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2,000여 자로 이루어진 <아학편>을 역사학자 이덕일이 현대 우리 아이들의 눈높이와 한자 학습 과정, 활용 빈도 등에 맞추어 750여 자를 선정, 흥미진진하게 구성한 우리식 천자문 학습서이다. 아이들에게 체계적이며 새로운 한자 공부의 비법을 제시해 주고자 했다.
아이가 성장하면서 개념이 확장되어 가는 것을 고려하여, 나와 관련된 구체적인 뜻을 지닌 글자부터 사회와 사상 등 추상적인 뜻을 지닌 글자까지 순차적으로 한자를 배열한<아학편>의 순서를 따르면서도, 아이들에게 친숙하도록 더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주제로 장을 나누었다.
각 장에는 해당 주제와 관련된 4글자로 이루어진 한자 단어들을 함께 보여준다. 서로 상반되거나 비슷한 의미를 지닌 4자가 함께 엮인 이유를 본문에서 재미있게 설명하여, 의미의 단위로 네 글자, 두 글자를 익히도록 해 준다. 각 글자의 형성 원리와 과정 역시 상세하게 이야기하여 한자를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했다.
출판사 리뷰
다산 정약용의<아학편>이 우리 아이들을 위해 새롭게 태어나다
서울 강남지역 초등학교에서는 올해 10월부터 900자 정도의 기초한자를 익히는 한자교육을 본격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시강남교육청은 한자 교육 관련 내용을 생활기록부에까지 기록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초등학교 저학년 때부터 한자 검정시험에 응시하고, 한자 관련 만화책들이 인기를 끄는 등 한자 공부의 열기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우리말의 70%가 한자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언어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질수록 한자 공부에 대한 요구도 점점 커지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추세이기도 하다.
그런데 현재 한자 공부는 과연 효과적으로 되고 있을까? 아이들은 왜 한자 공부를 어려워할까? 그것은 서로 관련이 없는 한자들을 낱글자로 암기하는 방법과 무관하지 않다. 특히 한자 공부의 기본이 되는 중국의<천자문>이 서로 뜻이 통하지 않는 글자들을 모아 놓아서 더욱 그렇다.
이런 중국의<천자문>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은 이미 200여 년 전에 시도되어 결실을 맺었다. 실학의 우뚝한 봉우리인 정약용 선생이 사람과 사람, 우주와 자연 구체물의 인식부터 추상적 개념으로 확장되는 자신의 사고 체계에 따라, 우리나라의 자연과 역사, 문화, 그리고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한자들을 4자씩 엮어<아학편>을 만든 것이다.<아학편>은 만들어진 즉시, 정약용 선생님 가문의 자녀뿐 아니라 다른 가문의 한자 교육에도 널리 이용되었다.<정약용 선생님 다산천자문 1ㆍ2ㆍ3>은 2,000여 자로 이루어진<아학편>을 역사학자 이덕일 선생님이 현대 우리 아이들의 눈높이와 한자 학습 과정, 활용 빈도 등에 맞추어 750여 자를 선정, 흥미진진하게 구성한 우리식 천자문 학습서이다. 1권에 이어 이번에 2ㆍ3권이 함께 출간되면서 완간된 <다산천자문> 시리즈는 아이들에게 체계적이며 새로운 한자 공부의 비법을 제시해 줄 것이다.
네 글자씩 외워 더 쉽게, 생각까지 커진다!
<정약용 선생님 다산천자문>은 한자를 암기하는 책이 아니라 이해하는 책이다. 아이가 성장하면서 개념이 확장되어 가는 것을 고려하여, 나와 관련된 구체적인 뜻을 지닌 글자부터 사회와 사상 등 추상적인 뜻을 지닌 글자까지 순차적으로 한자를 배열한<아학편>의 순서를 따르면서도, 아이들에게 친숙하도록 더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주제로 장을 나누었다. 각 장에는 해당 주제와 관련된 4글자로 이루어진 한자 단어들을 함께 보여준다. 서로 상반되거나 비슷한 의미를 지닌 4자가 함께 엮인 이유를 본문에서 재미있게 설명하여, 의미의 단위로 네 글자, 두 글자를 익히도록 해 준다. 각 글자들이 만들어진 형성 원리와 과정을 또한 상세하게 이야기하여 각 한자를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했다.
이렇게 엮은 4자들이 여럿 모여 한 주제를 이루는 과정을 익히다 보면 큰 범주로 생각이 확장되는 것을 알게 된다. 또 한 주제를 이루는 여러 측면을 사고할 수 있는 유익한 훈련이 된다. 예를 들어 ‘인(仁)’이 사람과 사람이 포개진 글자라는 형성 과정에서 출발하여, 비슷한 뜻의 ‘인의예지(仁義禮智)’라는 4자가 모두 옳고 그름이라는 생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알아보고, 이러한 종류의 한자들이 ‘사람의 도리’라는 큰 주제 속에 묶인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사고의 훈련을 함께 할 수 있어야 생각을 담는 틀로서 한자를 제대로 이해하고 공부의 재미도 느낄 수 있지 않을까?
이덕일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리 시대의 한자 강의
이덕일 선생님은 이미 40여 권의 저서를 통해 수많은 애독자를 거느린 역사학자이자 저술가이다. 그런 이덕일 선생님이<다산천자문>을 통해 아이들에게 친근한 선생님으로 다가온다. 본문 네 글자에 얽힌 이야기부터 각 한자에 담긴 우리나라 문화와 역사 이야기까지 친절하고 재미있게 알려 준다. ‘순잡(純雜)’이라는 단어를 소개하며 조선 시대 잡색군 이야기를 해 주고, ‘조만(早晩)’에서는 밀레의 명화 ‘만종’에 대해 이야기를 들려준다.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다. 어리석음과 슬기로움, 그릇됨과 올바름을 나타내는 ‘우혜사정(遇惠邪正)’을 소개하는 내용에서는 조선 시대, 성리학만을 정(正)으로 인정하고 다른 종교는 사(邪)로 생각하여 탄압했다는 사실을 설명하면서 다양성이 존중받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그때와 달리 다른 사람의 생각을 존중하는 자세가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렇게 한자 속에 담긴 역사적 사실과 그것의 현대적 재해석은 이 책에서만 만날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이다.
본문에 천자문의 느낌을 살리면서도 현대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컬러풀한 판화 일러스트와 유머러스한 삽화들, 그리고 내용과 관련된 사진 자료들을 실어 한자를 더욱 쉽고 재미있게 익힐 수 있다. 이덕일 선생님의 다양하고 재미있는 캐리커처도 한자 이야기를 더욱 친근하게 느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우주와 사람’부터 ‘만물의 이치’까지 : 각 권 내용 소개
1권에서는 우리가 사는 땅, 우리 주변의 동식물, 우리 삶과 관련된 집, 옷, 음식 등 ‘우주와 자연’, ‘사람과 삶’에 대한 한자 256자를 배운다. 근본이 되는 ‘천지부모(天地父母)’로 시작하여 음식의 종류인 ‘장유염밀(醬油鹽蜜, 장과 기름, 소금과 꿀)’까지 구체적인 사물을 다루고 있다. 또 한자의 유래와 한자 쓰는 법, 옥편 찾는 방법 등 한자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쉽게 공부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주는 부가 정보가 함께 들어 있다.
2권에서는 사람이 지켜야 할 예의와 범절, 사람의 감각과 감정, 사람 사이의 관계 등 ‘사람의 도리’와 ‘사회생활’을 표현하는 한자 252자를 배운다. 평생 실천해야 하는 ‘인의예지(仁義禮智)’부터 재물과 빚을 뜻하는 ‘재화부채(財貨負債)’까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한 것에 대해 다루는 것이다. 여기에 정약용 선생님의 가족 이야기, 목민관일 때 이야기 등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가 생생하게 펼쳐진다.
3권에서는 사물의 성질과 모양새, 학문 예술과 정치 활동, 단위와 표준 등 ‘만물의 이치’와 ‘변화와 기준’을 표현하는 한자 252자를 공부한다. 서로 반대되는 단어인 ‘대소장단(大小長短)’에서 법과 규칙을 뜻하는 ‘모범준규(模範準規)’까지 추상적인 개념을 담은 한자들을 다루고 있다. 또 가족을 한자로 표현하는 방법, 한문법과 우리 문법의 차이, 한국식 한자 이야기 등 한 단계 더 수준 높은 한자 공부를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작가 소개
저자 : 이덕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소장. 객관적 사료와 논쟁적인 주제로 새로운 역사 해석의 선두에 서 있는 우리 시대 대표적 역사학자이다. 풍부하고 고증된 사료를 근거로 우리 역사의 숨겨진 이면을 대중에게 알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사도세자가 꿈꾼 나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당쟁으로 보는 조선 역사』 『누가 왕을 죽였는가』 『조선 왕을 말하다』 『조선 왕 독살 사건』1·2 『고조선은 대륙의 지배자였다』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우리 안의 식민사관』 등 치열한 역사의식으로 무장한 50여 권의 저서가 있다.
목차
1권 우주와 자연, 사람과 삶
1장 사람과 사람
번쩍 한자 이야기 - 정약용 할아버지는 어떤 분일까
2장 사람의 몸
쏙쏙 한자 교실 - 한자 사전에서 글자 찾기
3장 사람을 둘러싼 우주와 자연
쏙쏙 한자 교실 - 한자는 어떻게 만들었을까
4장 사람이 사는 땅
쏙쏙 한자 교실 - 한자는 어떻게 발전하였을까
5장 사람과 화초, 나무
쏙쏙 한자 교실 - 한자는 어떻게 쓸까
6장 사람과 새, 짐승
깔깔 한자 이야기 - ‘파자’ 이야기
7장 사람이 사는 집
번쩍 한자 이야기 - ‘간지’와 띠
8장 사람의 옷과 음식
번쩍 한자 이야기 - 여러 가지 한자 이름
2권 사람의 도리와 사회생활
1장 우리가 추구해야 할 도리에 대한 한자
번쩍 한자 이야기 - 정약용 선생님의 가족들
2장 시간과 장소에 대한 한자
깔깔 한자 이야기 - 파자점 이야기
3장 감각을 표현하는 한자
번쩍 한자 이야기 - 임금의 묘호
4장 감정을 나타내는 한자
번쩍 한자 이야 기- 목민관 정약용 선생님
5장 움직임을 표현하는 한자
번쩍 한자 이야기 -<조선왕조실록>이야기
6장 사람과 사람 사이를 뜻하는 한자
쏙쏙 한자 교실 - 우리나라 사자성어 1
7장 사회생활을 표현하는 한자
쏙쏙 한자 교실 - 우리나라 사자성어 2
3권 만물의 이치, 변화와 기준
1장 사물의 성질을 뜻하는 한자
번쩍 한자 이야기 - 정약용 선생님의 저술과 시
2장 성질을 나타내는 한자
쏙쏙 한자 교실 - 허사(어조사) 이야기
3장 변화하는 모양새를 나타내는 한자
번쩍 한자 이야기 - 가족을 한자로 어떻게 부를까?
4장 학문과 예술에 대한 한자
쏙쏙 한자 교실 - 한문법과 우리 문법의 차이
5장 정치 활동을 나타내는 한자
번쩍 한자 이야기 - 희대의 천재 이가환
6장 표준과 기준을 표현하는 한자
쏙쏙 한자 교실 - 한국식 한자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