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청소년 > 청소년 > 청소년 학습
문학 작품 바로 읽기 - 현대편  이미지

문학 작품 바로 읽기 - 현대편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린
문학사상사 | 청소년 | 2003.03.15
  • 정가
  • 12,000원
  • 판매가
  • 10,800원 (10% 할인)
  • S포인트
  • 54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3 | 0.482Kg | 344p
  • ISBN
  • 9788970124469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제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린 문학작품(현대편)을 깊이 읽게 읽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이다. 총 4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는 작품의 개요로 시는 전문을 제시하고, 소설과 희곡은 줄거리를 요약했다. 2단계는 작품 분석과 해석, 평가를 수록하고 3단계에는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를 실었다. 마지막으로 작가의 생애와 작품 경향을 간략히 담아 참고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작가 소개

저자 : 강진호
문학박사이며 성신여대 국문과 교수로 있다. 주요저서로 <탈분단시대의 문학논리>(2001), <현대소설사와 근대성의 아포리아>(2004)가 있고, 편저로 <국어교과서와 국가 이데올로기>(2007), <총서 ‘불멸의 력사’를 읽는다>(2009), <조선어독본>(5권)(2010) 등이 있다.

저자 : 유성호
1964년 경기도 여주에서 출생하여 서울에서 자랐다.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를 지냈고, 지금은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신문≫ 신춘문예 문학평론 부문에 당선하여 문학평론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그동안 대산창작기금, 김달진문학상, 유심작품상, 편운문학상, 현대불교문학상, 시와시학상 등을 수상했다. ≪내일을 여는 작가≫, ≪문학인≫, ≪작가연구≫, ≪문학수첩≫ 등의 편집위원을 지냈고, 지금은 ≪시작≫, ≪서정시학≫, ≪문학의 오늘≫ 등의 편집위원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 현대시의 형상과 논리≫(1997), ≪상징의 숲을 가로질러≫(1999), ≪침묵의 파문≫(2002), ≪한국 시의 과잉과 결핍≫(2005), ≪현대시 교육론≫(2006), ≪문학 이야기≫(2007), ≪근대시의 모더니티와 종교적 상상력≫(2008), ≪움직이는 기억의 풍경들≫(2008), ≪정격과 역진의 정형 미학≫(2014) 등을, 편저로는 ≪강은교의 시 세계≫(2005), ≪박영준 작품집≫(2008), ≪나의 침실로(외)?이상화≫(2009), ≪박팔양 시선집≫(2009), ≪김상용 시선≫(2014) 등을 펴냈다.

저자 : 이명찬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2003년 덕성여대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자 : 김창원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졸(교육학박사). 서울북공업고등학교/용산고등학교 교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 역임.현재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저서『시교육과 텍스트 해석』, 『국어교육론-관점과 체제』, 『문학교육론-제도화와 탈제도화』 등.

저자 : 김동환
해군사관학교 영어과 교수. 「개념적 혼성 이론」, 「인지언어학과 의미」, 「인지언어학과 개념적 혼성 이론」 등 집필

  목차

책을 내면서

1. 문학 작품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소설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김동환
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 김창원

2. 현대 소설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젊은 날의 기억과 역사의 광기: 박완서의 '그 여자네 집' - 강진호
해학과 비수(匕首)의 미학: 김유정의 '봄봄' - 이상갑
이데올로기의 파괴력과 전통의 복원력: 윤흥길의 '장마' - 강진호
'삼대'의 리얼리즘과 부르주아 계몽주의: 염상섭의 '삼대' - 하정일
잊혀진 기억의 복원: 이청준의 '눈길' - 채호석
분단 극복과 인간 보편의 가치 탐구: 최인훈의 광장 - 이상갑
소영웅주의에 대한 비판과 절대 권력에 대한 욕망: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 채호석
위선적 탐욕에 대한 풍자: 오영진의 '맹진사댁 경사(희곡)' - 홍창수
영상으로 포착된 결손 가정의 가족애: 진수완의 '어느 날 심장이 말했다'(TV 드라마) - 홍창수

3. 현대 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사랑과 추억, 그 애틋한 삶의 이면: 김용택의 '그 여자네 집' - 유성호
문학사의 미아(迷兒), 임화의 '하늘': 임화의 '하늘' - 이명찬
이별의 정한과 슬픔의 극복: 김소월의 '진달래꽃' - 황정산
감정의 다스림을 통한 이별의 완성: 정지용의 '유리창1' - 유성호
혹독한 현실 속에서 피어나는 신념과 의지: 이육사의 '광야' - 유성호
시대고와 여승(女僧): 백석의 '여승' - 이명찬
어머니의 사랑에 대한 회상과 죄스러움: 정인보의 '자모사(慈母思)' - 유성호
정화되고 미화된 슬픔: 박재삼의 '추억에서' - 황정산
고독한 존재가 찾아가는 은총과 섭리: 김남조의 '설일' - 황정산

필자 약력
찾아보기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