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이 책의 저자 김하늬는 《공룡 신발》에서 상족암이 선물한 그 상상력에 판타지의 옷을 입힌다. 바로 쥐라기 시대의 목이 길고 순한 초식공룡 슈노사우르스와 아빠 회사의 부도로 가족들이 뿔뿔이 흩어진 중산층 아이 창하를 친구로 만든다. 둘은 같은 아픔을 갖고 있다. 부모님과 떨어졌고, 갑작스럽고 피할 수 없는 재난을 맞았고, 그리고 둘 다 신발을 잃어버렸다는 점이다. 그래서 슈노는 창하의 분신이며, 엄마 아빠를 만나서 지난날처럼 살아가고 싶은 창하의 소망이 빚어낸 판타지이기도 하다.
저자는 섬세한 감성과 간결하고 군더더기 없는 문장으로 한 땀 한 땀 수를 놓듯 동화를 짓는다. 우리나라 어린이문학에서 판타지 세계를 튼튼하게 구축한 작품들이 그리 많지는 않다. 그런 점에서 김하늬 작가의 《공룡 신발》은 현실과 판타지 세계가 이음새 없이 세련되게 만나는 점이 특히 돋보인다.
일러스트레이터 장선환은 이 작품에 그림을 그리기 위해 실제로 경남 고성에 내려가 몽돌 해안이며 공룡 박물관 내부 등을 샅샅이 취재하고 자료를 조사했다. 실제로 이곳을 가 본 사람이라면, 이 책을 읽으며 고성의 매력을 얼마나 잘 잡아냈는지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감성적인 스케치 선과 투명하고 서정적인 수채화 채색은 아픔을 가진 쓸쓸한 창하의 마음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잘 보여준다.
출판사 리뷰
상족암이 불러일으키는 상상력으로 빚은 놀라운 판타지《공룡 신발》
남해의 맑은 바다가 눈앞에 펼쳐지고, 책처럼 켜켜이 쌓인 바위 절편들 위에 백악기, 쥐라기 공룡들의 발자국이 남아 있는 곳. 여기는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제 411호로 지정된 고성 상족암 군립공원이다. 상족암이라는 이름은, 산의 전면이 층층단애로 되어 있고, 암벽 깊숙이 동서로 되돌아들며 암굴이 뚫어져 있는 모양이 밥상다리 같다고 하여 상족(床足), 여러 개의 다리 모양 같다 하여 쌍족(雙足) 또는 ‘쌍발’이라고 불리는 데서 유래한다. 공룡 발자국 유적지를 비롯하여 선녀탕이라고 불리는 바위샘이며, 바위굴은 보는 사람에게 원시적인 상상력을 불러일으킨다. 커다란 공룡들이 너르면서도 아늑한 느낌의 이 남해 바다를 놀이터 삼아 뛰놀았을 모습이 눈앞에 그려지는 듯하다.
작가 소개
저자 : 김하늬
해인사가 있던 마을에서 태어나 얼마전 창덕궁 옆으로 이사 왔습니다. 이제껏 열세 번도 더 이사를 다니고 여러 가지 일을 해 보았지요. 그 모든 것이 창작의 밑거름이 되기를 바라며 동화를 쓰고 있습니다. 2004년 〈무지개 다리를 타고 온 소년〉으로 ‘황금펜 아동문학상’을 받았습니다. 지은 책으로 《나의 아름다운 늪》, 《속담왕 태백이의 산골 유학기》가 있어요. 이메일 주소는 charm56@hanmail.net입니다.
그림 : 장선환
1973년 서울에서 태어나 경희대학교 미술교육과와 회화과에서 공부했습니다. 여러 차례 개인전을 열었으며,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칩니다. ‘화가’라고 불릴 때가 가장 행복합니다. 홈페이지 www.fartzzang.com는 다양한 그림을 담는 보물 창고랍니다. 그린 책으로 《비는 어디서 왔을까?》, 《심술쟁이 우리 할머니》, 《게임의 비밀》, 《좋아한다 싫어한다》, 《또 한번의 전학》, 《외로운 지미》, 《최척전. 김영철전》, 《유충렬전》, 《울면 안돼!》. 《박치기왕과 울기대장》, 《형 모래모치한테 인사해》, 《달려라,달리》, 《초승달가족》, 《그림이 있는 정원》, 《휠체어를 찾고 말겠어》 들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