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예술,대중문화
일본 미술관 건축의 비밀  이미지

일본 미술관 건축의 비밀
빛과 지형, 사람을 담은 일본 미술관 이야기
북랩 | 부모님 | 2025.09.05
  • 정가
  • 19,000원
  • 판매가
  • 17,100원 (10% 할인)
  • S포인트
  • 95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5 | 0.359Kg | 276p
  • ISBN
  • 9791172247959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지역 공공시설 중 미술관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외국의 유명한 미술관은 필수 관광 코스에 포함되어 있다. 프랑스의 루브르 미술관, 이탈리아의 바티칸 박물관, 아부다비 루브르 미술관 등이 대표적이다. 스페인 빌바오의 구겐하임 미술관은 수많은 사람이 찾는다. 일본 나오시마에 있는 치추 미술관, 이우환 미술관도 예외가 아니다. 미술관이 지역개발의 주역이 되고 있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미술관의 미술품이 아니라, 건축에 초점을 맞추었다. 공학박사이며 건축가인 작가는 이 책에서 미술관의 가치와 의미, 주제별로 10개의 일본 미술관의 특성과 시사점, 미래 미술관의 방향을 주로 다루었다. 미술관의 탄생과 기획 의도, 배치와 구성, 평면 및 입면, 빛 연출 및 색채 계획, 건축가의 생각, 작품(컬렉션)과의 조화, 건립에 관계된 사람들의 노력 등에 대해 세밀하게 분석 정리했다. 풍부한 사진과 자료를 수록하여 건축을 공부하지 않은 사람도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작가가 살펴본 일본 미술관은 장소에 적합하고 전하는 메시지도 뚜렷하다. 작가의 목표는 이와 같은 미술관을 설계하고 지을 때 필요한 자료 제시이다. 일본 미술관 건축 사례를 통해 우리 미술관 건축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우리의 미술관 건축의 기획, 설계, 시공에 필요한 자료,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한다. 일본 미술관을 단순히 모방하는 차원을 넘어 우리의 수준을 높이고 아름답고 개방적인 미술관 만들기에 이바지하고 싶은 마음을 담았다.

  출판사 리뷰

미술관은 예술을 담는 그릇이며,
그 그릇 자체가 또 하나의 예술이다!

도시를 살리고 건축적 상상력이 살아 숨 쉬는
일본 미술관 10곳의 공간 철학

좋은 건축은 지역을 살리고,
사람을 불러모으며, 문화를 꽃피운다!

도시와 사람, 예술과 삶이 만나는 공간,
미술관 건축의 공공성과 장소성을 꿰뚫는
건축가 김강섭의 치열한 기록


지역 공공시설 중 미술관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외국의 유명한 미술관은 필수 관광 코스에 포함되어 있다. 프랑스의 루브르 미술관, 이탈리아의 바티칸 박물관, 아부다비 루브르 미술관 등이 대표적이다. 스페인 빌바오의 구겐하임 미술관은 수많은 사람이 찾는다. 일본 나오시마에 있는 치추 미술관, 이우환 미술관도 예외가 아니다. 미술관이 지역개발의 주역이 되고 있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미술관의 미술품이 아니라, 건축에 초점을 맞추었다. 공학박사이며 건축가인 작가는 이 책에서 미술관의 가치와 의미, 주제별로 10개의 일본 미술관의 특성과 시사점, 미래 미술관의 방향을 주로 다루었다. 미술관의 탄생과 기획 의도, 배치와 구성, 평면 및 입면, 빛 연출 및 색채 계획, 건축가의 생각, 작품(컬렉션)과의 조화, 건립에 관계된 사람들의 노력 등에 대해 세밀하게 분석 정리했다. 풍부한 사진과 자료를 수록하여 건축을 공부하지 않은 사람도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작가가 살펴본 일본 미술관은 장소에 적합하고 전하는 메시지도 뚜렷하다. 작가의 목표는 이와 같은 미술관을 설계하고 지을 때 필요한 자료 제시이다. 일본 미술관 건축 사례를 통해 우리 미술관 건축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우리의 미술관 건축의 기획, 설계, 시공에 필요한 자료,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한다. 일본 미술관을 단순히 모방하는 차원을 넘어 우리의 수준을 높이고 아름답고 개방적인 미술관 만들기에 이바지하고 싶은 마음을 담았다.
건축을 공부하는 사람, 미술관을 설계하는 사람, 미술관 건축을 연구하는 사람, 미술관 건립과 기획을 담당하는 사람에게 『일본 미술관 건축의 비밀』은 매우 필요한 자료이자 근거가 되어줄 것이다. 나아가 한 번이라도 미술관에 가 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재미있게 일본 미술관 탐방을 같이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삶을 더욱 건강하고 향기롭게 가꾸어줄 ‘예술을 담은 예술’인 미술관 건축의 여행에 당신을 초대한다.

오사카 국립 국제미술관 구관은 1970년 일본 만국박람회를 계기로 건립되었다. 국내 · 외 현대미술을 중심으로 작품을 수집, 보관, 조사, 전시를 목적으로 개관하여 제2차 세계대전 후 현대 미술품을 주로 수집 전시했다. 그러나 노후화로 인한 문제와 도심부 전시를 목표로 새로운 미술관 건립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미국인 건축가 시저 펠리(Cesar Pelli)가 설계하여 2004년에 건립되었다.
미술관 역사는 60여 년을 거슬러 올라간다. 준공 후 45년 정도 지나자, 사용의 불편함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었다. 그리하여 오사카 나카노지마(中之島) 서부 지역에 완전 ‘지하형 미술관’으로 신축하여 이전했다. 방문자는 히고바야시역에서 내려 도보로 다리를 건너면 미술관을 만난다. 다리 아래에는 도지마천(堂島川)이 흐른다. 이 미술관은 타원형의 오사카 시립과학관과 함께 시(市)의 랜드마크이다.
미술관은 시민에게 더 친근하게 다가가고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곳에 있다. 뉴욕의 구겐하임미술관, 파리의 루브르미술관과 같이 도심에 있는 미술의 중심시설로서 도시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아마도 현 부지는 후쿠타케 소이치로가 쭉 마음에 두고 있었던 미술관 후보지였던 듯하다. 부지는 치추 미술관에서 나오시마 현대미술관으로 향하는 중간 지점에 있다. 바다에 접한 골짜기에 있다. 골짜기에선 멀리 수평선이 보인다.
미술관은 바다와 산으로 둘러싸인 완만한 협곡 사이에 지어졌다. 미술관 전면은 바다까지 시야가 트여 있고 좌우와 뒤는 온통 산이다. 부지 면적은 9,860㎡이고 주변은 녹지와 숲으로 둘러싸여 있다. 미술관 입구는 섬을 순환하는 도로와 접해 있고 미술관은 이곳에서부터 시작된다. 입구에는 사람이 머물 수 있는 둥근 형태의 공간이 있고 가벽은 미술관으로 이어진다. 미술관은 도로 아래에 위치하며 골짜기에 끼워진 형상이다.

예술은 삶에 연결되고 현실 세계에서 발견할 수 있는 모든 감각을 자극한다. 예술 작품을 담는 미술관은 일상의 삶에 직접 관계한다. 그러므로 미술관에서 누릴 수 있는 혜택은 가능한 한 많은 사람이 공유해야 한다.
공간은 우리 삶의 모습을 그대로 담는다. 한순간도 공간을 벗어나 살아갈 수 없다. 공간이 어떠한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는가에 따라 만남과 소통의 양식이 결정된다. 어떤 관계를 만들어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공간이므로 우리가 끌리는 공간이 우리에게 필요하다.
그 공간은 삶에 관한 이야기로 채워져야 한다. 미술관은 삶의 감각을 사람과 공유할 수 있는 곳이므로 사람과의 관계를 맺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강섭
1969년 경남 하동에서 태어나, 진주고, 경상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2004년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일본공업대학(Nippon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박사후과정(Post Doc.)을 마쳤으며 경남발전연구원, 농어촌연구원에서 지역개발 분야에 관해 연구했다.현재 한국농어촌공사에 재직 중이며 일본의 현대 건축과 주거, 지역개발 정책, 농어촌 주거 등에 대한 약 50편의 논문과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건축의 사회적 역할, 친환경 건축, 건축문화 개혁, 농어촌 주거 문제와 정책 개발 등이 주요 관심 분야이다.저서로는 『행복한 건축인의 약속』(2015년), 『건축직설』(2018년)이 있으며 『건축직설』은 2018년 교양 부문 세종 도서로 선정되었다. 건축의 기본과 원칙을 지키는 정직한 건축하기, 좋은 건축, 인간을 존중하는 생명의 건축을 현실화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목차

글을 시작하며

1부 | 미술관의 가치
미술관의 의미
미술관이란
미술관 건축의 역할
미술관 디자인과 공공성
공공성의 정의와 필요성
공익적 가치 실현
미술관 건축의 동향
교육적 장소
제3의 공간과 체험
지역 활성화
미술관 설계와 문화 창출

2부 | 일본 미술관의 비밀
공공성(公共性) ― 가나자와(金沢) 세기 미술관
지역 개선과 문화 창조
개방적인 배치와 접근성
둥글고 단순한 기하학적인 평면
다양한 빛 연출과 수평적 형태
투명한 외피로 인한 개방성과 투명성
공공적 가치
시민을 위한 공간
3C와 오아시스

지역성(地域性) ― 토미히로 미술관(富弘美術館)
시화 작가를 위한 공간
미술관이 위치한 자리
국제 설계 경기와 설계 개념
원으로 조합된 정방형 평면
깔끔한 단면과 외관
연속적이며 자유로운 공간 체험
그림에 방해되지 않는 색채 계획
지역 부흥과 투어리즘

관계성(關係性) ― 오사카(大阪) 국립 국제미술관
도심 속 지하형 미술관
완전한 지하형 부지, 만남을 연출하는 설계
예술의 세계로 진입, 엔트런스 게이트
광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수공간
개방적인 평면과 공공성
빛으로 인도되는 미술과의 만남
지하와 하천을 고려한 설계와 시공의 묘수
도심지의 열린 미술관

물(水) ― 오사카부립 샤야마이케(狹山池) 뮤지엄
역사와 함께하는 뮤지엄
뮤지엄 기획 의도
저수지와 일체화된 건축물 배치
평면 구성 및 단면 구조
구조적 힘이 느껴지는 덩어리
물의 향연
환경 뮤지엄

빛(光) ― 폴라(Pola) 미술관
기업 이념과 미술관의 탄생
접근성과 사전 조사
지형을 이용한 배치와 구성
자연과 공존하는 하이테크 건축
빛과 푸름을 느끼는 미술관
단순한 평면 구성과 특성
건축 구조와 안전성
빛 환경 디자인과 조명 설계
숲 산책로와 자연

지형(地形) ― 치추(地中) 미술관
자연과 나오시마
미술관 탄생과 접근성
외부 세계와의 단절, 내부로의 연결
지형의 이용과 구축
미술품을 담는 건축적 그릇
빛의 연출
보이지 않는 환경으로서의 건축
세상에 하나뿐인 미술관

환경(環經) ― 이우환(李禹煥) 미술관
이우환의 예술 세계
위치와 배치
또 하나의 치추 미술관
기둥의 광장
네 개의 방으로 된 평면 구조
돌과 철판
작가와 건축가의 협업

장소성(場所性) ― 나오시마(直島) 현대미술관
낭만적인 접근성과 광장
자연 속에 뿌리내린 건축
땅을 해석한 설계
기하학적 평면 및 공간 구성
자연을 거스르지 않는 조화로운 건축
장소 특정적 미술과 건축
나오시마 개발의 성공과 의의

형태(形態) ― 키리시마(霧島) 아트 미술관
예술의 숲 기본 구상
지형의 특성을 살린 배치
직사각형의 단순한 평면 구성
조각을 닮은 입방체
튜브 형태의 단면 구조
자연광을 끌어들이는 전시 공간
예술 교류의 거점 시설

자연(自然) ― 군마현립 타테바야(館林)시 미술관
전원 속에 자리 잡은 미술관
자연 속 입지와 접근성
조형적인 배치
체험적인 동선 구조
풍경처럼 보이는 뮤지엄
이상적인 조명과 빛 연출
지면에 놓인 추상화된 풍경

3부 | 미술관의 미래
문화의 선두 주자
문화 예술의 생산자
일상을 담는 휴식 공간
공공을 위한 열린 공간: 공공성
장소에 적합한 건축: 장소성
지역 재생 및 활성화
미술관 건축의 새로운 모색
배치 및 입지
자연 확장으로서의 건축
평면 디자인
형태 디자인
조명과 빛 디자인

글을 마치며
참고 문헌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