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어린이 책도둑 시리즈 1권. 40여 년 동안 노동 상담과 노동 교육 일을 하며, 건강하고 즐거운 일터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하종강 선생님이 어린이들에게 들려주는 ‘노동’과 ‘노동 인권’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저자는 어린이가 노동의 의미와 노동의 중요성에 대해 올바르게 알아야 ‘노동’이 존중되는 행복한 사회를 만들 수 있다고 말한다.
노동의 뜻, 노동의 역사, 노동의 역할, 노동자의 권리 등에 대해 노동이 언제 왜 생겨났는지, 공부도 노동인지, 선생님이나 연예인도 노동자인지, 노동자와 근로자의 차이가 무엇인지, 우리나라에 비정규직이 왜 이렇게 많은지 등 노동에 관해 어린이가 궁금해할 만한 41가지 질문과 답변을 통해 알기 쉽게 설명한다.
출판사 리뷰
‘노동’이 존중되는 행복한 사회를 위해
어린이가 꼭 알아야 할 노동 이야기
공부도 노동인가요?
선생님이나 연예인도 노동자예요?
노동자와 근로자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파업이 뭐예요?
근로 기준법이 뭐예요?
노동자의 권리는 무엇인가요?이 책은 40여 년 동안 노동 상담과 노동 교육 일을 하며, 건강하고 즐거운 일터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하종강 선생님이 어린이들에게 들려주는 ‘노동’과 ‘노동 인권’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저자는 노동의 뜻, 노동의 역사, 노동의 역할, 노동자의 권리 등에 대해 노동이 언제 왜 생겨났는지, 공부도 노동인지, 선생님이나 연예인도 노동자인지, 노동자와 근로자의 차이가 무엇인지, 우리나라에 비정규직이 왜 이렇게 많은지 등 노동에 관해 어린이가 궁금해할 만한 41가지 질문과 답변을 통해 알기 쉽게 설명한다.
저자는 어린이가 노동의 의미와 노동의 중요성에 대해 올바르게 알아야 ‘노동’이 존중되는 행복한 사회를 만들 수 있다고 말한다.
어린이 여러분은 대부분 ‘노동자’가 된답니다이 책에서 설명하는 ‘노동’에 대한 다양한 개념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과서에서는 다루고 있지 않지만 이미 다른 나라들에서는 자세히 가르치는 내용들이다.
저자는 한국처럼 ‘노동’이란 단어를 부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사회는 찾아보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한자를 사용하는 모든 나라에서 달력에 5월 1일을 ‘노동절’이라고 적는데 한국만 유일하게 ‘근로자의 날’이라고 적는다. 일본이나 중국은 ‘노동자’라고 쓰는데 한국에서는 굳이 ‘근로자’라고 말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노동자이거나 노동자의 가족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노동’을 자신과 관계없는 ‘남의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이 한국 사회의 일반적인 생각이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어린이들이 나중에 노동자가 되지만, 자라면서 노동이나 노동자에 대해 편견을 가지게 된다.
독일, 프랑스 등 다른 나라 사람들은 초등학생 때부터 노동의 가치를 배우기 때문에, 인류 역사를 발전시켜 온 중요한 힘이 바로 노동이라고 생각하고, 스스로 노동자라는 사실을 자랑스러워한다. 그래서 우리 사회와 달리 판사나 변호사도 스스로 노동자라고 생각하고 노동조합 활동을 하며 판사 노동조합이나 변호사 노동조합도 있다.
저자는 ‘4차 산업 혁명’의 시대가 와도 노동과 노동자의 중요성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오히려 노동자로서 존중 받기 위한 노력들이 더욱 치열해질 가능성이 높기에 어린이들이 노동의 뜻과 노동자의 권리 등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노동은 개인의 생존과 삶의 보람을 위해서 필요하고, 사회가 유지되고 발전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볼 수 있어요. 노동이 없는 세상을 한번 생각해 봐요. 정말 끔찍하지요. 노동을 하지 않으면 전기도 쓰지 못하고 통신 수단도 이용하지 못해요. 어쩌면 사람이 살아가지 못할 거예요. 그러니까 반드시 노동이 필요하죠.
오로지 먹고살려고 싫은 일을 억지로 하면서 평생을 살아가면 그 인생이 얼마나 불행해요. 열심히 하는 만큼 좋은 성과가 있어야지요. 노동을 하면 좋은 점은 첫 번째가 먹고살 수 있고 두 번째가 삶의 보람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에요. 그리고 무엇보다 노동을 하면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작가 소개
저자 : 하종강
1955년 인천에서 태어났습니다. 1981년 인천기독교도시산업선교회 파트타임 실무자를 시작으로 40년 가까운 세월 동안 줄곧 노동 문제 분야에서 일했습니다. 한울노동상담소를 거처 한울노동문제연구소장으로 23년 동안 일하다가 연구소가 문을 닫은 뒤 2011년부터 성공회대학교 노동대학 제 8대 학장을 역임했습니다. 지금은 성공회대학교 노동아카데미 주임교수 일을 맡고 있습니다. 1994년 제 6회 전태일문학상을 받은 것을 큰 영광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희망은 노동운동> <아직 희망을 버릴 때가 아니다> <울지 말고 당당하게> <철들지 않는다는 것> <선생님, 노동이 뭐예요?> 등을 썼고, 전국의 노동자들을 꾸준히 만나면서 건강하고 즐거운 일터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목차
머리말: 여러분은 대부분 ‘노동자’가 된답니다
1장. 공부도 노동인가요?
1. 노동이 뭐예요?
2. 노동이 왜 필요한가요?
3. 노동은 언제 생겨났나요?
4. 노동자는 왜 생겨났나요?
5. 노동자와 자본가는 어떻게 구분하나요?
6. 노동을 하면 좋은 점이 뭐예요?
7. 노동은 힘든 일이라고들 하는데, 정말 그런가요?
8. 여자가 하는 일과 남자가 하는 일이 나눠져 있나요?
9. 자원 봉사도 노동이에요?
10. 공부도 노동인가요?
11. 연예인도 노동자예요?
12. 선생님도 노동자예요?
13. 주부도 노동자예요?
14. 운동선수도 노동하는 거예요?
15. 아르바이트도 노동인가요?
16. 물건을 파는 일도 노동인가요?
2장. 즐겁게 노동하면서 살 수는 없나요?
17. 꼭 노동을 해야만 돈을 버나요?
18. 즐겁게 살면서 돈을 벌 수는 없나요?
19. 노동은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주나요? 아니면 나만을 위한 일인가요?
20. 노동이 안 되는 사람은 어떻게 하나요?
21. 실업자는 어떻게 먹고사나요?
22. 고통스러운 노동을 줄일 수 없나요?
23. 직업이 있어야 노동을 할 수 있나요?
24. 빌 게이츠처럼 엄청난 부자가 노동을 그만두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25. 노동을 대신하는 로봇이 나오면 노동이 필요 없지 않나요?
3장. 노동은 꼭 어른들만 하나요?
26. 노동자들이 꾸려 가는 회사가 있나요?
27. 외국인 노동자들은 왜 우리나라에 와서 일을 하나요?
28. 파업이 뭐예요?
29. 노동은 꼭 어른들만 하나요?
30. 피로가 쌓이지 않게 노동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31. 회사에서 주는 월급은 누가 정하나요?
32. 임금을 돈 말고 다른 것으로도 받을 수 있나요?
4장. 노동자의 권리에 대해 알려 주세요
33. 노동자와 근로자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34. 노동을 하다가 다치거나 생명을 잃을 수도 있나요?
35.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36. 비정규직은 왜 생겨났으며, 우리나라에 얼마나 있나요?
37. 노동조합은 왜 생겨났으며 어떤 일을 하나요?
38. 근로 기준법이 뭐예요?
39. 최저 임금제는 무엇인가요?
40. 노동 기본권은 무엇인가요?
41. 노동절은 어떤 날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