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논술.토론의 기초를 닦는 고전읽기 시리즈 4권. 후설이 1935년 5월 7일과 10일 오스트리아의 빈(Wien)문화협회에서 행한 강연 『유럽 인간성의 위기에서 철학』과 『대영백과사전』의 ‘현상학’ 항목을 작성하려고 1927년부터 하이데거와 공동으로 집필하다 견해차가 점차 심화된 상황에서 독자적으로 작성한 4차 최종판(14판 제17권, 1929)을 옮긴 것이다.
이 두 작품을 한데 묶은 이유는 『유럽 인간성의 위기에서 철학』이 다루고 있는 문제의식이 1910년대 초의 『엄밀한 학문으로서의 철학』과 직접 연결될 뿐만 아니라, 최후의 저술 『유럽 학문의 위기와 선험적 현상학』의 초안이자 모체이므로 다양하게 발전을 거듭해나간 후설 현상학의 전모를 파악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출판사 리뷰
논술.토론의 기초를 닦는 고전읽기 시리즈 4권. 후설이 1935년 5월 7일과 10일 오스트리아의 빈(Wien)문화협회에서 행한 강연 『유럽 인간성의 위기에서 철학』과 『대영백과사전』의 ‘현상학’ 항목을 작성하려고 1927년부터 하이데거와 공동으로 집필하다 견해차가 점차 심화된 상황에서 독자적으로 작성한 4차 최종판(14판 제17권, 1929)을 옮긴 것이다.
이 두 작품을 한데 묶은 이유는 『유럽 인간성의 위기에서 철학』이 다루고 있는 문제의식이 1910년대 초의 『엄밀한 학문으로서의 철학』과 직접 연결될 뿐만 아니라, 최후의 저술 『유럽 학문의 위기와 선험적 현상학』의 초안이자 모체이므로 다양하게 발전을 거듭해나간 후설 현상학의 전모를 파악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작가 소개
저자 : 이종훈
성균관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후설현상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현상학회 회장(2011~12)을 지냈고, 춘천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철학을 하는 길』 『현대사회와 윤리』 『후설의 현상학과 현대문명 비판』 등이 있다. 후설의 저서 『순수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 『유럽학문의 위기와 선험적 현상학』 『시간의식』 『데카르트적 성찰』 『현상학적 심리학』 『형식논리학과 선험논리학』 『엄밀한 학문으로서의 철학』 『경험과 판단』을 옮기는 등 후설현상학을 국내에 소개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 외에 옮긴 책으로는 『소크라테스 이전과 이후』(콘퍼드), 『언어와 현상학』(수전 커닝햄) 등이 있다.
목차
일러두기
해설
제1부 인간성의 위기와 철학의 사명
Ⅰ. 객관적 자연과학이 불러일으킨 위기
Ⅱ. 유럽 학문이 위기에 처한 원인은 길을 잘못 들어선 합리주의
Ⅲ. 인간성의 목적과 철학의 사명
제2부 대영백과사전의 ‘현상학’
Ⅰ. 순수 심리학, 그 경험의 장(場)과 방법 및 기능
Ⅱ. 현상학적 심리학과 선험적 현상학
Ⅲ. 선험적 현상학과 절대적으로 정초하는 가운데 보편적 학문인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