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10만 독자가 선택한 베스트셀러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를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추어 쉽고 재미있게 다시 엮었다. 역사에 관심이 있는 초등 학교 4, 5, 6학년 학생들과 청소년들이라면 누구라도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한국사 개설서로서, 우리 역사를 자기 시각으로 볼 수 있게 해 주는 능력을 키워 줄 것이다.
<1권>에서는 ‘선사 시대부터 남북국 시대(통일 신라와 발해)’까지, <2권>에서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 말’까지 그 시대를 대표할 만한 흥미진진한 역사적 사건들을 주제별로 다루었다. 각각의 주제에 드러나는 역사 인물들의 고민과 결단, 행동을 통해 오늘을 돌이켜보는 값진 교훈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작가 소개
저자 : 최용범
그는 이제 기자보다는 역사작가라는 이름이 더 잘 어울리는 저자로 출판계가 불황이던 시절 베스트셀러로 자리잡은 『한국의 부자들』을 기획해 세인의 이목을 끌기도 한 출판기획자이다. 그는 1968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성균관대 동양철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졸업 후 처음으로 다녔던 회사가 월간 『사회평론 길』이었다. 기자생활을 한 덕에 사람을 만나는 직업에 익숙한 그는 더난출판사 기획팀장을 지내면서 출판기획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저자가 현재 근현대사에 집중하고 있는데 유년시절 배웠던 이데올로기를 어떻게 걷어낼 것인가에 많은 고민을 하고 책을 저술하고 있다. 그는 50년간을 주홍글씨처럼 따라다니는 한반도의 풀리지 않는 이야기. 누구에 의해 6·25전쟁이 이뤄졌을까. 과거 역사기록들은 때론 승리자의 시각에서 집필돼 왔기에 이를 전제로 숨겨진 진실을 파헤침으로써 우리가 놓쳐왔던 순간순간의 왜곡된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는 세상이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서 출발한다고 여긴다. 한 개인의 역사가 세계사가 되기도 하고, 때론 우리네 가족사가 조선의 역사가 되듯, 역사는 멀리 있는 게 아니라 역시 사람에 의해 이뤄져왔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직도 우리 역사를 들춰볼 때면 항상 마음 아파하게 되는 정서가 역사를 대하는 균형적 시각을 잡아주는 에너지가 되었다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그의 저서로는 『하룻밤에 읽는 고려사』, 『13인의 인물-역사인물 가상인터뷰』, 『대학문예운동의 이론과 실천』(공저)『너희가 대학을 아느냐』(공저) 가 있다.
그는 이제 기자보다는 역사작가라는 이름이 더 잘 어울리는 저자로 출판계가 불황이던 시절 베스트셀러로 자리잡은 『한국의 부자들』을 기획해 세인의 이목을 끌기도 한 출판기획자이다. 그는 1968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성균관대 동양철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졸업 후 처음으로 다녔던 회사가 월간 『사회평론 길』이었다. 기자생활을 한 덕에 사람을 만나는 직업에 익숙한 그는 더난출판사 기획팀장을 지내면서 출판기획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저자가 현재 근현대사에 집중하고 있는데 유년시절 배웠던 이데올로기를 어떻게 걷어낼 것인가에 많은 고민을 하고 책을 저술하고 있다. 그는 50년간을 주홍글씨처럼 따라다니는 한반도의 풀리지 않는 이야기. 누구에 의해 6·25전쟁이 이뤄졌을까. 과거 역사기록들은 때론 승리자의 시각에서 집필돼 왔기에 이를 전제로 숨겨진 진실을 파헤침으로써 우리가 놓쳐왔던 순간순간의 왜곡된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는 세상이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서 출발한다고 여긴다. 한 개인의 역사가 세계사가 되기도 하고, 때론 우리네 가족사가 조선의 역사가 되듯, 역사는 멀리 있는 게 아니라 역시 사람에 의해 이뤄져왔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직도 우리 역사를 들춰볼 때면 항상 마음 아파하게 되는 정서가 역사를 대하는 균형적 시각을 잡아주는 에너지가 되었다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그의 저서로는 『하룻밤에 읽는 고려사』, 『13인의 인물-역사인물 가상인터뷰』, 『대학문예운동의 이론과 실천』(공저)『너희가 대학을 아느냐』(공저) 가 있다.
저자 : 이우형
1967년 서울에서 태어나 상문고를 졸업하고, 추계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중퇴했다. 그간 출판계에서 일하며 어린이와 어른을 위한 여러 책을 펴냈다. 지은 책으로는 <남극의 마지막 영웅 섀클턴 : 우린 꼭 살아 돌아간다>, <사랑해요, 아빠> 등의 어린이 책과 <2004 한국인 트렌드>, <마흔 살의 승부수> 등이 있다.
목차
Ⅱ. 고려 시대
■ 고려, 황제의 나라를 선언하다!
-신라의 반쪽 통일을 완성한 고려
-황제의 나라 고려
■ 역사상 가장 무시무시한 임금이 고려 때 있었다고?
-수많은 사람들을 죽인 임금이 가장 위대한 왕이라고?
-‘사랑해서 결혼한 게 아니었도다!’
-광종에 관한 엇갈린 평가
■ 혼자서 적의 80만 대군과 맞서 싸운 서희?서희가 뛰어난 외교를 통해 거란의 대군을 물리치다
-낙타들아, 미안해!
-“우리에겐 오히려 넘겨받아야 할 땅이 있다!”
-지혜로운 외교관이 나라의 위기를 구하다
■ 서희가 거둔 외교의 승리를 칼로 완성하다?귀주 대첩을 거둔 고려
-다시 시작된 거란의 침략
-나라를 위해 마지막 공을 세운 늙은 장수
-고려를 깔본 대가는 멸망이었다!
■ 개경이냐, 서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평양으로 수도를 옮기자고 주장한 묘청
-나라의 기운은 서경에서 솟아오른다!
-준비되지 않은 반란은 실패로 끝날 수밖에 없다
-과연 누가 옳았던 것일까?
■ 세계 최초의 금속 활자가 부끄러운 보물일 수도 있다고?
-세계 최초인데 우리는 왜?
-주머니 속의 보물이 세상을 위해 쓰일 수 있을까?
■ ‘코리아(KOREA)’라는 이름 속에 담긴 고려의 기상
-뭣이! 자기 아내를 내기에 걸겠다고?
-‘코리아’라는 이름은 벽란도에서 시작됐다
■ 신하라고 다 같은 신하가 아니야!?천대받던 무신들이 반란을 일으킨 이유
-새파랗게 젊은 신하에게 뺨을 맞은 대장군
-바로 그 날이 문신들의 제삿날이었다
-조금도 나아지지 않은 백성들의 삶
■ 아직도 다 밝혀 내지 못한 팔만대장경의 비밀
-읽는 데만 30년이 걸리는 불교 예술의 걸작
-팔만대장경을 만든 데에는 여러 가지 목적이 있었다
-팔만대장경의 비밀은 아직도 다 밝혀 내지 못했다
■ 몽골과 최후까지 싸운 삼별초의 정체는?
-“당 태종도 꺾지 못한 고려가 스스로 항복을 했다!”
-삼별초는 원래 도둑을 잡던 부대였다
-삼별초의 진정한 힘은 어디에서 나왔을까?
■ 왕씨의 나라 고려에 신씨 임금도 있었다고?
-‘내 아버지를 찾아 주세요!’
-힘겨운 공민왕의 노력
-요승인가, 나라의 영웅인가?
-왕씨가 신씨로 둔갑한 이유는?
■ 배신일까, 새로운 역사의 시작일까??이성계가 위화도에서 군대를 돌린 이유
-새롭게 시작된 명나라의 시대
-고려 말의 최대 맞수 최영과 이성계
-배신일까, 새로운 역사의 출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