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청소년 > 청소년 > 청소년 역사,인물
교과서를 만든 소설가들 이미지

교과서를 만든 소설가들
글담출판 | 청소년 | 2006.02.15
  • 정가
  • 11,800원
  • 판매가
  • 10,620원 (10% 할인)
  • S포인트
  • 531P (5% 적립)
  • 상세정보
  • 17x22 | 0.646Kg | 340p
  • ISBN
  • 9788986019889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와 문학 교과서 18종을 분석해, 가장 출제 빈도가 높은 소설가 18인의 삶을 담았다. 소설가의 삶을 따라가며 자연스럽게 배경지식을 쌓고 소설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소설을 통해 무엇을 느끼고 생각해야 하는지, 텍스트를 제대로 읽어내는 능력이 무엇인지 제시한다.

수업 시간 전에 먼저 읽어 두어, 이미 알고 있는 소설가의 일생을 통해 소설을 쉽고 재미있게 읽어내는 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수업 시간에 배우지 않는 교과서 속 소설가의 다른 소설들도 함께 다루고 있어, 교과서만으로는 부족했던 소설에 대한 지식도 넓힐 수 있다.<삼포 가는 길>은 영화로 치면 로드 무비에 해당되는 작품입니다. 로드무비는 길에서 시작해 길을 걸어가는 이야기입니다. 이야기의 끝에서 길이 끝나게 되지요. 그러니 길에서 시작해 길에서 끝나는 영화가 로드 무비입니다. 이 소설은 길이 시작하는 데서 이야기도 시작되고, 길이 끝나면서 이야기도 끝난다는 점에서 로드 무비와 같은 형식입니다. 영달이 정씨와 만나는 것도 길에서이고, 백화라는 술집 작부와 만나는 것도 길가는 중간에서입니다. 그러면 이 때 길은 어떤 의미일까요? 길은 그 길을 걸어가는 사람들의 삶의 과정이고, 그 과정을 통해 사람들은 변하게 됩니다. 이 소설에서는 영달이 바로 그런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본문 중에서

  작가 소개

저자 : 최성수
강원도 횡성군에서 태어나 대학에서 한문학을, 대학원에서 국문학을 전공한 뒤 30여 년간 중.고등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고 함께 공부했다. 한문 교사들과 힘을 모아 ‘전국한문교사모임’을 만들고 《함께 읽는 우리 한문》을 펴냈다. 《천 년 전 같은 하루》, 《꽃, 꽃잎》 등의 시집과 장편 소설 《꽃비》, 《무지개 너머 1,230마일》 등을 출간했다. 그 밖에 《선생님과 함께 읽는 우리 시 100》, 《청소년을 위한 고전산문 다독다독》 등을 엮어 냈으며 어린이 책과 여행기를 펴내기도 했다.

저자 : 문재용
성균관대 국문과와 같은 대학원에서 국문학을 전공하고, 서울 오산 중.고등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쳤다. 《독서평설》과 〈동아일보〉에 문학과 논술에 관한 글을 연재했다. 저서에는 《교과서를 만든 소설가들》 등이 있다.

  목차

현진건 / 근대 소설의 기틀을 마련한
최서해 / 체험으로 살려낸 식민지 시대의 삶
김유정 / 농촌의 아픔을 해학적으로 그려낸
염상섭 / 개인과 사회의 발견
채만식 / 식민지 현실에 대한 조롱과 풍자
이효석 / 메밀꽃 하얗게 핀 밤의 서정 속으로
주요섭 / 사람을 향한 인생 이야기
황순원 / 그리운 첫사랑의 노래
김동리 / 동양적 운명관을 형상화한
최인훈 / 분단과 이데올로기를 넘어
김승옥 / 60년대 도회지의 잿빛 풍경
황석영 / 사실주의로 버무려낸 우리 시대의 자화상
조세희 / 도시 빈민의 꿈과 좌절의 기록
윤흥길 / 전쟁과 분단의 비극을 이겨낸 가족애
이청준 / 잃어버린 자아를 찾아
이문구 / 능청스러운 입담으로 그려낸 지난 세월
박완서 / 우리 시대 최고의 이야기꾼
양귀자 / 따뜻한 우리 이웃들 이야기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