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저자 : 김명곤
1952년 전북 전주에서 태어났다. 1983년 영화 <바보 선언>으로 데뷔한 이래 <서편제>, <태백산맥> 등 여러 작품에 출연했다. <서편제>로 1993년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교사 극단 ‘상황’, 놀이패 ‘한두레’, 극단 ‘연우무대’에서 연극 활동을 하다 전통 연희의 현대적 수용과 민족극 수립을 목표로 1986년 극단 ‘아리랑’을 창단했다. 2000∼2005년 국립중앙극장장을 지냈고, 2006년 제42대 문화관광부 장관에 취임했다. 현재 동양대학교 석좌교수이며 공연 제작사인 ‘아리인터웍스’ 대표다. <아리랑>(1986), <갑오세 가보세>(1988), <인동초>(1988), <점아 점아 콩점아>(1990), <격정만리>(1991), <유랑의 노래>(1998), <우루 왕>(2000) 등을 썼고, 배우, 성우, 연극 연출가로도 활동 중이다.
1. 고대 우리 음악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먼 옛날 고대의 우리 음악_10
노래와 춤이 있는 축제 같은 ‘굿’_13
2. 고유한 음악을 만든 삼국과 가야
거문고를 만든 고구려_20
일본에 음악을 전해 준 백제_24
노래의 나라, 신라_26
문화가 발달한 작은 나라, 가야_30
3. 불교 음악이 꽃피었던 통일신라시대
전통음악과 외래음악이 하나가 된 통일신라 음악_36
4. 고려시대에는 어떤 음악이 있었을까요?
궁중 음악의 발달_44
새로운 향악의 등장_46
5. 조선시대 음악
세종대왕의 음악 정책_52
민속악의 발달_58
아주 먼 옛나루터 우리 곁에 있던 민요_62
흥겨운 장단에 신명 나는 풍물놀이_69
6. 판소리와 일제강점기 음악
서민들을 위한 노래 판소리_74
노래하는 소리 광대_82
일본 침략으로 위기를 맞은 판소리_85
7. 새로운 우리 음악
해당 후 민족정신을 되살린 음악_90
친근한 음악으로 발전한 국악_91
퀴즈로 풀어 보는 우리 소리 이야기
특별부록 : 음악으로 듣는 한국 음악사 CD
선곡 : 국악방송 이윤경 팀장, 마스터링 : 국악방송 장형덕 감독
고대 시대 우리 음악
1 굿 남해안별신굿-애장소리
연주자 정영만 외, 시간 8:32(일부, 4:24), 음원 국악방송
삼국과 가야시대 우리 음악
2 거문고독주 영산회상-하현도드리
연주자 이세환, 시간 2:48(전곡), 음원 국악방송
통일신라시대 우리 음악
3 대금독주 청성곡
연주자 김정승, 시간 8:24(일부, 3:27), 음원 국악방송
조선시대 우리 음악
4 궁중음악 여민락 1장 일부
연주자 국립국악원, 시간 6:38(일부, 4:00), 음원 국립국악원
5 영산회상 타령
연주자 곽태규 외, 시간 3:00(전곡), 음원 국악방송
6 시조 동창이
연주자 김병오, 시간 3:41(전곡), 음원 국악방송
7 시나위 연주자 이용구 외, 시간 11:58(일부, 3:41), 음원 국악방송
8 산조 가야금산조-휘모리
연주자 이지영, 시간 7:21(전곡), 음원 국악방송
9 민요 모 심는 소리-열소리
연주자 최장규 외, 시간 2:57(전곡), 음원 국악방송
10 민요 정선 아리랑
연주자 김길자 외, 시간 3:05(전곡), 음원 국악방송
판소리와 일제강점기
11 판소리 사랑가
연주자 정경화, 시간 5:03(전곡), 음원 국악방송
새로운 우리 음악
12 사물놀이 연주자 신창렬 외, 시간 4:54(전곡), 음원 국악방송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