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최대영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생티벳불교 세계평화의 보병 12기 안장 주관백두대간 무중단 완주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원 불교풍수학과 석사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철학과(동양철학전공) 박사 네이버 블로그 ‘소불생사문화연구소’네이버 카페 ‘풍수 한마당’ 운영[저서 & 논문]『풍수지리(2012)』, 『혈을 찾아서(2018)』 『위성사진으로 혈 찾기(2022)』 「풍수 원리를 통한 양택 혈과 좌향 연구(2021)」 「풍수에 내재 된 中 개념 고찰(2022)」 「穴의 본원적 의미와 中 사상과의 연관성(2022)」 「중국 신화에 내재 된 '中' 사상 고찰(2022)」 「穴의 본원적 의미에서 본 中과 풍수(2023)
지은이 : 박대희
경북 봉화군 출생영남대학교 환경대학원 설계학과 한국참풍수지리학회 회장 역임경북 봉화군 부군수 역임경상북도 도청이전 추진본부장 역임삼한씨원 재직
프롤로그
제1장 풍수의 기준은 혈(穴) 9
1. 풍수란? 9
2. 풍수 불신 시대, 원인과 해법 11
가. 풍수 불신 시대 11
나. 불신의 근본 원인 12
다. 풍수 불신의 과정 13
라. 해법의 길 14
3. 혈을 찾아서 19
가. ‘혈’이 뭣고? 19
나. 혈의 현상적 의미 20
다. 혈의 어원적 의미 21
라. 혈의 본원적 의미 23
마. 혈과 함께 태동한 풍수 29
바. 혈의 중 사상 38
사. 혈에 내재 된 사상 39
아. 풍수에 스며든 혈의 중 사상 41
자. 혈에 내재 된 의미와 사상 종합 62
4. 좌향(坐向) 65
가. 자연방위론 66
나. 좌향(坐向) 설정 68
5. 풍수 혈의 개념과 평가 기준 설정 72
가. 혈의 개념 73
나. 평가 기준 74
제2장 혈을 기준으로 살펴본 사찰과 암자 76
1. 풍수 배움의 인연 장소로서 사찰 77
가. 천등산 봉정사 77
나. 봉황산 부석사 무량수전 82
2. 풍수 한반도 도입의 주역 87
가. 자장율사와 5대 적멸보궁 88
나. 의상대사와 화엄십찰 120
3. 미륵신앙의 탯자리 금산사 미륵전 135
가. 미륵신앙 135
나. 금산사 140
다. 미륵 할머니 145
라. 모악산의 혈처 147
4. 혈과 스님 149
가. 경허스님: 동학사천장사 149
나. 성철스님: 성전암백련암 158
다. 법정스님: 불일암 163
라. 서암스님: 원적사 167
5. 오대산과 오대 사상 172
가. 오대 사상 172
나. 오대산 풍수 173
6. 혈의 효능과 가치 189
부록 : 추맥(追脈) 194
1. 추맥이란 194
2. 추맥(追脈) 실전 207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