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2009년 출간된 <Paint It Rock>의 개정판으로,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록의 탄생부터 성장기를 다룬 전편에서 아쉬웠던 사항들을 교정하고 리뉴얼해 새롭게 펴냈다. 전편의 주인공들이었던 엘비스 프레슬리와 비틀즈, 롤링 스톤스, 에릭 클랩튼, 레드 제플린에 이어 블랙 사바스, 딥 퍼플, 퀸이 프롤로그를 장식하며 데이빗 보위, 이글스를 거쳐 메탈리카, 너바나, 그린데이, 오아시스, 라디오헤드로 이어지는 록 스타들의 숨가쁜 릴레이가 펼쳐진다.
방대한 록의 역사와 장르의 흥망성쇠를 일목요연하게 짚어내면서도 작가 특유의 거침없는 풍자와 비속어가 뒤섞여 역사서가 주는 편견을 말끔히 씻어내고 있다. 에피소드 별로 흥망성쇠를 거듭하는 장르와 당대의 아이콘이었던 록스타들의 기승전결 뚜렷한 스토리텔링, 그리고 치밀하게 짜여진 구성이 독자들을 거대한 락의 세계로 쉽게 몰입해 들어가게 한다.
출판사 리뷰
개성 있는 그림체와 유머, 해박한 음악적 지식으로 마니아들의 절대적 지지를 얻고 있는 작가 남무성의 『Paint It Rock, 만화로 보는 록의 역사』가 3부작으로 완간되었다. 『Paint It Rock, 만화로 보는 록의 역사』은 『Jazz It Up, 만화로 보는 재즈의 역사』와 더불어 저자의 대표 시리즈로 그 첫 권은 2009년에 발표되어 베스트셀러에 오른 바 있다. 배철수, 성시완, 신대철, 장기호와 같은 전문 음악인들이 추천하고 독자들의 뜨거운 호평이 있었던 만큼 록의 가이드로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일본 음반 전문 유통사인 디스크 유니온(Disk Union)과 계약을 맺고 올해 출간되어 현지에서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록의 탄생부터 성장기를 다룬 전편에서 아쉬웠던 사항들을 교정하고 리뉴얼한 『Paint It Rock 1』과 함께 출간되는 2, 3편은 못다한 70년대 이야기부터 2000년대에 이르는, 록 역사 대장정이다. 전편의 주인공들이었던 엘비스 프레슬리와 비틀즈, 롤링 스톤스, 에릭 클랩튼, 레드 제플린에 이어 블랙 사바스, 딥 퍼플, 퀸이 프롤로그를 장식하며 데이빗 보위, 이글스를 거쳐 메탈리카, 너바나, 그린데이, 오아시스, 라디오헤드로 이어지는 록 스타들의 숨가쁜 릴레이가 펼쳐진다.
방대한 록의 역사와 장르의 흥망성쇠를 일목요연하게 짚어내면서도 작가 특유의 거침없는 풍자와 비속어가 뒤섞여 역사서가 주는 편견을 말끔히 씻어내고 있다. 록, 나아가 팝음악의 전공자부터 그저 가벼운 관심을 가진 입문자까지 두루두루 즐길 수 있는 필독서가 될 것이다.
[출판사 리뷰]
『Paint It Rock』은 내 소년 시절을 지배했던 록 음악에 대한 이야기다. 그렇다고 일방적인 록의 예찬서는 아니다. 한때 로커들에게 “당신들에게도 재즈만큼 치열했던 순간이 있었느냐”고 따져 묻던 내가 갑자기 록을 최고라고 추켜세우는 것도 어색한 모습일 것이다.
그래서 부분적인 평가는 전적으로 내가 느낀 것만큼,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당당하게 썼다.
그래야 흔히 말하는 ‘록 스피릿’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 '작가의 말' 중
1950년대에서 1970년대까지 록의 탄생부터 성장기까지
“오늘도 신나게 달려볼까요? 로큰롤 파티를 시작합니다!”
1951년 미국 클리블랜드의 인기 디제이 앨런 프리드가 리듬 앤 블루스(R&B)를 다르게 표현하고 싶어 외친 그 ‘로큰롤(Rock' n' Roll)’이라는 단어에서 록(Rock)은 발아한다. 그렇게 탄생한 로큰롤은 블루스가 더 이상 흑인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생각을 널리 전파하며 진화를 거듭해나간다. 이처럼 『Paint It Rock 1』은 1950년대에서 1970년대까지 록의 탄생부터 성장기를 더듬어 간다. 척 베리부터 엘비스 프레슬리로 대표되는 로큰롤과 밥 딜런을 중심으로 한 포크, 혼돈과 저항의 60년대 사회상, 비틀즈를 선두로 영국의 록이 미국을 침공했다고 이름 붙여진 브리티시 인베이전(British Invasion), 크림으로 대표되는 헤비 블루스와 하드록, 히피 운동과 사이키델릭 록 그리고 프로그레시브 록까지 실로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어 중간 중간 작가의 자조섞인 말처럼 글이 지나치게 많은 만화다. 하지만 이러한 내용들이 단순히 연대기적으로 성실하게만 나열되었다면 이 책이 예술/음악 코너의 시장적 한계를 뚫고 나와 그처럼 큰 호응을 얻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에피소드 별로 흥망성쇠를 거듭하는 장르와 당대의 아이콘이었던 록스타들의 기승전결 뚜렷한 스토리텔링, 그리고 치밀하게 짜여진 구성이 이 거대한 세계로 쉽게 몰입해 들어가게 한다.
만화 특유의 한계없는 상상력,
거침없는 솔직함과 유머가 빛나는 다큐멘터리 툰(toon)
당시 사회의 모습과 뮤지션들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일들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만화라는 장치는 더없이 적절하게 활용된다. 캐리커쳐로
작가 소개
저자 : 남무성
한국 최초의 재즈 전문 월간지 몽크뭉크(현 MM JAZZ)를 창간하여 발행인 겸 편집인을 역임하였으며 (1997년 11월~1999년 2월) 이후 재즈 전문 월간지 두밥(Doobop)에서 편집인을 지냈다. (1999년 3월~2001년 1월). 당시 한국의 재즈 연주인들을 대상으로 한 재즈 부문 시상식 ‘Doobop Jazz Awards’를 제정하여 시상식을 거행하였고 \'New Jazz Voice Concert\', \'The Quartet Concert\', \'대한민국 재즈 페스티벌 2000\' 등의 재즈공연을 주최, 혹은 기획에 참여하였다.
목차
추천의 글 6
작가의 말 20
프롤로그 29
록 앤 롤이라는 용어 Rock&Roll 41
척 베리 Chuck Berry 47
로큰롤의 스타들 51
패츠 도미노 Fats Domino 52
제리 리 루이스 Jerry Lee Lewis / 칼 퍼킨스 Carl Perkins 65
밥 딜런 Bob Dylan과 포크 Folk 70
우디 거스리 Woody Guthrie 76
혼돈과 저항의 60년대 83
영국의 로큰롤 84
비틀즈 The Beatles 85
머시 사운드 Mersey Sound 92
크로대디 클럽의 어느 날 93
야드버즈 The Yardbirds 98
비틀즈의 빌보드 융단폭격 106
브리티시 인베이전 British Invasion 110
롤링 스톤스 The Rolling Stones 112
애니멀스 The Animals 121
더 후 The Who 122
누벨바그 Nouvelle Vague 126
토미 Tommy 131
서프뮤직 Surf Music 132
비치 보이스 The Beach Boys 133
포크 록 Folk Rock 139
- Mamas & Papas / The Lovin' Spoonful / Simon & Garfunkel
Neil Young / Crosby, Stills & Nash / Seals & Crofts / Joni Mitchell / The Band
브리티시 블루스 British Blues 150
마키클럽의 죽돌이들 154
브리티시 헤비 블루스┃크림 Cream 158
히피 무브먼트 & 사이키델릭 록 Hippie Movement & Psychedelic Rock 164
- Grateful Dead / Jefferson Airplane
지미 헨드릭스 Jimi Hendrix 172
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