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사회 각계각층 마흔아홉 명의 명사들이 살아오는 동안 자신의 삶을 바꾸어 놓았거나 영혼에 큰 울림으로 다가왔던 한마디의 말과 거기에 얽힌 사연들을 모아 엮은 「머뭇거리지 말고 시작해」.
소 소작을 하는 어머니 밑에서 힘들게 공부했던 시절 들었던 '오로지 농민을 위해 살아 다오' 한 마디를 가슴에 품고 살았다는 황우석 박사, '선생님처럼 그리지 않을래요'라는 제자의 말에 삶의 철학이 달라진 만화가 박재동을 포함해 \'걸을 때는 걷는 생각만 하라\'는 박완서, \'박수 칠 때 떠나라\'고 말하는 주철환 등 영혼을 울리는 한마디의 말을 담고 있다.
이 책은 삶의 갈림길에서 머뭇거릴 때, 뜻하지 않은 실패로 절망에 빠졌을 때, 삶의 무게가 버거울 때, 힘이 되는 말 한마디를 색감 고운 일러스트와 함께 소개하고 있다.
출판사 리뷰
어둠 속에서도 훤히 얼굴이 빛나고
절망 속에서도 키가 크는 한마디의 말
실패나 좌절을 경험했을 때, 갈등과 방황의 시기에, 그저 사는 일이 버거울 때 누군가가 해준 한마디가 가슴속에 오래오래 남을 때가 있다. 그 한마디가 삶의 갈림길에서 나침반이 되어 주기도 하고, 절망에서 일으켜 세우는 힘이 되기 되기도 한다. 어떤 말들, 어떤 가르침이 한 사람의 인생을 바꿔 놓았을까.
이 책에는 사회 각계각층 마흔아홉 명의 명사들이 살아오는 동안 자신의 삶을 바꾸어 놓았거나 영혼에 큰 울림으로 다가왔던 한마디의 말과 거기에 얽힌 사연들이 담겨 있다. 그 한마디는 길을 지나다 우연히 만난 플래카드의 한 구절이나 텔레비전에서 들었던 한마디이기도 하고, ‘고진감래’처럼 누구나 익히 알고 있는 말이기도 하다. 혹은 주위의 가까운 이가 애정으로 던진 말이거나 누군가 무심히 내뱉은 말이기도 하다.
평범해 보이는 그 한마디가 상처받은 마음을 어루만지고, 좌절과 방황에서 일으켜세우고, 한 사람의 삶의 방향을 바꾸어 놓았던 것이다. 이 책에 실린 한마디는 그 사람의 생에 있어 가장 큰 선물이 되어 주었던 한마디들이다. 마흔아홉 명의 필자들의 진솔한 삶의 고백이 담겨 있는 이 한마디는 ‘나’를 움직인 한마디에 그치지 않고, ‘우리’ 모두의 영혼을 울리고 나아가 삶을 바꾸어 놓는다. 어둠 속에서도, 절망 속에서도 그 한마디는 꿋꿋이 살아남아 길을 밝히고 영혼의 키를 자라게 한다.
이 책은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는 ‘넘어지면 또 일어나라’라는 제목 아래 실패와 좌절의 늪에서 일으켜 세운 한마디들이 묶여 있고, 2부에는 ‘다들 제 몫을 견디며 사는 거야’라는 제목으로 영혼을 촉촉이 적신 한마디가, 3부 ‘머뭇거리지 말고 시작해’에는 삶을 바꾸어 놓은 한마디가, 4부 ‘잘 걷는 자 발자국이 없다’에는 사는 동안 두고두고 가슴속에 남은 한마디가 묶여 있다.
소 소작을 하는 어머니 밑에서 힘들게 공부했던 시절 들었던 “오로지 농민을 위해 살아 다오” 한마디를 가슴에 품고 살았다는 황우석 박사, “선생님처럼 그리지 않을래요”라는 제자의 말에 삶의 방향이 달라졌던 만화가 박재동, “가슴 뛰는 일을 하라”고 말하는 한비야, “걸을 때는 걷는 생각만 하라”는 어머니의 말씀을 예순이 넘어서야 알아듣게 되었다는 박완서.
이외에도 “배울 것이 남아 다시 태어난다”(임영태), “위해 줄 거예요”(공선옥), “얼른 와, 기다리고 있을게”(곽재구), “나를 기관 단총처럼 써먹게”(안도현), “우주에서 바라다보라”(강인선), “해서 안 될 사랑은 없다”(박승걸), “박수 칠 때 떠나라”(주철환), “선과 악이 모두 나의 스승이라”(한승헌), “잘 가는 자 발자국이 없다”(나희덕) 등 영혼을 울리는 한마디의 말들이 담겨 있다.
삶의 선택의 기로에서 머뭇거리고 있는 이에게, 방황하는 자녀에게, 삶의 무게가 버거운 이에게, 뜻하지 않은 실패로 좌절한 이에게 줄 수 있는 이보다 더 좋은 선물은 없을 것이다. 실의에 빠져 있는 친구에게 한마디 말보다 더한 선물은 없다. 하지만 어떤 말을 해야 할지 주저된다면, 이 책을 선물하자. 진심 어린 한마디보다 더 좋은 선물이 될 것이다.
작가 소개
저자 :
강인선(거북이북스 대표) | 고명인(의사) | 공선옥(소설가) | 곽재구(시인) | 권지예(소설가) | 김명곤(연극인) | 김성훈(상지대 총장) | 김신명숙(칼럼니스트) | 김용석(철학자) | 김종광(소설가) | 김해성(목사) | 나희덕(시인) | 노혜경(시인) | 마종기(시인) | 박승걸(연극 연출가) | 박은희(음악 감독) | 박재동(시사만화가) | 박완서(소설가) | 백창우(작곡가) | 성기완(문학 평론가) | 안도현(시인) | 윤성희(소설가) | 이경자(소설가) | 이권우(도서 평론가) | 이금룡(넷피아 대표이사) | 이명원(문학 평론가) | 이문재(시인) | 이순원(소설가) | 이우일(만화가) | 이주연(건축 평론가) | 이희재(만화가) | 임영태(소설가) | 장사익(소리꾼) | 장차현실(만화가) | 전진삼(건축 평론가) | 정길화(문화방송 PD) | 정은숙(마음산책 대표) | 조남규(무용가) | 조광호(신부, 화가) | 조은(시인) | 주철환(교수) | 천경수(과학자) | 최민식(사진가) | 최홍규(쇳대박물관 관장) | 한비야(월드비전 긴급구호팀장) | 한승헌(변호사) | 홍기돈(문학 평론가) | 황우석(과학자) | 황정민(한국방송 아나운서) _가나다순
목차
넘어지면 또 일어나라
넘어지면 일어나라/ 이경자
눈 녹으면 땅 드러날 날 있는거야/ 백창우
배울 것이 남아 다시 태어난다/ 임영태
우주에서 바라다 보라/ 강인선
나를 기관 단총처럼 써먹게/ 안도현
네가 가만있는데, 내가 왜/ 천경수
큰 열매를 맺는 꽃은 천천히 핀다/ 이순원
날지 못하는 것은 운명이지만, 날아오르려 하지 않는 것은 타락이다/ 홍기돈
천천히, 그러나 끊임없이/ 마종기
크나큰 절망이 결의로 변해간다/ 김명곤
일하라고 가난한 겨/ 김종광
땅에 넘어진 자 그 땅을 짚고 일어나야 한다/ 이문재
다들 제 몫을 견디며 사는거야
위해 줄 거예요/ 공선욱
얼른 와, 기다리고 있을게/ 곽재구
아파, 나도 아프다고/ 김용석
다들 제 몫을 견디며 사는거야/ 조은
잘되어 주어서 고맙다/ 이권우
운명은 인간의 것이지만, 생명은 신의 것이다/ 권지예
왜 그냐면 그냥 좋다/ 이주연
사랑하라, 희망없이/ 이명원
한 말씀만 하소서, 내 영혼이 곧 나으리이다/ 노혜경
꽃은 단지 스스로 필 뿐이야/ 전진삼
몰락에 직면함으로써 자신에게 더 가까워 질 수 있다/ 윤성희
담배 자꾸 피면 ....무좀 생겨/ 장차현실
앉자!/ 성기완
머뭇거리지 말고 시작해
가슴 뛰는 일을 하라/ 한비야
사랑하라, 그리고 마음대로 하라/ 조광호
박수 칠 때 떠나라/ 주철환
선생님처럼 그리지 않을래요/ 박재동
할 수 있는 일이면 과감히 행하라/ 김신명숙
해서 안 될 사랑은 없다/ 박승걸
나이 서른에 우린 어디에 있을까/ 김혜성
머뭇거리지 말고 시작해/ 이희재
존재의 가벼움은 참을 수없다/ 정은숙
이런 건 네가 아니야/ 고명인
미래가 없는 남자는 용서할 수 없다/ 조남규
어떤 것 없이 살 수 없을 때/ 정길화
잘가는 자 발자국이 없다
걸을 때는 걷는 생각만 하라/ 박완서
고진감래/ 이우일
선악이 모두 나의 스승이다/ 한승천
오로지 농민을 위해 살아다오/ 황우석
얘들아, 더 먹고 싶을 때 그만둬라/ 김성훈
공부는 평생하는거야/ 최홍규
잘 가는 자 발자국이 없다/ 나희덕
3년은 3분처럼/ 장사익
누구를 위한 사진인가/ 최민식
길은 언제나 어디에나 있다/ 황정민
열정은 불가능을 가능하게 한다/ 이금룡
친절이 가장 남는 장사입니다/ 박은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