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강원도교육청, 강원도청, 한국광해관리공단, G1강원민방이 지원을 하고, 강원진로교육원이 주관하여 운영하는 동명의 프로젝트인 ‘꿈을 향한 한 걸음’에서 제목을 따왔다. ‘꿈을 향한 한 걸음’은 강원도 내의 제한된 지역에 살고 있는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진로 비전의 씨앗을 심을 수 있도록 돕는 ‘청소년 진로 교육 프로젝트’로 강원도 내 4개 폐광 지역(태백, 정선, 영월, 삼척)의 고등학생들을 선발하여 배움과 기회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2017년에 진행된 ‘꿈을 향한 한 걸음’은 건축, 디자인, 협동조합으로의 진로에 관심을 가진 아이들과 함께했다. 선발을 통해 꾸려진 ‘1기’ 아이들과 4차례의 국내캠프와 10박 12일간의 국외캠프를 통해 꿈을 향해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가는 배움을 가졌고, 아이들은 그 과정을 꼼꼼히 기록으로 남겼다. 캠프 지원부터, 선발, 국내 캠프와 국외 캠프 전 과정에서의 배움을 놓치지 않고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간 것이다. 그 기록의 모음이 바로 이 책 <꿈을 향한 한 걸음>이다.
출판사 리뷰
진로 비전의 씨앗을 가슴에 품다
『꿈을 향한 한 걸음』은 강원도교육청, 강원도청, 한국광해관리공단, G1강원민방이 지원을 하고, 강원진로교육원이 주관하여 운영하는 동명同名의 프로젝트인 ‘꿈을 향한 한 걸음’에서 제목을 따왔다. ‘꿈을 향한 한 걸음’은 강원도 내의 제한된 지역에 살고 있는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진로 비전의 씨앗을 심을 수 있도록 돕는 ‘청소년 진로 교육 프로젝트’로 강원도 내 4개 폐광 지역(태백, 정선, 영월, 삼척)의 고등학생들을 선발하여 배움과 기회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2017년에 진행된 ‘꿈을 향한 한 걸음’은 건축, 디자인, 협동조합으로의 진로에 관심을 가진 아이들과 함께했다. 선발을 통해 꾸려진 ‘1기’ 아이들과 4차례의 국내캠프와 10박 12일간의 국외캠프를 통해 꿈을 향해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가는 배움을 가졌고, 아이들은 그 과정을 꼼꼼히 기록으로 남겼다. 캠프 지원부터, 선발, 국내 캠프와 국외 캠프 전 과정에서의 배움을 놓치지 않고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간 것이다. 그 기록의 모음이 바로 이 책『꿈을 향한 한 걸음』이다.
한 걸음씩 더디게 가는 ‘꿈찾기’의 길
아이들은 이른 봄부터, 자기소개서를 쓰고 자신의 진로에 대한 프로젝트 보고서를 작성해가며 선발을 준비했다. 5월에 스무 명의 아이들을 선발, 7월부터 본격적인 캠프에 들어가게 되었다. 7월부터 10월까지 4차례 진행된 국내캠프에서는 서울과 인천 정선을 오가며 짧게는 1박 2일, 길게는 2박 3일을 함께 지내며 아이들의 꿈을 지금 현재의 삶으로 살고 있는 인생선배들인 프로그램건축가, 광고디자이너, 시각디자이너, 사회적기업 운영 직업인, 관련 학과의 대학 교수, 대학생 선배들, 전문상담사 들을 직접 만나,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진로 체험 및 상담활동을 하였고 국외캠프에서는 스페인을 방문하여 가우디 건축물, 직업학교, 디자인학교, 몬드라곤 협동조합, 관련 대학, 미술관 등을 탐방하여 직접 보고 듣고 겪으며 더 크고, 넓은 시선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이 과정에서 아이들은 ‘선발에 떨어지면 어떡하나’ 걱정도 하고 불안해하기도 했지만, 노력하고 이만큼 애써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던 것만으로도 만족해하며 ‘지원’자체만으로도 잘한 것이라는 자체 평가를 내릴 정도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고, 자신의 적성과 진로, 꿈을 찾아 진지하고 열정적으로 전 일정을 소화하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혼자였더라면 어려울지 모를 길이지만, 마음을 다해 도와주는 선배와 선생님들의 도움을 감사히 받고, 동무들과 함께 길을 찾아가는 것이다.
책의 구성
이 책은 ‘설렘.꿈.도전 / 나를 알아 가기 / 꿈을 향한 1박 2일 / 스페인 일기’의 4부로 구성이 되어 있다. 엮은이인 ‘강원진로교육원’은 아이들이 더 당당한 모습으로 자신의 삶을 마주하기를 그리고 가슴에 새긴 씨앗 하나를 품고 큰 나무로 자라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엮었다.
1부인 ‘설렘.꿈.도전’에는 선발에 앞서, 준비하는 과정에서 아이들이 얼마나 고심하고 애쓰며 준비했는지가 눈에 선히 보이고 선발 당시의 긴장감과 떨림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아이들은 자기소개서를 작성하고, 관련 도서를 읽고 독후감을 써보고, 자신의 꿈에 대한 그림을 그려 보이며 선발을 준비했다. 내세울 것을 찾지 못해 자신 없는 ‘나’라도, 솔직하게 수용하고 당당하게 어깨를 펴는 모습들, 낯선 타인의 시선이 두렵지만 과정 과정을 이겨내고 끝내는 즐길 줄 아는 모습들, 꿈에 대해 고민하고 또 고민하며 한 발짝씩 내딛는 아이들의 모습에 절로 응원의 박수를 보내게 된다.
2부 ‘나를 알아 가기’에서는 ‘나’라는 존재에 대한 성찰의 시간을 담았다. ‘꿈’을 찾기 전, 자신의 적성과 취향, 관심분야에 대해 귀 기울이고 탐구하는 시간은 꼭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그 시간이 없다면 꿈이란 모래 위에 지은 집과 같을지 모른다. 2부에는 그 꼭 필요한 자기 탐구의 시간들을 담았다.
3부 ‘꿈을 향한 1박 2일’에서는 실제로 진행된 캠프가 어떤 흐름과 방식으로 운영되었는지 또한 어떠한 배움의 내용을 담았는지를 자세하게 기록했으며, 그 과정에서 아이들이 무엇을 보고 배우며 깨달았는지가 잘 드러나 있다.
4부 ‘스페인 일기’에는 처음 해외여행을 떠난 고등학생들의 설렘과 기대, 두근거림과 생경함이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다. 아이들은 책에서만 보던 가우디의 건축물을 보며 감탄을 내뱉고, ‘머리’로 하는 공부가 아닌 ‘몸’으로 배워가는 외국의 교육생들을 보며 ‘배움’이란 어때야 하는지를 깨닫고, 나의 적성과 꿈을 찾아 ‘강원도’라는 공간이 아닌 아주 새롭고 너른 시각을 체험한다.
무엇이 될까를 찾아 함께 내딛는 한 걸음
‘무엇이 될까’를 찾아가는 열린 길은 청소년만이 갖는 특권이며 그들에게 주어진 축복과도 같은 길이지만, 앞이 보이지 않는 불투명한 길이라는 점에서 끝없이 고민이 되는 불안한 길이다. 더욱이 꿈에 대한 정보를 풍부하게 접하기 쉽지 않은 청소년들이라면 그 불안은 더욱 깊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제한된 지역에 살고 있는 고등학생들이 환경 및 지역의 한계로 인해 ‘꿈’을 가지고, 그 꿈을 이뤄가는 과정에서 ‘제한’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은 기획되었다. ‘꿈을 향한 한 걸음’ 프로젝트를 통해서 아이들이 자신을 들여다보고, 미래를 그려볼 수 있기를… 마음에 심은 씨앗의 싹을 잘 틔우고 햇빛을 받아 잘 자라서 서로를 보듬는 큰 숲을 이룰 수 있기를 바라 본다.
‘꿈을 향한 한 걸음’을 마치며…
이 프로젝트는 꿈에 대해 깊이 생각을 않던 내게 진지하게 고민을 하고 생각을 할 기회를 마련해 주었고 내가 앞으로 올바르고 뜻깊게 살아갈 수 있도록 인생의 길을 윤택하게 갈고닦아 주었다.
_ 황지고등학교 백무성
이렇게 몸으로 직접 활동해 보고, 배우는 것이 진짜 공부라는 것을 느꼈습니다. … 이번 프로젝트로 저는 앞을 보는 시야가 더 넓어진 것 같습니다.
_ 영월고등학교 엄창용
이 캠프로 인해 나는 많은 성장을 했고 진짜 ‘나’를 찾았던 것 같다. 앞으로도 나는 계속 고민을 할 것이고 또한 진짜 ‘나’를 계속해서 찾을 것이다.
_ 도계고등학교 이현규
언젠가 하루를 마무리하고 이불 속에 누워 두 눈을 감을 때 스페인에서의 기억들이 눈앞에 가득히 그려질 만큼, 그 정도로 저는 눈으로 마음으로 그곳을 가득 담아 왔습니다.
_ 고한고등학교 전효영
내 미래의 목표를 더 정확하게 정할 수 있게 되었고… 이 시간들을 통해서 내 진로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좋았다.
_ 도계전산정보고등학교 정유진
내가 행복해질 수 있는 길이 조금은 보이는 것 같다. 그래서 미래가 기대되고 현재가 행복하다.
_ 석정여자고등학교 최별하.
작가 소개
저자 : 꿈을 향한 한 걸음 1기
‘꿈을 향한 한 걸음’은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진로 비전의 씨앗을 심을 수 있도록 돕는 ‘청소년 진로 교육 프로젝트’입니다. 2017년에는 건축, 디자인, 협동조합으로의 진로에 관심을 가진 태백, 정선, 영월, 삼척 지역의 아이들 스무 명이 함께 모여 꿈을 찾아 나섰습니다. 김가람·김민영·김운지·김주찬·백무성·서영주·심지후·엄창용·오경진·이현규 전효영·정대건·정여진·정유진·천소룡·최별하·하지우·함희철·허정태·현소정
목차
프롤로그 9
1부 설렘, 꿈, 도전
머리말 … 9
설렘 도계전산정보고등학교 김가람 12
긴장감 황지고등학교 김민영 14
학교생활 정선정보고등학교 김운지 16
두근거리는 마음 정선고등학교 김주찬 17
갈망 황지고등학교 백무성 … 20
대회 정선정보고등학교 서영주 … 23
뫼비우스의 띠 정선정보고등학교 서영주 … 24
긴장감(1인칭 시점) 황지고등학교 심지후 … 26
설렘 영월고등학교 엄창용 … 28
시선 석정여자고등학교 오경진 … 32
심호흡 도계고등학교 이현규 … 34
꿈? 고한고등학교 전효영 … 36
도전 황지고등학교 정대건 … 38
하고 싶은 건 진작 찾았다 장성여자고등학교 정여진 … 40
가까워지는 중 도계전산정보고등학교 정유진 … 42
나의 꿈은! 황지고등학교 천소룡 … 44
진로 고민 석정여자고등학교 최별하 … 46
후회 없음 장성여자고등학교 하지우 … 52
얼마 만인가? 정선고등학교 함희철 … 54
영향 고한고등학교 현소정 … 56
친구 하자 영월공업고등학교 허정태 … 58
2부 나를 알아 가기
나 깨기 도계전산정보고등학교 김가람 … 62
알 깨기 황지고등학교 김민영 … 64
그냥 그렇게 산다 정선고등학교 김주찬 … 66
익숙해지는 연습 영월고등학교 엄창용 … 68
행복해할 줄 아는 사람 석정여자고등학교 오경진 … 70
나는 이과를 갈 것이다 도계고등학교 이현규 … 72
#알 깨기 장성여자고등학교 정여진 … 74
나 도계전산정보고등학교 정유진 … 76
우리 가족 황지고등학교 천소룡 … 78
내 감정 장성여자고등학교 하지우 … 80
계속 참아야 하나? 정선고등학교 함희철 … 82
3부 꿈을 향한 1박 2일
두 번째 만남 도계전산정보고등학교 김가람 … 86
1박 2일-서울에서 사람을 만남 황지고등학교 김민영 … 89
바라보았다 정선고등학교 김주찬 … 92
자동차디자이너 영월고등학교 엄창용 … 95
2차 캠프(서울) 석정여자고등학교 오경진 … 98
나의 꿈을 향한 1박 2일 도계고등학교 이현규 … 101
생각이 바뀌어 간다 장성여자고등학교 정여진 … 103
서울 여행 도계전산정보고등학교 정유진 … 105
2차 국내캠프 2017.8.18.~19. 석정여자고등학교 최별하 … 106
고민 해결 장성여자고등학교 하지우 … 111
나쁘지 않음 정선고등학교 함희철 … 113
4부 스페인 일기
살면서 처음으로 한 일들 도계전산정보고등학교 김가람 … 120
건축가의 꿈 황지고등학교 김민영 … 122
기억나는 사람들 정선정보공업고등학교 김운지 … 125
나만의 사상 정선고등학교 김주찬 … 128
무성이의 스페인 일기 황지고등학교 백무성 … 131
비행기 황지고등학교 백무성 … 134
스페인 국외체험 정선정보공업고등학교 서영주 … 136
넓게 볼 기회 영월고등학교 엄창용 … 139
한국의 하늘도 참 예쁘다 석정여자고등학교 오경진 … 142
‘나’에 대해 고민함 도계고등학교 이현규 … 144
처음과 새로움 고한고등학교 전효영 … 146
소리가 섞이면 고한고등학교 전효영 … 148
여유로움이란 고한고등학교 전효영 … 150
모두에게 고한고등학교 전효영 … 152
소중하고 꿈같은 추억들 고한고등학교 전효영 … 154
스페인… 건축디자이너의 꿈 황지고등학교 정대건 … 157
항상 장성여자고등학교 정여진 … 158
나의 고등학교 3년 요약 장성여자고등학교 정여진 … 160
꺼진 불도 다시 보자 장성여자고등학교 정여진 … 162
첫 해외 여행 장성여자고등학교 정여진 … 164
꿈을 찾아 삼만 리 도계전산정보고등학교 정유진 … 166
다시 한 번 떠올리며 황지고등학교 천소룡 … 168
정신이 맑아졌다 석정여자고등학교 최별하 … 170
인생의 터닝 포인트 장성여자고등학교 하지우 … 184
당신은 지금 행복하신가요? 정선고등학교 함희철 … 186
스페인 구겐하임 미술관, 아주 소중한 장소 영월공업고등학교 허정태 … 188
우리들의 꿈을 향한 한 걸음 디자인분야 멘토 강채원(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 … 190
동행 건축분야 멘토 김보미(홍익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197
나만의 꿈이 아닌, 함께하는 꿈
진로분야 멘토 김남형(강원진로교육원 전문상담사) … 201
디자인을 하기 위한 마음가짐
공간설계(건축가, 인테리어디자이너) 이수진(디자인 컴퍼니 에스) …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