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중국 유교 경전의 대표작 <중용> 입문서. 공자의 손자 자사가 쓴 것으로 알려진 이 책은, 중(中)과 용(庸)의 개념을 합한 보다 실천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 공자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중'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음을, '용'은 평상(平常)을 뜻한다.
자사는 공자 사상에서 형이상학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중용'을 통해 일상생활과 가정, 사회, 국가 안에서 중용을 실천하는 법과 어떤 일을 하든 그 정성스러움의 중요성을 알려준다. 이 책은 '서울대 선정 인문고전 50선'의 28권으로 학자, 연구자, 일선 학교 선생님들이 원서를 연구, 해석해 글을 썼고 중견 만화가들이 만화로 재구성하였다.
출판사 리뷰
동양 5성(聖)에 속하는 자사(子思)가 제시하는 너와 나, 우리 모두가 잘 사는 법!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지녀야 할 태도와 자세를 ‘중용의 도’에서 찾는다!
《대학》, 《논어》, 《맹자》와 함께 사서(四書)라 불리는, 중국 유교 경전의 대표작 《중용》. 공자의 손자 자사가 쓴 것으로 알려진 이 책은 중(中)과 용(庸)의 개념을 합한, 보다 실천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 공자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여기서 ‘중’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다는 것을, ‘용’은 평상(平常)을 뜻하는데, 이로써 사람으로서 살아가야 할 이치와 타인을 대하는 이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자사는 공자 사상에서 형이상학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중용’을 사람들이 잘 이해하고 그에 따라 실천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 책을 썼다. 도(道), 교(敎), 정성스러움[성(誠)], 천명(天命) 등과 같은 주요 개념을 통해 ‘중용의 도리’를 보여준다. 일상생활과 가정, 사회, 국가 안에서 중용을 실천하는 법과 어떤 일을 하든 그 정성스러움의 중요성을 알려준다.
꼭 읽어야 할 인문고전, 이제 쉽고 재미있게 만화로 본다
수업시간에 익히 들은 저자와 그 저서들이지만 막상 선뜻 읽을 엄두가 나지 않던 역사 속의 인문고전을 이제 만화로 쉽고 재미있게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서울대 선정 인문고전 50선》은 서울대 인문학부 교수진이 2004년 선정한 ‘서울대생들이 꼭 읽어야 할 인문고전’을 어린이와 청소년이 이해하기 쉽도록 만화로 만든 인문고전 입문서이다. 내용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학자, 연구자, 일선 학교 선생님들이 원서를 연구, 해석해 글을 썼고 중견 만화가들이 만화로 재구성해 기존의 학습만화와는 달리 최대한 원서의 지식을 정확히 전달하고자 노력했다. 만화적인 상상력보다는 만화가 가진 직접적이고 용이한 정보 전달, 그리고 그것을 위한 최소한의 재미적인 요소로 구성한 《서울대 선정 인문고전 50선》은 단순한 만화버전이 아닌 인문고전의 또 하나의 판본이다.
혹시 고전을 단순히 고리타분한 ‘구세대의 잔재’라고 생각하고 있는 건 아닌지? 그렇다면 당신이야말로 《서울대 선정 인문고전 50선》을 봐야만 한다. 고전은 인류의 지혜가 응축된 지적 양식이자 인류 공통의 언어이다. 또 지난날 우리들 삶의 뿌리와 줄기가 되어왔으며 오늘날의 우리 삶을 창조적으로 풀어나가게 하는 무한한 상상력과 창조력이 들어 있다. 특히나 논술적 사고를 필요로 하는 수험생들은 꼭 읽어야만 하는 필수 교양서이다.
《01 마키아벨리 군주론》《02 헤로도토스 역사》《03 노자 도덕경》《04 플라톤 국가》《05 토마스 모어 유토피아》《06 루소 사회계약론》《07 정약용 목민심서》《08 찰스 다윈 종의 기원》《09 사마천 사기열전》《10 존 S. 밀 자유론》《11 홉스 리바이어던》《12 애덤 스미스 국부론》《13 이익 성호사설》《14 데카르트 방법서설》《15 갈릴레이 두 우주 체계에 대한 대화》《16 베르그송 창조적 진화》《17 몽테스키외 법의 정신》《18 베이컨 신논리학》《19 이중환 택리지》《20 유성룡 징비록》《21 최제우 동경대전》《22 프로이트 꿈의 해석》《23 대학》《24 박은식 한국통사》《25 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26 존 로크 정부론》《27 뉴턴 프린키피아》에 이어 《28 중용》이 출간됐다.
그 스물여덟 번째 권, 《28 중용》
동양 5성(聖)에 속하는 자사(子思)가 제시하는 너와 나, 우리 모두가 잘 사는 법!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지녀야 할 태도와 자세를 ‘중용의 도’에서 찾는다!
《대학》, 《논어》, 《맹자》와 함께 사서(四書)라 불리는, 중국 유교 경전의 대표작 《중용》. 공자의 손자 자사가 쓴 것으로 알려진 이 책은, 중(中)과 용(庸)의 개념을 합한 보다 실천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 공자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여기서 ‘중’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다는 것을, ‘용’은 평상(平常)을 뜻하는데, 이로써 사람으로서 살아가야 할 이치와 타인을 대하는 이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자사는 공자 사상에서 형이상학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중용’을 사람들이 잘 이해하고 그에 따라 실천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 책을 썼다. 도(道), 교(敎), 정성스러움[성(誠)], 천명(天命) 등과 같은 주요 개념을 통해 ‘중용의 도리’를 보여준다. 일상생활과 가정, 사회, 국가 안에서 중용을 실천하는 법과 어떤 일을 하든 그 정성스러움의 중요성을 알려준다.
목차
기획에 부쳐
머리말
제1장《중용》은 어떤 책일까?
제2장 자사는 누구일까?
제3장 하늘과 땅 그리고 인간 - 천.성.도.교
제4장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제5장 중용의 도리에 따라 살아라!
제6장 중용의 도는 가까운 데 있다
제7장 진실로 강한 것
제8장 군자의 중용지도
제9장 효를 다하면 모든 일을 이룰 수 있다
제10장 다스림의 아홉 가지 원리와 성
제11장 지성이면 감천이다
제12장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
《중용》깊이 읽기
철학의 학문적 분과와 과학, 철학, 신학의 이해
사군자와 사대문에 대하여
우리 생활 곳곳에 숨어 있는 음양오행사상
기쁘게 사는 것과 슬프게 사는 건 마음에 달렸다
학술대회와 제사의 중요성
동서양의 인식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