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저자 : 구본형
구본형의 명함에는 ‘변화경영 전문가’라고 적혀 있다. 마흔여섯 살에 직장에서 나와 스스로의 정체성이 필요할 때 그를 지탱하게 해준, 스스로 명명한 직업의 이름이다. 오십 대 중반을 맞아 그는 ‘변화경영 사상가’라는 이름으로 스스로를 불렀다. 말 그대로 기술적 전문인에서 변화에 대한 철학과 생각을 일상에 녹여내는 사상가로 진화하고자 한 것이다. 이후의 모습에 대해서 그는 이렇게 적었다. “가능할지 모르지만 나는 ‘변화경영 시인’이라는 이름으로 죽고 싶다. 시는 젊음의 그 반짝임과 도약이 필요한 것이므로 아마도 그 빛나는 활공과 창조성을 따라가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시처럼 살 수는 있을 것이다. 시처럼 아름답게 살 수는 있지 않겠는가. 자연과 더 많이 어울리고, 젊은이들과 더 많이 웃고 떠들고, 소유하되 집착이 없는 자유로운 행보가 가능할 것이다.”구본형은 1954년 1월 충남 공주에서 태어났다. 서강대학교와 동대학원에서 역사학과 경영학을 전공하였고, 1980년부터 2000년까지 한국IBM에서 근무하며 경영혁신의 기획과 실무를 총괄했다. IBM 본사의 말콤 볼드리지 국제 평가관으로서 아시아 태평양 지역 조직의 경영혁신과 성과를 컨설팅했다. 2000년 3월, ‘익숙한 것과의 결별’을 선언하며 회사를 떠난 그는 1인 기업 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를 세웠고, 2005년부터 연구원을 선발하고 꿈벗들과 동행하며 ‘나’답게 살아가려는 이들을 도왔다. 100여 명의 제자들과 함께 공부하고, 함께 여행했다. 변화를 꿈꾸는 이들의 내면에 잠든 열정과 비전의 불꽃을 점화시켜 삶이 아름다워지도록 도왔다. 인문학과 경영학의 다양한 접점을 통해 시대의 화두를 발견했고, 변화와 성장을 고민하는 사람들과 소통하기를 즐겼다. 수년간 신화와 영웅담을 탐독하며 우리 내면의 변화 가능성을 재발견하는 연구에 몰두했다. “모두가 세상을 변화시키려고 하지만 정작 스스로 변하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다”라고 말한 톨스토이의 말을 빌려 변화의 시작은 자기혁명이어야 함을 강조했다. 삶의 모든 것들로부터 배우고 글을 쓰고 아름다운 영향력을 전하던 그는 2013년 4월, 59세로 세상을 떠났다.저서로 《익숙한 것과의 결별》(1999) 《낯선 곳에서의 아침》(1999) 《월드 클래스를 향하여》(2000) 《떠남과 만남》(2000) 《그대 스스로를 고용하라》(2001) 《오늘 눈부신 하루를 위하여》(2001) 《일상의 황홀》(2004) 《사람에게서 구하라》(2007) 《마흔세 살에 다시 시작하다》(2007) 《세월이 젊음에게》(2008) 《구본형의 필살기》(2010) 《깊은 인생》(2011) 《구본형의 신화 읽는 시간》(2012) 《구본형의 그리스인 이야기》(2013) 《나는 이렇게 될 것이다》(2013) 《구본형의 마지막 편지》(2013) 《구본형의 마지막 수업》(2014) 등이 있다.
저자 : 홍승완
지방대를 졸업하고 스물세 살까지 잘하는 것 하나 없는 평범한 삶을 살았다. 그러나 성장과 변화를 결단하고 ‘나는 누구인가?’ ‘내가 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내가 잘하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던지기 시작했다. 그의 20대는 이 질문들의 해답을 찾아가는 여정이었고, 그 과정을 통해 자신의 방향성을 탐색했다. 도약을 이루어낸 현재, 그는 4권의 책을 쓴 작가이자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다양한 기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낸 경영 콘텐츠 전문가다. ‘햇살처럼 마음으로 침투하는 꽃씨와 불씨’ 같은 책을 쓰고 콘텐츠를 개발하는 일을 소명으로 삼고 있다. 구본형변화경영연구소의 연구원으로 《공익을 경영하라》 집필에 참여했으며 박승오와 함께 ‘나침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공저로 《아름다운 혁명, 공익 비즈니스》, 《나는 무엇을 잘할 수 있는가》, 《내 인생의 첫 책 쓰기》 등이 있다.
저자 : 류춘희
대학에서 건축공학을 전공하고 건물 짓는 일을 했다. 엮은 책으로 시집 《시야, 너는 참 아름답구나!》가 있다.
저자 : 최정희
인천 당산초등학교 교사. ‘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의 연구원.
프롤로그 - 좋은 돈 나쁜 돈이 따로 있나요?
1. 돈이 많으면 부자라고? “가진 것을 나눌 줄 아는 사람이 진짜 부자지.”
나눔의 행복을 퍼뜨린 부자 워렌 버핏
2. 비싼 게 좋은 거라고? “돈으로 그 가치를 따질 수 없는 게 더 많아.”
전 재산을 털어 우리 문화재를 지킨 문화재 교육가 전형필
3. 가난은 어쩔 수 없다고? “무슨 소리! 가난은 우리 힘으로 충분히 없앨 수 있어!”
가난한 사람을 위한 은행을 만든 경제학자 무하마드 유누스
4. 내가 열심히 일해서 번 돈을 왜 나눠 주냐고? “나눌수록 즐거움이 커지는 걸 모르는구나?”
샐러드 소스를 팔아 번 돈 모두를 기부한 자선사업가 폴 뉴먼
5. 돈을 벌려면 환경을 해칠 수도 있다고? “환경을 지키면서도 돈을 많이 벌 수 있어!”
환경을 지키는 화장품을 만든 기업가 아니타 로딕
6. 돈을 많이 버는 회사가 일등 회사일까? “사회를 튼튼하게 만드는 회사가 일등 회사지!”
국민의 건강을 지키며 사회에 봉사하는 회사를 만든 기업가 유일한
7. 하고 싶은 일을 하려면 돈이 많아야 한다고? “돈보다 필요한 건 열정이야.”
세계 오지의 아이들을 위해 도서관을 짓는 사회 기업가 존 우드
8. 돈이 없는 어린이는 세상을 바꿀 수 없다고? “작은 힘이 모이면 큰 힘이 된단다.”
더 나은 내일을 꿈꾸는 사람들이 모인 사회적 기업 ‘아름다운가게’
에필로그 - 착한 돈은 나와 너, 모두를 행복하게 합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