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한자숙어는 두 개 이상의 한자가 합해져 하나의 뜻을 이루는 말이다. 그런데 한자라면 고개부터 설레설레 젓는 친구들이 많다. 이에 한자숙어에 담긴 뜻이나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통해 한자를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게 한다.
출판사 리뷰
― 한자숙어로 한자 실력을 키운다!
한자숙어 100가지를 공부하면서 익히면 한자까지 머리에 쏙쏙 들어온다.
― 한자숙어로 상식을 높인다!
'지금 상황이 매우 위태로워!' 이럴 때 \'풍전등화\'
'한 가지 일을 했는데 이득은 두 개나 봤어!' 이럴 때 \'일거양득\'
'어릴 때부터 친한 친구야.' 이럴 때 \'죽마고우\'
길게 설명하지 않고도 더 강하고도 부드럽게 표현할 수 있다.
― 한자숙어로 자신 있고 현명하게 생활한다!
\'초지일관\' \'형설지공\' \'호연지기\' 등 한자숙어에 실린 교훈들을 밑거름 삼는다면 따뜻한 가슴과 현명한 판단력을 지니고 생활할 수 있다. 아울러 재치 넘치는 그림과 쉬운 설명이 곁들여 있어 한자숙어 100가지를 더욱 쉽게 익힐 수 있다.
목차
ㄱ
가렴주구(苛斂誅求) / 감언이설(甘言利說) / 감탄고토(甘呑苦吐) / 개과천선(改過遷善)
견원지간(犬猿之間) / 견토지쟁(犬兎之爭) / 겸양지덕(謙讓之德) / 경국지색(傾國之色)
계륵(鷄肋) / 골육상쟁(骨肉相爭) / 구상유취(口尙乳臭) / 권모술수(權謀術數)
권상요목(勸上搖木) / 금상첨화(錦上添花) / 기고만장(氣高萬丈)
ㄴ
남가일몽(南柯一夢) / 남아수독오거서(男兒須讀五車書)
ㄷ
다다익선(多多益善) / 대기만성(大器晩成) / 대동소이(大同小異) / 독불장군(獨不將軍)
독서망양(讀書亡羊) / 동문서답(東問西答) / 동병상련(同病相憐) / 두문불출(杜門不出)
ㅁ
막상막하(莫上莫下) /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 모순(矛盾)
ㅂ
박장대소(拍掌大笑) / 배수지진(背水之陣) / 배은망덕(背恩忘德) / 배년해로(百年偕老)
백미(白眉) / 백척간두(百尺竿頭) / 부전자전(父傳子傳)
ㅅ
사면초가(四面楚歌) / 사친이효(事親以孝) /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 / 살신성인(殺身成仁)
삼순구식(三旬九食) / 상사병(相思病) / 상전벽해(桑田碧海) / 선견지명(先見之明)
소탐대실(小貪大失) / 속수무책(束手無策) / 수구초심(首丘初心)
ㅇ
약육강식(弱肉强食) / 어부지리(漁父之利) / 역지사지(易地思之) / 연목구어(緣木求魚)
오매불망(寤寐不忘) / 오비이락(烏飛梨落)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 오월동주(吳越同舟)
오합지졸(烏合之卒) / 와신상담(臥薪嘗膽) / 유구무언(有口無言) / 유비무환(有備無患)
유언비어(流言蜚語) / 이심전심(以心傳心) / 일거양득(一擧兩得) / 일일여삼추(一日如三秋)
일자무식(一字無識) / 일장춘몽(一場春夢) / 일촉즉발(一觸卽發) / 일취월장(日就月將) / 임기응변(臨機應變)
ㅈ
자강불식(自强不息) / 장삼이사(張三李四) / 장유유서(長幼有序) / 전대미문(前代未聞)
전무후무(前無後無) / 전화위복(轉禍爲福) / 정저지와(井底之蛙) / 조변석개(朝變夕改)
주객전도(主客顚倒) / 주경야독(晝耕夜讀) / 주마가편(走馬加鞭) / 죽마고우(竹馬故友)
지란지교(芝蘭之交) / 진퇴양난(進退兩難) / 진퇴유곡(進退維谷)
ㅊ
천재지변(天災地變) / 첩첩산중(疊疊山中) / 청풍명월(淸風明月) / 초미지급(焦眉之急)
초지일관(初志一貫) / 칠전팔기(七顚八起)
ㅌ
태평성대(太平聖代) / 토사구팽(兎死狗烹)
ㅍ
표리부동(表裏不同) / 풍수지탄(風樹之嘆) / 풍전등화(風前燈火)
ㅎ
학수고대(鶴首苦待) / 허례허식(虛禮虛飾) / 허장성세(虛張聲勢) / 형설지공(螢雪之功)
호연지기(浩然之氣) / 횡설수설(橫說竪說) / 효시(嚆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