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어거스틴 『고백록』의 자서전적 감동에서 신학의 핵심 주제까지. 기억(10권), 시간(11권), 창조(12권), 창세기 1장 해석(13권)을 입문자의 눈높이로 한 권에 담다. 『고백에서 신학으로』는 신학교 강의 현장에서 다듬어진 노트를 토대로, 『고백록』의 방대한 신학·철학적 지평을 처음 읽는 독자도 따라올 수 있게 정리한 안내서이자 해설서다. 저자는 “전문 연구서”가 아니라 『고백록』을 공부하려는 이들에게 “유익한 입문서”가 되기를 목표로 한다.
『고백에서 신학으로』는 단순한 해설서를 넘어, 어거스틴 『고백록』의 체험적 고백과 치밀한 사유를 한 호흡으로 건너가게 해주는 다리다. 특히 많은 독자들이 난제로 느끼는 10-13권-기억, 시간, 무(無)로부터의 창조, 창세기 1장 해석-을 “철학 개론”으로 따로 떼어내지 않고, 1-9권의 회심 서사와 자연스럽게 접속시키는 편집 감각이 돋보인다.
저자는 핵심 개념을 신학적 용어 그대로 두되, 일상의 어휘와 비유로 뜻을 “열어” 주며, 원전의 문장 한두 구절을 징검다리처럼 삼아 독자를 다음 사유의 방으로 이끈다. 덕분에 독서는 더디지만 단단하고, 난해함은 남되 낯섦은 줄어든다.
출판사 리뷰
어거스틴 『고백록』의 자서전적 감동에서 신학의 핵심 주제까지기억(10권), 시간(11권), 창조(12권), 창세기 1장 해석(13권)을 입문자의 눈높이로 한 권에 담다.
『고백에서 신학으로』는 신학교 강의 현장에서 다듬어진 노트를 토대로, 『고백록』의 방대한 신학·철학적 지평을 처음 읽는 독자도 따라올 수 있게 정리한 안내서이자 해설서다. 저자는 “전문 연구서”가 아니라 『고백록』을 공부하려는 이들에게 “유익한 입문서”가 되기를 목표로 한다.
『고백에서 신학으로』는 단순한 해설서를 넘어, 어거스틴 『고백록』의 체험적 고백과 치밀한 사유를 한 호흡으로 건너가게 해주는 다리다. 특히 많은 독자들이 난제로 느끼는 1013권기억, 시간, 무(無)로부터의 창조, 창세기 1장 해석을 “철학 개론”으로 따로 떼어내지 않고, 19권의 회심 서사와 자연스럽게 접속시키는 편집 감각이 돋보인다. 저자는 핵심 개념을 신학적 용어 그대로 두되, 일상의 어휘와 비유로 뜻을 “열어” 주며, 원전의 문장 한두 구절을 징검다리처럼 삼아 독자를 다음 사유의 방으로 이끈다. 덕분에 독서는 더디지만 단단하고, 난해함은 남되 낯섦은 줄어든다.
이 책의 장점은 무엇보다 “왜 어거스틴이 이렇게 썼는가”라는 질문을 중심축으로 삼는 읽기 방식이다. 회고(기억)에서 시간의 신비로, 시간에서 창조 질서로, 창조에서 말씀·교회·은총의 신학으로 이어지는 사유의 동선을 따라가다 보면, 『고백록』이 경건한 문학을 넘어 교리·영성·해석학을 엮어낸 거대한 신학적 기획이었음을 자연스레 체감한다. 과도한 학술 장식 없이도 논증의 뼈대가 분명하고, 강의실에서 검증된 설명답게 예상 질문에 선제적으로 답한다는 점도 신뢰를 더한다.
현장 목회자와 신학생은 물론, 인문 독서 모임 리더에게도 이 책은 유용하다. 감동적인 ‘기도문’과 날 선 ‘철학’ 사이에서 균형을 잃지 않고, 묵상의 온도와 사유의 밀도를 동시에 확보하기 때문이다. 이미 『고백록』을 여러 번 시도했지만 1013권에서 멈추었던 독자라면, 본서는 완독을 가능하게 하는 새 길잡이가 될 것이다. 고전을 처음 펼치는 이에게는 친절한 길라잡이로, 익숙한 독자에게는 ‘왜’의 차원에서 다시 읽게 만드는 재독의 계기로 추천한다.
“『고백록』은 인류 역사상 최초로 자기 마음 깊숙이 들어가 철저히 인간의 본질을 분석한, 죄의 고백이자 영성의 고전이다.”
이 책의 특징
*완독을 돕는 전권(113권) 로드맵: 권별 핵심 주제와 신학적 의미를 한 눈에 잡도록 구성(목차 수록).
*난이도 높은 후반부의 ‘문턱 낮추기’: 기억·시간·창조·창세기 해석 등 철학·해석학적 난제를 입문 수준으로 설명.
*‘왜 이렇게 썼는가’에 답하는 읽기: 저술 동기·구조·읽는 방법을 앞부분에서 정리해 독서 동선을 제시.
*현대 신학·철학과의 연결: 말씀·교회·은총·성령론의 토대와 존재론·인식론·해석학과의 접점을 소개.
*강의실에서 증명된 설명력: 신대원 강의 경험에서 출발한 실전형 해설.
권장 독자
*『고백록』을 처음 읽거나, 여러 번 시도했지만 1013권에서 멈춘 독자
*신학·철학·인문 독서 모임의 필독 가이드가 필요한 리더
*설교·강의·세미나를 준비하는 목회자와 신학생
작가 소개
지은이 : 정병준
• 장로회신학대학교(Th.B, M.Div.)• 프린스턴신학대학원(Th. M.)• 멜버른신학대학원(Th.D.)• 서울장신대학교 교회사 교수• 한국기독교역사학회 회장• 한국장로교회역사학회 회장• 총회 역사위원회 자문위원• 한국기독공보 논설위원• 세계선교협의회(CWM) 이사(전), 프로그램 자문위원• 제8회 알렌기념상 수상(2025)• 부천하늘소망교회 개척 설교목사(전)• 원미동교회 협동 목사[저서]『호주장로회 선교사들의 신학사상과 한국선교 1889-1942』(2007)『무학교회 60년사』(2009)『한 권으로 읽는 기독교 역사와 사상』(2011 개정증보, 2016, 2019)『小竹 강신명 목사의 생애와 사상』(2016)『기독교 영성산책』(2021)『한국교회 역사 속 에큐메니컬 운동』(개정, 2024)『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100년사: 미래로 열린 100년의 기억』(2015). 공저[역서]엘시 N. 맥키, 『개혁교회 전통과 디아코니아』(2000)나이난 코쉬, 『아시아 에큐메니칼 운동사 I, II』(2006). 공역 존 브라운, 『은혜의 증인:한국-호주선교 120주년 기념도서 』(2009)소피 크레인, 『기억해야 할 유산: 미국남장로회 한국의료선교역사』(2011)케네스 R. 로스, 『에큐메니칼 선교학』(2018). 공역라이언 로크스모,『팀메이트: 바울에게 배우는 11가지 리더십 전략』(2018)필립 쉘드레이크, 『미래로 열린 영성의 역사』(2020)
목차
머리말 4
책의 개관 7
제1권 유아기와 소년기 15
제2권 열여섯 되던 때의 청년기: 배나무 밑에서 29
제3권 카르타고의 학생 시절과 마니교 36
제4권 유혹하고 유혹받으며, 속고 속이는 삶 43
제5권 마니교의 감독과 기독교의 감독 62
제6권 기독교 신앙, 세상의 욕망 70
제7권 어거스틴의 지적 회심 83
제8권 마음의 회심: 무화과나무 밑에서 99
제9권 어거스틴의 세례와 모니카의 죽음 108
제10권 기억의 신비 119
제11권 시간과 영원 142
제12권 무로부터의 창조, 질료와 형상 155
제13권 창세기 1장에 대한 은유적 해석 178
부록 206
참고문헌 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