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세더잘 시리즈 60권. 인류의 평화와 인류애 제고에 지대한 공헌을 약속 내지는 표방하고 있는 올림픽과 월드컵 두 거대 스포츠 행사가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고 있다는 것을 우리 청소년에게 알려 준다. 인류의, 인류에 의한, 인류를 위한 스포츠 행사가 상업주의의, 상업주의에 의한, 상업주의를 위한 행사로 변질된 게 작금의 상황임을 알려 준다.
출판사 리뷰
“올림픽과 월드컵은 부작용이 있지만, 세계 평화의 유지와
인류애에 공헌하고 있으므로 계속 개최되어야 한다.”
Vs.
“올림픽과 월드컵은 세계 평화와 같은 대의명분은커녕
상업주의에 물들어 굳이 개최할 필요가 없다.” 이 책을 꼭 출간하고 싶은 이유는 인류의 평화와 인류애 제고에 지대한 공헌을 약속 내지는 표방하고 있는 두 거대 스포츠 행사가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고 있다는 것을 우리 청소년에게 알리고 싶어서다. 사실 이 책을 읽어보면 올림픽은 태생부터 불순한(?) 목적으로 제안되었다. 그리스의 작은 도시국가인 이피테스는 전쟁으로 국력이 소진되어 휴전이 필요해서 고안한 방책이 올림픽이었고, 근대 올림픽의 창시자인 쿠베르탱은 1904년 제3회 올림픽을 신대륙인 미국에서 개최하는데, 올림픽 흥행에 대한 우려 때문에 유색인종의 올림픽 참여를 허가한다. 그것도 백인종처럼 정식 경기가 아닌 구경거리용 경기에만....히틀러는 어떻게 했는가? 제11회 베를린 올림픽을 나치의 선전장으로 전락시켰고, 월드컵도 이에 결코 뒤지지 않는다. 이탈리아 무솔리니는 제2회 월드컵을 파시즘 선전장으로 만들어 히틀러의 베를린 올림픽의 나치의 선전장화하는 데 모델을 제공하였다. 이것은 어찌 보면 과거이니, 실감이 나지 않는다손 치더라도, 올림픽 경기 시간을 미국 NBC가 결정하고 있음을 알게 되면 어떨까 싶다. 정말 어이가 없다. 참가 선수의 컨디션을 감안해서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결정하는 게 아니고 미국 동부의 프라임 시간대에 맞추어 방송을 내보내기 위해 경기 시각이 결정된다니. 게다가 흥행이 안 되면 올림픽의 오랜 역사를 함께해온 레슬링조차 퇴출했다가 전 세계인의 반발에 부닥쳐 무산된 일이 있다. 도무지 인류의 평화와 같은 올림픽 정신을 고양할 생각이 전혀 없는 듯한 올림픽을 왜 개최하는지 의문을 지울 수가 없다. 게다가 많은 올림픽 개최 신청국은 자국의 정치에 대한 국민들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혹은 독재자의 치적을 위해 경제 성장이라는 허울 좋은 명분을 내세워 올림픽을 유치하려고 했지, 애초부터 세계 평화는 고려 대상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런 부작용들 때문에 올림픽이나 월드컵을 폐지하자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제대로 알아야 제대로 된 올림픽과 월드컵을 개최하고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 현재도 IOC 위원들이나 FIFA의 개최지 결정 과정에 뇌물을 받았다는, 혹은 위원 내지는 협회의 갑질에 대한 스캔들이 끊이지 않고 보도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우리 청소년들이 두 국제 스포츠 행사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알고 대처해야 한다. 2018년 러시아 월드컵은 술집이나 공공장소에서 방송될 수 없다. 물론 돈을 내면 된다. 인류의, 인류에 의한, 인류를 위한 스포츠 행사가 상업주의의, 상업주의에 의한, 상업주의를 위한 행사로 변질된 게 작금의 상황임을 알고나 2018년 월드컵을 즐기자. 이게 이 책의 출간 이유다.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시리즈》 소개《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시리즈》는 우리 아이들에게 편견에 둘러싸인 세계 흐름에서 벗어나 보다 더 적확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고자 2010년 공정무역을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출간되고 있습니다. A는 B인 줄 알았지만 더 자세히 알아보면 A가 C나 또는 D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면서 아이들이 또 다른 진실을 발견하도록 안내하고자 합니다.

평창 올림픽 조직위원회는 동계올림픽 직후 가리왕산 스키장의 원상 복구를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환경 복원을 위해 노력한다 해도 한번 파괴된 환경을 되살리기란 매우 어렵습니다.
- 들어가며 : 가리왕산, 평창 올림픽을 위한 일회용 스키장지구력과 집중력이 중요한 바이애슬론은 낮에 치러야 하지만 평창에서는 한밤중에 열린 셈입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요? 미국의 방송사 NBC가 올림픽 경기 시간을 정했기 때문이에요. 도대체 어떻게 한 나라의 방송국이 세계적인 행사인 올림픽의 경기 시간을 좌지우지할 수 있을까요?
- 방송사가 바꾸는 경기
작가 소개
지은이 : 양서윤
서울에서 태어나 자랐고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영어와 스페인어를 공부했습니다.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다가 국내에 알려지지 않은 사회, 과학적 문제를 접하고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청소년에게 세계인의 다양한 시각을 알리고 싶어 글쓰기를 시작했습니다. 인간이 환경에 미친 영향과 이를 극복할 미래 기술에 관심이 많아 대학교수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미래 이슈를 토론하고 공유하는 Whys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청소년들을 위한 미래유망직업 20, 환경문제와 먹거리 위기, 민주 시민 디베이트 등 다양한 주제의 책을 출간할 예정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가리왕산, 평창 올림픽을 위한 일회용 스키장 - 6
1. 올림픽의 민낯 - 9
2. 방송사가 바꾸는 경기 - 21
3. 막강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 37
4. 희생당한 사람들 - 49
5. 승리 지상주의 - 61
6. 스포츠 대회가 경제를 살린다는 신기루 - 77
7. 환경과 스포츠 대회 - 85
8. 스포츠 대회와 갈등 - 97
9. 위기의 스포츠 대회 - 107
용어 설명 - 119
연표 - 121
더 알아보기 - 124
참고도서 - 126
찾아보기 -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