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김용천
양평전자과학고 교사.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소위 '비주류' 과목인 한국사를 가르치고 있다. 입시가 아니라 삶에 있어서도 역사 수업이 흥미롭고 의미가 있다는 것을 몸소 실천하기 위해 토론식 수업을 진행 중이다. 전국역사교사모임에서 활동하고 있다.
저자 : 문성식
출판사 단군과 제우스의 편집자. 동국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였다. S1사회탐구학원의 초-중등 대표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학교 밖의 역사교육 현장을 주목하여 현장체험학습 사업 및 토론, 논술 등 다양한 역사교육자료 콘텐츠 개발에 힘써왔으며 앞으로도 작업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저자 : 손석영
시흥 장곡고등학교에서 학생들과 함께 한국사, 동아시아사를 나누고 있다. 동아시아사를 통해 학생들이 민족과 국가를 넘는 평화의 모습을 그려 갔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수업에 임한다.
저자 : 이민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 과정. 동국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민속학을 전공하고 있다. 석사 논문으로 <도시화에 따른 마을과 농업의 변화: 인천 남동구 남촌동의 사례>를 연구했다. 현재 '책과 구술의 음식사 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농업과 식생활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1장. 기록 이전의 역사
[구석기 시대] 24
- 상상력으로 만든 주먹도끼
- 구석기인이 사는 방법
[신석기 시대] 32
- 풍요를 비는 목소리
- 신석기인의 잘 먹고 잘 사는 법
[청동기 시대] 40
- 화염이 만들어낸 기적 청동기
- 농사와 계급의 상관 관계
2장. 고조선의 등장과 여러 나라의 성장
[고조선의 성립과 멸망] 58
- 고조선 건국 이야기 단군 설화
- 철기 시대로 진입한 고조선
- 위만조선의 멸망과 새 시대의 시작
[여러 나라의 성장] 72
- 만주에서 성장한 부여와 고구려
- 동해안의 작은 두 나라 옥저와 동예
- 풍요로운 남쪽의 세 연맹왕국 삼한
3장. 삼국의 성립
[고구려와 백제의 성립] 94
- 부여에서 고구려로 활을 잘 쏘는 주몽
- 비류와 온조 엇갈린 두 왕자의 운명
[고구려의 성장] 108
- 외로운 유리왕의 홀로서기
- 어려움을 극복한 고구려 왕들
[신라의 성립] 120
- 알에서 태어난 신라의 시조들
- 마립간 시대를 연 내물왕
- 황금의 나라 신라
[가야의 성립] 130
- 거북아 거북아 나오지 않으면 구워 먹으리
- 가야의 대표 철기 유물
4장. 끝날 줄 모르는 삼국 간의 전쟁
[백제와 고구려의 싸움] 150
- 국가의 체계를 세운 고이왕
- 대세 근초고왕 열세 고국원왕
- 고국원왕의 원수를 갚은 소수림왕과 광개토대왕
- 남쪽으로 진출한 장수왕
- 다시 일어선 백제 무령왕
[신라의 성장] 178
- 마립간에서 왕으로 지증왕
- 이차돈의 순교와 법흥왕
- 백제의 불꽃 성왕과 진격하는 신라 진흥왕
5장. 신라의 삼국통일
[고구려와 수, 당의 충돌] 204
- 수나라의 통일과 고구려의 대응
- 수나라와 고구려의 운명을 가른 전쟁
- 연개소문과 당 태종의 한 판 승부
[백제의 부흥과 코너에 몰린 신라] 216
- 백제의 부활을 이끈 무왕
- 김춘추와 선덕여왕의 고군분투
- 통일로 가는 길 나당동맹의 결성
[고구려와 백제의 멸망] 228
- 나당연합군의 공격과 백제의 멸망
- 연개소문의 죽음과 고구려의 멸망
[신라의 삼국통일] 238
- 신라의 마지막 과제 나당전쟁
- 마지막 관문 매소성, 기벌포 전투
6장. 너나들이 역사 여행
[선사시대 맥가이버 칼, 주먹도끼] 258
- 전곡선사박물관
- 인터뷰 : 전시기획자 이성연
- 전곡리 선사 유적지
- 연천 통현리 고인돌 공원
- 에세이 : 경계를 허무는 공간
[한강이 품은 삼국시대] 284
- 한성백제박물관
- 인터뷰 : 전시기획자 김기섭
- 석촌동고분군
- 고구려 대장간 마을
- 에세이 : 한강이 기억하는 이야기
[은은한 물빛이 빛나는 공주, 부여] 310
- 무령왕릉(송산리고분군)
- 국립부여박물관
- 인터뷰 : 학예연구사 김선영
- 정림사지
- 에세이 : 멸망의 역사와 선입견
주제 확인하기 / 쟁점 토론하기 / 역사 해보기
[1장. 기록 이전의 시대]
왜 돌로 시대를 구분할까?
수렵, 채집으로 먹고 산 구석기인들의 삶은 현대인의 삶보다 풍요로웠다.
청동기 시대 생겨난 계급은 인류에게 커다란 비극의 시작이었다.
제시문을 참고하여, 농경과 목축이 인류 사회에 미친 영향을 종합적으로 서술하시오.
[2장. 고조선의 등장과 여러 나라의 성장]
지역마다 풍습이 다른 이유는?
위만조선은 연나라 사람이 세운 나라이므로 중국 역사에 포함된다.
내가 부여의 권력자라면 기꺼이 나의 죽음에 함께 할 순장조 100인을 뽑겠다.
당신은 고대왕국의 권력자이다. 당신이 도읍지로 정할 수 있는 땅은 아래의 네 유형뿐이다. 어디를 선택할지 고르고 그 이유를 서술하시오.
[3장. 삼국의 성립]
설화로써 역사적 진실에 얼마나 다가갈 수 있을까?
풍납토성의 발굴과 복원을 위해 풍납동 주민들은 국가의 토지보상에 적극 협조해야 한다.
주몽이 유리에게 왕위를 물려준 행위는 현명했다.
봉상왕이 폐위된 이유를 제시문 중 하나를 인용하여 밝히고,
좋은 지도자가 가져야 할 가장 중요한 가치관은 무엇인지 자신의 생각을 서술하시오.
[4장. 끝날 줄 모르는 삼국 간의 전쟁]
삼국은 왜 불교를 받아들였을까?
고구려사는 한국사이다.
국익을 위해서라면 국가 간의 외교관계는 파기해도 된다.
2~4세기 고구려의 왕권강화에 관해 서술한 (가) 제시문을 (나)~(라)의 사료를 참고하여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구성하여 서술하시오.
[5장. 신라의 삼국통일]
고구려와 백제는 왜 멸망했나?
연개소문은 고구려를 구한 영웅이었다.
화랑 반굴과 관창의 죽음은 명예로운 희생이었다.
(가), (나) 제시문을 읽고, 신라의 삼국통일에 대한 두 제시문의 태도를 대조한 후, (다)를 참고하여 두 제시문의 입장이 다른 이유를 서술하시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