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두 아이를 대안학교에 보낸 대인배 엄마의 희희낙락 교육 분투기
초등학교 3학년이 되도록 한글을 떼지 못해도 닦달하지 않고, 초등학교 5학년이던 아이가 '100 곱하기 100이 200'이라고 대답을 해도 동요하지 않는다. 학교에 들어가기 전부터 영어 유치원이다 뭐다 온갖 교육을 시키는 부모들과는 천양지차. 이 엄마,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애를 키우는 걸까?
이 책은 보통 엄마들과는 \'조금 다른\' 생각을 지닌 간 큰 엄마 권영숙이 마음으로 쓴 10가지 다짐으로, 공부를 잘해 명문대에 들어가 돈 잘 버는 직업을 가지며 흔히 말하는 \'주류\'로 승승장구하며 사는 것보다 자식이 사람 되기, 자신이 행복한 일을 하면서도 사회에 보탬이 되는 사람으로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 저자의 두 아이를 대안학교에 보내며 썼던 7년간의 기록을 묶어낸 이 책에는 자녀 교육에 끝없이 고민하고 걱정하면서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에게 지금보다 조금 느리게 가도 괜찮다는 위안의 메시기를 담고 있다.
두 딸을 생각하며 가슴으로 써낸 10가지 다짐, 범상치 않은(?) 딸들과의 일상 속 에피소드에서 얻은 보석 같은 아이 키우기 노하우를 수록하였다. 아이를 학교에 보내면서부터 많은 고민들을 시작했다는 저자는 아이를 키우면서 겪었던 시행착오와 아이들의 행동 하나하나에 울고 화내고 웃고 즐거웠던 자신의 모습, 두 딸과 지지고 볶으며 사는 이야기를 꾸밈없이 드러냈다. 또한 저자가 직접 인터뷰한 대안학교 졸업생들의 이야기를 통해 대안학교에 대한 학부모들의 선입견과 궁금증을 조금이나마 덜어주고 있다.
작가 소개
저자: 권영숙
어릴 적 꿈은 작가였다. 그러나 그 꿈을 누구에게 말해본 적은 없다. 그 꿈을 이루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때문이었다. 그 불안감은 맞았다. 문예창작과 국문학을 전공하고도 글 쓰는 사람이 되지 못했다. 그러던 어느 날 우연히 이오덕 선생님의 『살아 있는 글쓰기』를 보았고, 순간 ‘왜 작가가 되려고 했던가’를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그때부터 주변에서 일어난 이야기를 편하게 쓰기 시작했다. 잘 써야 한다는 생각, 남들이 인정해줄 만한 글을 써야 한다는 생각을 내려놓으니 글이 써졌다.
목차
추천의 글
글쓴이의 말
01 나는 아이에게 바다를 비추는 등대로 남을 것이다
외로움을 타는 아이에게
아이 앞에서 솔직해지고 싶다
짜증내는 아이, 다그쳐야 하나?
사소한 문제 앞에서 한숨 나올 때
아이의 쓸데없는 고집 앞에서
너그러운 아이로 키우고 싶다
스스로 행복을 찾는 아이
․대안학교 졸업생 인터뷰 : 강한결
부모님이 저의 가장 열렬한 지지자입니다.
02 나는 사회가 규정한 특 속에 아이를 가두지 않을 것이다
아이의 엉뚱한 질문, 당황스럽다
짓궂은 걸까, 기발한 걸까
창의력 넘치는 아이로 키우기
아이의 왕성한 호기심, 대책이 없다
아이가 엇나갈까봐 애가 탈 때
마음이 건강한 아이로 키우고 싶다
03 나는 아이를 성적으로 평가하지 않을 것이다
내 아이가 고부를 못한다고?
도통 공부에 관심이 없는 아이에게
공부하지 않는 아이의 미래가 걱정이라면?
공부는 벼슬이 아니다
․대안학교 졸업생 인터뷰 : 양다솜
저에게 가치 있는 것은 돈이나 성공이 아니라 ‘사람’입니다
04 나는 내 아이를 “엄친아”로 만들지 않을 것이다
아이의 학벌에 욕심난다고?
아이의 자존감 높여주기
가르침은 타이밍이 관건
아이 인생에 간섭하고 싶어질 때
․대안학교 졸업생 인터뷰 : 김산
진짜 하고 싶다면 할 수 있고, 최선을 다하면 이룰 수 있다
05 나는 아이에게 “왜 그것밖에 못하니?”가 아니라 “괜찮아, 그럴 수도 있어”라고 말할 것이다
사랑의 매도 매다
아이와 의견이 충돌하기 시작했다
아이의 고집을 꺾을 수 있을까?
함부로 말하는 아이. 말버릇 고치기
실수가 잦은 아이에게
06 나는 아이의 ‘자아독립’을 인정해줄 것이다
더불어 살 줄 아는 힘
아이에게 독립심을 가르쳐주고 싶다
내 아이, 왜 내 뜻대로 안 될까?
자발적인 아이로 키우기
제멋대로 행동하는 아이
아이에게 책임감을 가르쳐줘야 할 텐데
․대안학교 졸업생 인터뷰 : 문혜영
아낌없이 열정을 쏟아붓고 도전하며 살고 싶어요
07 나는 아이에게 ‘최고’라는 말보다 ‘배려’와 ‘당당함’을 가르칠 것이다
편견 없는 아이로 키우고 싶은 마음
왕따 문제에 대처하는 자세
세상에 보탬이 되는 사람
양보하는 마음은 갑자기 생기지 않는다
최고가 아니어도 괜찮다는 용기
비폭력 서약식이 주는 깨달음
안티 문화에 젖어드는 아이에게
․대안학교 졸업생 인터뷰 : 이진술
주류든 비주류든 세상을 변화시키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08 나는 이 세상 누가 뭐라 해도 내 아이를 믿을 것이다
아이에게 신뢰받는 부모 되기
허물없는 부모 자식 사이
가족 간의 유대감을 높여보자
아이를 향한 못 미더운 마음
09 나는 절대 아이의 아빠 엄마를 나쁜 사람으로 만들지 않을 것이다
자기 존재의 긍정성 심어주기
부모가 보지 못하는 자식의 모습
이해할 수 없는 아이의 분노
어떤 부모가 되어야 할까?
내 아이와 마음으로 이어진 사이였으면 좋겠다
10 나는 오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아이를 속박하지 않을 것이다
올곧은 사람으로 자라주렴
마음에 차지 않는 아이를 바라보며
아이의 요구, 어디까지 들어줘야 할까?
자기주장만 하는 아이
아이와 부모의 가치가 대립할 때
․대안학교 졸업생 인터뷰 : 이수연
제 인생에 만족하고 행복하기 위한 길을 찾고 있어요
글을 마치며
부록 : 전국 대안학교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