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나의 미래 공부 시리즈 19권. 쉽게 얻을 수 있는 단순한 정보가 아닌 실제 대학에서 학문을 가르치는 교수님들이 직접 중.고등학생들을 위해 쓴 학과 안내서이다. 이 책은 콘텐츠학과를 다니고 있는 학생들조차 제대로 답하기 어려운 콘텐츠의 정의와 실제로 활용되는 다양한 산업 분야,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과정, 학과 강의 계획안과 교육 과정까지 꼼꼼하게 다루고 있다.
아울러 외국의 콘텐츠학과가 사회 각 분야와 어떻게 연계해서 발전해 나가고 있는지 살펴 향후 우리나라 콘텐츠학이 나아갈 방향까지 제시하고 있다. 또한, 저자는 ‘진로 지도’ 챕터를 통해 콘텐츠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대학 진학을 준비할 수 있도록 예비 후배들을 위한 조언을 아끼지 않는다.
콘텐츠 분야의 새로운 지식을 처음 접하는 청소년은 물론, 이미 콘텐츠 산업에 몸 담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학문의 핵심적인 개념을 쉽게 정리한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다. 이 책을 통해 학과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콘텐츠학과의 현재와 미래를 살펴봄으로써 5~10년 후 자신의 미래를 그려 볼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 리뷰
콘텐츠의 시대, 우리에겐 “콘텐츠”에 대한 명쾌한 정의가 필요했다!실제 대학에서 학문을 가르치는 교수님들이 직접 쓴 학과 안내서 '나의 미래 공부'시리즈의 19권 《MT 콘텐츠학》이 출간되었다.
21세기는 콘텐츠의 시대라고 말한다. 스마트폰, 노트북 등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기가 급증하면서 그 안을 채울 콘텐츠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기업의 광고조차 스토리 없이 대중에게 어필하기 어려운 시대가 되었다. 그 영향으로 최근 몇 년 사이 대학에는 ‘콘텐츠학’ 관련 학과가 크게 늘었다.
그런데 과연 사람들은 ‘콘텐츠’라는 용어가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또 콘텐츠학과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고, 졸업 후 진로는 어떻게 결정되는지 알고 있을까?
이 책은 콘텐츠학과를 다니고 있는 학생들조차 제대로 답하기 어려운 콘텐츠의 정의와 실제로 활용되는 다양한 산업 분야,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과정, 학과 강의 계획안과 교육 과정까지 꼼꼼하게 다루고 있다. 아울러 외국의 콘텐츠학과가 사회 각 분야와 어떻게 연계해서 발전해 나가고 있는지 살펴 향후 우리나라 콘텐츠학이 나아갈 방향까지 제시하고 있다. 또한, 저자는 ‘진로 지도’ 챕터를 통해 콘텐츠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대학 진학을 준비할 수 있도록 예비 후배들을 위한 조언을 아끼지 않는다.
콘텐츠 분야의 새로운 지식을 처음 접하는 청소년은 물론, 이미 콘텐츠 산업에 몸 담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학문의 핵심적인 개념을 쉽게 정리한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다.
콘텐츠의 시대, 직감적으로 콘텐츠의 중요성을 알고 있는 학생들은 이 책을 통해 학과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콘텐츠학과의 현재와 미래를 살펴봄으로써 5~10년 후 자신의 미래를 그려 볼 수 있을 것이다.
대학 교수님이 직접 쓴 '나의 미래 공부' MT시리즈
교수님과 함께 떠나는 즐거운 학문 여행경영학, 언론정보학, 생명공학, 물리학 등 각 계열별 학과에서는 무엇을 공부할까? 대학 수업은 어떻게 이뤄지고, 졸업 후 어떤 분야로 진출할 수 있을까?
대학 입시에 대한 큰 관심에 비해 막상 대학에 가서 무엇을 배우는지 자신의 적성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다. 진로 지도를 담당하는 고등학교 교사들도 학생들의 성적에 맞춰 진로를 조언해 주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시대가 변하는 속도만큼이나 빠르게 변하는 학과의 현재 상황을 모두 알기는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나의 미래 공부' 시리즈에는 학과 공부에 대해 궁금했던 모든 것이 담겨 있다. 쉽게 얻을 수 있는 단순한 정보가 아닌 실제 대학에서 학문을 가르치는 교수님들이 직접 중.고등학생들을 위해 쓴 학과 안내서이다. 학과의 깊이 있는 내용뿐만 아니라 발전하는 학문의 생생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것이다. 선진국 대학이나 세계 학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내용을 토대로 중고등학생들이 실제 그 전공에서 길을 찾아나갈 5~10년 후의 모습을 그려 준다.
아직 자신의 적성을 찾지 못한 학생들에게도 막연한 미래를 그려 나가는 학생들에게도,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얻고 싶었던 학생들에게도 좋은 지도서가 될 것이다.
시리즈의 가장 큰 특징은 중고등학생의 눈높이에 맞춰 대학 공부의 내용을 쉽게 재미있게 설명한 점이다. 여행 콘셉트에 맞춰 구성된 내용을 자연스레 따라가다 보면 어느덧 해당 학과에 대한 전문가가 되어 있을 것이다. 학문의 소개, 발달 과정은 물론 미리 대학 공부를 엿볼 수 잇도록 과목도 자세히 설명해 놓았다. 대학생들의 실습일지 등도 엿볼 수 있으며, 졸업 후 진출할 수 있는 직업과 현장에 있는 졸업생들의 직업 인터뷰도 담겨 있다.
또한 중간 중간 학생들이 재미있고 유익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해당 학문과 관련된 인물, 사건, 개념 등을 소개하는 ‘호기심통’, ‘지식통’, ‘생각통’ 등이 책 곳곳에 마련되어 있다.
대학은 적성을 실현해 가는 하나의 과정!
성공적인 미래를 향한 여정은 자신의 적성을 파악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작가 소개
저자 : 정창권
고려대학교에서 국문학을 전공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여성이나 장애인, 하층민 등 역사 속 소외된 사람들을 세밀하게 복원하여 이야기로 재미있게 들려주는 전문 역사 스토리텔러다. 지은 책으로 「홀로 벼슬하며 그대를 생각하노라」, 「향랑, 산유화로 지다」, 「꽃으로 피기보다 새가 되어 날아가리」, 「세상에 버릴 사람은 아무도 없다」, 「역사 속 장애인은 어떻게 살았을까」, 「기이한 책장수 조신선」, 「거리의 이야기꾼 전기수」 등이 있다.
목차
PART 01 콘텐츠학 여행을 위한 첫걸음
study01 콘텐츠,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 14
study02 디지털 문명의 꽃 … 18
study03 원소스멀티유즈(OSMU) … 22
study04 콘텐츠학의 탄생 … 26
PART 02 무한히 펼쳐진 콘텐츠 산업의 세계
study01 엔터테인먼트 분야 : 우린 재미로 승부를 겨룬다 … 40
study02 인포메이션 분야 : 지식과 재미를 결합시켜라! … 68
PART 03 콘텐츠 개발을 위한 도전
study01 기획 단계 : 세상이 깜짝 놀랄 콘텐츠를 기획해 보자 … 82
study02 개발 단계 : 가슴 뭉클한 이야기 만들기 … 90
study03 제작 단계 : 문화와 IT의 융합 … 98
study04 판매 단계 : 콘텐츠 마케팅 … 105
PART 04 콘텐츠학과에선 무엇을 배울까?
study01 콘텐츠학은 융.복합 학문이다 … 112
study02 국외 콘텐츠학과를 가다 … 123
study03 졸업 후엔 뭐 하고 살까? … 127
PART 05 콘텐츠학의 미래를 상상한다
study01 21세기 주력 산업 … 136
study02 이젠 글로벌콘텐츠다 … 139
PART 06 정 교수님의 콘텐츠학 이야기
study01 사회에 유산을 남겨라 … 146
study02 결국엔 이야기다 …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