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우리 전통 음악과 국악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어린이들에게 20개의 곡을 통해 우리 음악을 소개한다. 농사의 신 자청비를 통해 알게 되는 풍물놀이의 탄생, 서동과 선화공주의 이야기에 비롯된 노래 서동요, 우리 음악에 대한 세종대왕의 사랑을 엿볼 수 있는 여민락과 종묘제례악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또 죽은 사람을 살린 바리공주 이야기에 뿌리를 둔 무가 시나위, 조선 시대 최고의 기생 황진이에게 배우는 시조, 이순신 장군이 이끈 전투를 승리로 이끌어 낸 강강술래 등 교과서에 나오는 우리 음악 20곡에 얽힌 흥미 있는 이야기를 실었다.
출판사 리뷰
우리 음악과 친해져 보세요
사람은 누구나 자주 듣는 음악을 더 친숙하게 느끼기 마련이랍니다. 우리가 댄스 음악이나, 힙합, 발라드 같은 대중음악을 좋아하는 것은 그만큼 일상생활에서 많이 들을 수 있기 때문일 거예요.
반면 우리 음악은 일부러 찾아서 듣지 않는 이상 TV나 라디오를 통해서도 거의 들을 기회가 없어요. 누군가 “우리 음악 좋아해요?”라고 물었을 때, 자신 있게 대답하지 못하는 것도 당연한 일입니다. 아직 친해질 만큼 만나 보지도 못했으니까요.
우리 음악과 친해지는 법은 아주 간단해요. 먼저, 호기심과 관심을 가지고 한발 다가가 보는 거예요. 친구 사귀 듯이요. 그러다 보면 자기도 모르게 귀가 열리고 마음이 열리면서 우리 음악이 가진 아름다움을 조금씩 느끼게 될 거예요.
이 책은 어린이들이 우리 음악에 친숙하게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도록 꾸몄습니다.
수천 년 역사 속에서 만들어지고 다듬어진 우리 음악,
20곡에 얽힌 흥미 있는 이야기
우리나라 음악은 알고 보면 참 훌륭하고 멋진 친구랍니다. 판소리가 유네스코에서 정한 ‘세계문화유산’이란 것 알고 있나요? 천둥 번개와 바람, 구름, 비가 어우러지고 부딪치며 빚어내는 소리의 예술, 사물놀이는 벌써 세계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지 오래랍니다.
이런 우리나라 음악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랍니다. 수천 년 역사 속에서 만들어지고 다듬어지면서 수많은 흥미 있는 이야기를 감추고 있어요.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 나오는 음악 이론이 한눈에
양반들이 즐기던 정악 vs 서민들이 부르던 민속악 등,
우리나라 음악은 역사상 단 한 번도 다른 나라를 침략한 적이 없는 우리 민족의 정서를 고스란히 담고 있어 참 평화롭고 잔잔합니다. 그런가 하면 재치와 유머가 넘치는 경쾌한 음악도 많이 있습니다.
우리 음악은 크게 정악과 민속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정악이란 주로 양반들이 즐기던 음악으로 잔잔하고 여유로운 아름다움을 느끼게 합니다. 정악에는 <영산회상>, <대취타>, <여민락> 등의 기악곡과 가곡, 가사, 시조 따위의 성악곡이 있답니다.
민속악은 서민들이 생활 속에서 즐기던 음악으로 가락이 빠르고 흥겨워 어깨춤이 절로 나게 합니다. 서민들의 고된 생활을 반영해 구슬프고 애절한 음악도 있지요. 기악곡으로는 풍물놀이, 사물놀이, 산조, 시나위가 있고, 성악곡으로는 여러분이 잘 아는 민요와 판소리, 단가가 있어요.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나오는 음악 이론을 꼼꼼하게 정리했습니다. 흥미롭게 소개된 음악 이야기와 관련 있는 음악 이론을, 풍부한 악보와 예시 자료, 일러스트로 알차게 소개하였습니다. 어린이들이 우리 음악을 알아가는 데 딱딱하거나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작가 소개
저자 : 이성재
1973년 경희대 음대 작곡과를 졸업하고 배재중학교, 국립국악고등학교, 청담고등학교 등을 거쳐 지금은 당곡고등학교에서 음악을 가르치고 있다. 1976년부터 약 5년 동안 국립국악원 연주원이며 인간문화재인 이동규 선생에게 가곡을 사사했다. 국악의 현대화 작업에도 힘써 1979년부터 지금까지 국악찬송가 40여 곡을 작곡했다. 1981년부터 1985년 사이에는 대만 문화대학과 일본에서 중국 비파, 양금, 사쯔마 비파, 인도 악기 시타르 등의 연주와 이론을 공부했다. 1989년에는 MBC가 아시아 방송제에 출품한 ‘풍물굿’으로 작곡상을 수상했다. ‘황진이’ ‘꿈’ ‘러브스토리’ ‘정’ ‘길’ 등의 영화음악과, ‘갑오세 가보세’ ‘격정만리’ ‘색시공’ 등의 연극음악을 작곡했다. 지은 책으로 <고등학교 음악>(7차 교육과정), <교과서 속의 숨은 이야기- 5·6학년 음악> 등이 있다.
목차
풍물놀이 종합민속예술
우리 음악은 언제부터 있었나요?
서동요 우리나라의 옛 노래 이야기
제일 오래된 노래는 무엇일까요?
여민락과 종묘제례악 세종대왕이 만든 우리 음악
우리 악보는 어떻게 생겼나요?
영산회상 정악 기악곡
우리 음악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대취타 우리나라의 행진곡
우리 악기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사물놀이 네 개의 타악기가 빚어내는 예술
타악기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청성자진한잎 대금과 단소를 이용한 기악 독주곡
관악기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수제천 궁중 연회에서 연주되는 관악 합주곡
우리 음악의 기악곡에는 무엇이 있나요?
산조 기악 독주곡
가야금과 거문고는 어떻게 다른가요?
시나위 무속 의식에서 나온 기악 합주곡
시나위는 어떤 음악인가요?
시조 옛날 사람들이 즐기던 노래
옛날 양반들도 노래를 불렀을까요?
아리랑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노래
민요란 어떤 노래인가요?
강강술래 노래, 춤, 놀이가 어우러진 남도민속놀이
어떻게 하면 민요를 잘 부를 수 있나요?
수심가 평안도 민요
우리 음악의 여러 가지 형식
멸치 잡는 노래 제주도 어부들의 일노래
민요에서 메기고 받는 것이 무엇인가요?
쾌지나 칭칭 나네 경상도 민요
놀이를 하면서 노래해요
늴리리야 경기 민요
장구 치는 법을 배우고 싶어요
박타령 판소리 <흥보가>의 박타는 대목
장단에 따라 느낌이 달라요
춘향가 어사출두 대목
서편제, 동편제가 무엇인가요?
수궁가 토끼가 용왕을 속이는 대목
장조와 단조가 우리 음악에도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