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음풍농월이 아닌 민초들의 노래를 새로운 선시, 유려한 번역으로 충실하게 소개한 중국시가선집. 기원전 1,000년경의 노동요에서 근대의 해방가까지 3천 년 동안의 시와 노래 및 민요를 모은 국내 최초의 본격적인 중국역대시가선집이다. 오늘날까지 인구에 회자되고 있는 고전적 명시들은 물론이고 지금까지 소개되지 않았던 민중들의 저항시와 민요를 모두 포괄한 것으로 총 1,239수를 수록하고 있다.
출판사 리뷰
음풍농월이 아닌 민초들의 노래를 새로운 선시, 유려한 번역으로 충실하게 소개한 중국시가선집. 기원전 1,000년경의 ‘노동요’에서 근대의 ‘해방가’까지 3천 년 동안의 시와 노래 및 민요를 모은 국내 최초의 본격적인 중국역대시가선집. 오늘날까지 인구에 회자되고 있는 고전적 명시들은 물론이고 지금까지 소개되지 않았던 민중들의 저항시와 민요를 모두 포괄한 것으로 총 1,239수를 수록하고 있다.
1. 내용과 주요 특징
이 책은 기원전 1000년경에 나온 시경의 ‘노동요’에서 근대의 ‘해방가’까지 3천년 동안의 시와 노래 및 민요를 모은 국내 최초의 본격적인 중국역대시가선집이다. 이 선집은 오늘날까지 인구에 회자되고 있는 고전적 명시들은 물론이고 지금까지 소개되지 않았던 민중들의 저항시와 노래 및 민요를 모두 포괄하여 총 1,239수를 수록하고 있다.
1) 국내 최초로 중국 시사 3천년 총망라
그동안 시경과 당시는 더러 번역되어 우리에게 소개되었으나 놀랍게도 중국사가의 전모를 소개한 제대로 된 번역서는 없었다. 이 선집은 3천년의 중국 시가 가운데서 사상성과 예술성이 높은 작품 1,239수를 뽑아 수록하고 있다. 또한 편집에 있어서 역대 시가유파(時歌流派)의 전개과정과 흐름이 반영되도록 배려함으로써 중국시가의 전체적인 모습이 바르게 소개될 수 있도록 하였다.
2) 새로운 시각의 선시로 중국시의 전통을 새롭게 조명
중국 한시 하면 으레 음풍농월을 떠올리거나 한가한 양반들의 소일거리에 불과하다는 선입관에 사로잡혀 있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다. 그러나 중국의 시가는 그 발생적 시점부터 민중의 삶과 고통을 반영한다는 정신을 전통으로 삼아왔다. 중국시가의 원류로서 중국과 우리의 시가 발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시경은 바로 민중의 고통을 살피기 위해 관리들이 수집한 민중의 노래가 그 중심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시에 대한 그릇된 인식이 만연된 것은 과거 문자문화를 독점한 봉건지배계층이 민중의 삶과 고통을 반영한 시가를 배척하면서 자신들의 입장과 구미에 맞는 음풍농월만을 즐겼기 때문이다.
그동안 우리에게 소개된 중국 시집들은 이러한 그릇된 시각의 연장선상에 서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민중의 삶과 질고를 외면하지 않은 중국시가의 전통을 바르게 소개하자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이 선집은 그동안 제외되거나 묻혀졌던 시, 노래, 민요 등을 광범하게 소개함으로써 중국시 이해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3) 현대 감각의 전혀 새로운 번역
한자말에 토씨만 붙이거나 뜻만 옮겨놓은 번역으로는 시의 맛을 느낄 수 없다. 또한 지나친 의역으로 원시의 시상을 왜곡시키는 것은 올바른 번역일 수 없다. 이 선집은 이러한 양 편향에서 벗어나 한문 특유의 압축된 의미를 간명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되, 요즘 젊은이들도 자연스럽게 한시의 시상에 젖어들 수 있도록 우리말 시처럼 매끄럽게 번역하였다.
4) 시대와 작가에 대한 풍부한 해설 담아
시대와 시인마다 시대상황과 시 세계에 대한 간결하면서도 현대적인 해설을 붙여 굳이 문학사 책을 펼쳐 보지 않아도 누구나 쉽게 시인에게 다가가서 그들의 시를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5) 미려한 해서체 원문과 여유로운 편집
이 선집은 왼쪽에는 원문과 주해를 싣고 오른쪽에는 번역된 시를 싣는 대역식 편집방법을 택하였다. 그리하여 독자들이 번역시는 번역시대로 일반 시집과 다름없이 여유롭게 시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옛 책의 붓글씨처럼 아름다운 해서체 원문을 보면서는 한시의 독특한 맛을 한껏 만끽하도록 했다.
2. 발간의 의의와 주목할 점
첫째, 중국과의 교류가 점차 활발해지고 동양 고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출간된 이 선집은 우리의 문화적 지반을 넓히는 데 기여할 뿐 아니라 중국 문화의 원류를 이해하는 데 더 없이 좋은 기본자료로서 독서계의 비상한 관심
목차
1권
머리말
【선진시대(先秦時代)】
시경(詩經)
주남 / 소남 / 패풍 / 용풍 / 위풍 / 왕풍 / 정풍 / 제풍 / 위풍 / 당풍 / 진풍 / 회풍 / 조풍 / 빈풍 / 소아 / 대아 / 주송
초사(楚辭)
굴원 / 송옥
【한대(漢代)】
한대 사부(漢代辭賦)
가의 / 회남소산 / 양홍
악부시(樂府詩)
고시(古詩)
【위진시대(魏晉時代)】
건안풍골(建安風骨)
조조 / 채염 / 왕찬 / 진림 / 조식
정시(正始)·태강(太康)
원적 / 혜강 / 반악 / 장협 / 육기 / 좌사 / 곽박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동진(東晉)
도연명
송(宋)
사령운 / 포조
제(齊)
사조 / 왕융 / 심약
양(梁)
오균 / 하손 / 온자승
진(陳)
음갱 / 서릉 / 유신 / 강총
민요(民謠)
* 작품별 찾아보기
* 작가별 찾아보기
2권
머리말
당(唐) 1
【초당(初唐)】
위징 / 왕적 / 왕발 / 낙빈왕 / 양형 / 노조린 / 두심언 / 소미도 / 설직 / 유희이 / 송지문 / 심전기 / 진자앙 / 하지장 / 장약허 / 장욱 / 장열 / 왕한 / 왕만 / 장구령
【성당(盛唐)】
왕지환 / 최국보 / 맹호연 / 이기 / 기모잠 / 최호 / 조영 / 왕창령 / 최서 / 왕유 / 장순 / 고적 / 이백 / 상건 / 두보 / 잠삼 / 장계 / 유방평
* 작품별 찾아보기
* 작가별 찾아보기
3권
머리말
당(唐) 2
【중당(中唐)】
유장경 / 황보염 /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