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천안은 고대 왕들의 화려한 유물이 출토되는 지역은 아니지만 보통 사람들이 남긴 뜻깊은 이야기가 많은 곳이다. 고려 태조 왕건이 주목했고, 인근 지역을 잇는 교통의 요충지로서 수많은 사람이 만나 의미 있는 사건을 만들었다. 그리고 시대의 억압에 저항하며 새로운 해방구를 만든 ‘독립운동의 고장’이기도 하다. 『아이랑 손잡고 천안』은 우리 고장의 선생님들이 직접 선정한 천안의 역사, 문화, 지리 명소 모음집이다. 우리 아이랑 다녀 볼 만한 사찰, 광장, 과학관, 공원 등 다양한 역사 유적을 소개하고 있다. 이번 주말에 우리 아이랑 뭐 하면 좋을까 고민하며 인터넷 검색창에 ‘아이랑’을 쳐 본 경험이 있는 모두가 반길 만한 책이다.
2022 개정교육과정에는 ‘지역교육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초등학교 3, 4학년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교사와 학부모가 지역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도서는 별로 없다. 기존의 지역 교육은 주로 문화재적 관점이나 국가 규모의 관점에서 다뤄져 학생들이 내 삶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기 어려웠다. 『아이랑 손잡고 천안』은 ‘유구함’, ‘위인’, ‘충절’ 등에 주목하는 국가적 관점에서 벗어나 지역을 소개하되 나와의 거리를 좁힐 수 있는 다양한 사람들의 삶의 맥락을 담고 있다. 학생들은 실제 내 고장의 지역사를 다룰 때 더욱 흥미를 갖는다.
선생님들이 현장에서 들려주는 천안 지역의 지명, 다양한 역사 유적, 고장의 인물들까지 꼼꼼하게 정리한 이 책은 우리 아이들에게 지역에 관한 호기심을 일깨워 주고, 우리 고장에 깃든 다양한 이야기를 알려주고 싶은 학부모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 또한 중학교 ‘학교자율시간’을 활용한 지역 교육이나 역사교육에서 지역사를 활용하여 교육하고 싶은 교사에게 분명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것이다.
출판사 리뷰
반짝이는 우리 아이들과 천안 곳곳을 누비며
즐겁게 이야기하는 모습을 상상합니다
천안은 고대 왕들의 화려한 유물이 출토되는 지역은 아니지만 보통 사람들이 남긴 뜻깊은 이야기가 많은 곳이다. 고려 태조 왕건이 주목했고, 인근 지역을 잇는 교통의 요충지로서 수많은 사람이 만나 의미 있는 사건을 만들었다. 그리고 시대의 억압에 저항하며 새로운 해방구를 만든 ‘독립운동의 고장’이기도 하다. 『아이랑 손잡고 천안』은 우리 고장의 선생님들이 직접 선정한 천안의 역사, 문화, 지리 명소 모음집이다. 우리 아이랑 다녀 볼 만한 사찰, 광장, 과학관, 공원 등 다양한 역사 유적을 소개하고 있다. 이번 주말에 우리 아이랑 뭐 하면 좋을까 고민하며 인터넷 검색창에 ‘아이랑’을 쳐 본 경험이 있는 모두가 반길 만한 책이다.
2022 개정교육과정에는 ‘지역교육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초등학교 3, 4학년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교사와 학부모가 지역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도서는 별로 없다. 기존의 지역 교육은 주로 문화재적 관점이나 국가 규모의 관점에서 다뤄져 학생들이 내 삶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기 어려웠다. 『아이랑 손잡고 천안』은 ‘유구함’, ‘위인’, ‘충절’ 등에 주목하는 국가적 관점에서 벗어나 지역을 소개하되 나와의 거리를 좁힐 수 있는 다양한 사람들의 삶의 맥락을 담고 있다. 학생들은 실제 내 고장의 지역사를 다룰 때 더욱 흥미를 갖는다.
선생님들이 현장에서 들려주는 천안 지역의 지명, 다양한 역사 유적, 고장의 인물들까지 꼼꼼하게 정리한 이 책은 우리 아이들에게 지역에 관한 호기심을 일깨워 주고, 우리 고장에 깃든 다양한 이야기를 알려주고 싶은 학부모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 또한 중학교 ‘학교자율시간’을 활용한 지역 교육이나 역사교육에서 지역사를 활용하여 교육하고 싶은 교사에게 분명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것이다.
독립운동의 고장 천안은 탈식민, 저항, 인권, 민주주의 등의 가치를 다루는 민주시민교육을 시작하기에 매우 적절한 지역이다. 『아이랑 손잡고 천안』으로 우리 지역에 대한 애향심을 깨우는 현장체험학습을 누구나 기획하기를 바란다.
저자 소개
충남지역사교육연구회
김경태 아산교육지원청 장학사
김선명 천안업성고등학교 교사
김정미 배방고등학교 교사
김지현 계룡고등학교 교사
유효경 온양신정초등학교 교사
이미소 서산중앙고등학교 교사
이상민 천안오성중학교 교사
이수영 충남외국어고등학교 교사
이현미 설화고등학교 교사
이효주 수청초등학교 교사
임병조 천안쌍용고등학교 교사
조혜선 이순신고등학교 교사
한성준 (전)충남반도체마이스터고 교사
목차
들어가며
테마 01 태조 왕건의 도시 천안
| 왕건이 올라 천하 통일을 꿈꿨던 곳•태조산
| 왕건이 사랑한 땅, 흔적만 남은 영광의 시대•천흥사지
| 통일 염원을 담다•청동대불상과 각원사
| 고려 현종의 사람을 위한 마음•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테마 02 조선 시대, 이야기 가득한 삼거리의 고장 천안
| 사람과 이야기가 모이는 곳•천안삼거리
| 교육과 통치를 넘어 생활의 장소로•천안의 세 향교
| 조선의 코페르니쿠스를 찾아서•홍대용 과학관
| 은석산 계곡길 따라 걷는 문화탐방로•암행어사 박문수 테마길
테마 03 세성산과 성거산에서 새로운 세상을 꿈꾸다
| 평등하고 정의로운 세상을 꿈꾼•세성산, 동학농민혁명군 전적지
| 하늘 아래 평등을 꿈꾸며•성거산 교우촌
테마 04 그날의 함성, 3·1운동의 고장 천안
| 함께 모여 독립을 염원하다•아우내독립만세운동 기념공원과 기념비
| 마음을 이끄는 소녀 독립운동가•유관순 열사 사적지
| 지금도 그날의 함성이 메아리치는 곳•입장기미독립기념탑
테마 05 독립의 염원과 여정을 간직한 천안
| 푸른 자연 속 독립의 의미를 되새기다•독립기념관 야외
|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흔들림 없이 지켜냈던 터줏대감•이동녕 기념관
| 잊힌 죽음을 기억하는 곳•국립 망향의 동산
테마 06 식민지를 딛고 평화와 민주주의로
| 식민지 농촌 사회의 삶과 모순을 묘사한 문학 작품•민촌 이기영의 ‘고향’ 길
| 천안에서 친일파 연구의 디딤돌을 놓다•임종국과 요산재
| 시민의 힘으로 만들어가는 민주주의•신부 평화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