 한국영화의 미래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