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GARM ‘감’은 순우리말로 재료를 뜻한다. 건축재료 감(GARM)시리즈는 개인의 창조성을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방법을 함께 논의하기 위해 만들었다.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의식주 중에서 머무는 ‘주’를 중심으로 자신의 공간을 스스로 만들 수 있는 최소한의 방법에 대해 안내를 하기 위해서다. 그 시작은 건축의 가장 작은 물리적인 단위인 ‘재료’에 대한 조사다. 이 책을 읽는 독자에게 ‘좋은 재료’를 구분하고 사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출판사 리뷰
판매 1년 만에 9종 출간, ‘감 시리즈’
건축의 기본이 되는 재료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한곳에 눌러 담아 ‘폭발적인 반응’인터넷을 뒤져봐도 정확한 정보를 찾기 어려운 건축 재료. 간단한 기본정보부터 실제로 적용해 보는 응용방법까지 책 한 권으로 묶었다. 중구난방으로 흩뿌려진 재료의 개념과 용어를 정리해 비전문가도 선택하고 시공할 수 있도록 사진과 글로 쉽게 설명한다.
2017년 7월 1일 세상에 첫 선을 보인 감 매거진, 시즌1 3권 '목재', '벽돌', '콘크리트'의 반응은 가히 폭발적이었다. 출간되자 마자 교보문고 베스트셀러에 올랐고 1년이 조금 넘은 지금까지 1만 5천 권이 넘게 팔렸다. 지난 2월에 나온 '페인트', '타일', '바닥재' 편도 책이 출간되기도 전에 스토리펀딩을 통해 30일간 163명이 후원을 하고 1,100만 원이 넘는 금액이 모였다.
독립출판계는 물론 건축 전문 서적 중에서도 이례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신생 출판사 감씨(garmSSI)가 지난 6월에는 서울국제도서전에서 '잡지의 시대' 전시에 초청받아 나흘 동안 수천 명의 독자들을 만났습니다. 이에 감 매거진은 더 많은 독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소개하기 위해 '철재', '유리', '석재' 편을 제작하기로 했다.
좋은 공간을 보는 ‘통찰력’ 감 매거진사람들은 공간에 열광한다. 새로운 공간, 가보지 않은 공간, 럭셔리한 공간, 편안한 공간. 그러나 세상은 보이는 것에 치중한다. 보이는 것에만 치중하면 시야가 흐려진다. 탄탄한 지식과 경험은 사물을 보고 분별하는 통찰력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이다. 통찰은 식견이자 안목이고 여러 분야의 지식을 통합해내는 지혜의 집결체다. 다양한 가치 사이의 충돌을 흡수하며 조화롭게 통합하여 미래 방향을 제시한다. 좋은 공간을 알아보기 위해 ‘통찰력’은 기본이다.
디자인을 배우려면 재료의 물성과 다룸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재료의 물성을 모르면 쓰임과 다룸에 실수가 생긴다. 물성에 맞는 재료의 선택과 시공 상세를 사용해야 일체화되어 각자의 역할을 해낼 수 있다. 재료의 공간적 감성은 장소성이나 취향으로 이어진다. 때론 재료 본연의 역할을 색다르게 표현하고 다른 재료로 실험해서 혁신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런 창의력은 예술적 행위와 연관된다. 재료를 고찰하지 않는 작가가 훌륭한 결과물을 만들어내기란 쉽지 않다
소재와 재료는 너무 방대하다. 한국의 현실을 반영한 자료는 찾기 어렵다. 체계적인 연구도 없다. 인터넷을 뒤져봐도 정확한 정보를 찾기 어려운 건축 재료. 간단한 기본정보부터 실제로 적용해 보는 응용방법까지 책 한 권으로 묶었다. 중구난방으로 흩뿌려진 재료의 개념과 용어를 정리해 비전문가도 선택하고 시공할 수 있도록 사진과 글로 쉽게 설명한다.
“우리 집 벽에 붙어 있는 석재는 어디에서 왔을까?
매일 여닫는 창은 어떤 유리일까?
외장재나 구조재로 많이 쓰이는 철재를 색다르게 사용하는 방법은 없을까?”철강과 석재 그리고 유리 이들 세 가지 재료는 무척이나 달라 보이지만 모두 자연 상태의 원석에서 왔다는 공통점이 있다. 유리는 석영가루에서, 철은 붉은 철광석에서, 돌은 암석에서 떼어와 가공해 비로소 건축재료로 사용한다. 얇고 빛나는 철과 투명하고 매끈한 유리, 무거우면서도 거친 질감의 석재는 자신만의 뚜렷한 개성으로 건물의 모습을 좌우하는 ‘외장재’다. 재료를 바르게 이해하고, 숨겨진 면면을 조망하며 도시를 이루는 재료가 궁금한 당신에게 '감 매거진 시즌3'는 꼭 필요한 가이드북이 되어준다.
경험을 확장하고 풍경을 만드는 빛나는 경계
? 다양한 모습으로 주변을 맴도는 유리의 쓰임새 파헤치기『유리건축』의 저자인 박선우(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학과 교수)는 “우리 주위에 유리를 사용하지 않은 건축물은 없다”고 말한다. 그의 말대로 도심 한복판에 서서 한 바퀴 빙 둘러보면 어느 방향에서든 고층의 유리 파사드 건물을 발견할 수 있다. 유리는 목재나 석재처럼 자연으로부터 얻어지는 것도, 벽돌이나 콘크리트처럼 직접 건축이 가능한 기본 재료도 아니다. 하지만 인간이 쾌적한 삶을 유지하는 데에는 빠지지 않고 쓰여 왔다. 여덟 번째 감 매거진, 유리편에서는 투명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유리의 모습을 외장재, 창, 파티션 그리고 일상용품, 네 가지로 나누어 한층 깊은 시선으로 담아본다. 네 가지 쓰임 외에도 유리에 새로운 기능을 더하고 색다른 방식으로 구축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인간의 경험을 확장하고 새로운 풍경을 만드는 등 무궁무진한 일을 가능하게 하는 현대의 재료, 유리에 빠져보자.
정확하고 체계적인 건축 재료 큐레이팅
- 목재, 벽돌, 콘크리트에서부터 철, 석재, 공구, 단열, 친환경까지건축 재료를 다루는 감(GARM)은 순우리말로 ‘재료’라는 뜻이다. 앞으로도 플라스틱이나 비철금속 같은 건축재료편을 꾸준히 연간으로 발행할 계획이다. 여기에 공구처럼 DIY가 가능한 소비재에서부터 가구와 조명 등 인테리어 요소들도 다룰 예정이며 단열과 친환경 이슈와 같이 독자들이 궁금해하는 건축 이슈들도 주제로 품을 것이다. 한가지 재료/주제당 책 한 권으로 구성되며, 책 한 권에 담기 어려울 정도의 방대한 정보는 기초 편과 심화 편을 나누어 분류할 계획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감씨 편집팀
‘감씨(garmSSI)’는 에잇애플(8apple)의 출판브랜드이다. 감씨는 건축 재료인 감의 씨앗으로 창조성과 새로운 문화를 바탕으로 발아해 새로운 재료와 그 구축 방법에 관한 정보를 축적하고 재배치하는 일을 수행하는 창작 집단이다.
목차
1. Story of Glass
1.1 유리의 역사: 빛나는 모래로 쌓은 투명함 18
1.2 유리의 종류: 기능을 더한 여섯 가지 유리 24
1.3 유리산업의 현주소 28
- 한글라스 군산공장 방문기: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이강훈
- 한글라스 R&D센터 취재기: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이영성
2. Issue of Glass
2.1 창호의 단열 42
2.2 유리에 기술을 더하다 46
2.3 자연에 투명하게 스며들다: 조호건축사사무소 이정훈 50
2.4 도시를 밝히는 미디어 캔버스: 지스마트글로벌 이기성 56
3. Usage of Glass
3.1 유리의 다양한 쓰임새 62
3.2 외장재로서의 유리 64
- 도시의 세련됨을 더하는 커튼월 66
- 건축, 투명한 유리 옷을 입다: 브이에스에이 코리아 김나리 72
3.3 창으로서의 유리 80
- 생활을 쾌적하게 만드는 창 82
- 벽돌의 고즈넉함을 담은 창, 일상의 만족도를 높이다: 텍토닉스랩 김현대 86
3.4 파티션으로서의 유리 92
- 공간을 확장하는 투명한 경계선 94
- 아이들의 모습을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집: 9cm 안철민 96
3.5 공간과 생활 속 유리 102
- 일상의 유리 들여다보기 104
- 유리 가구의 청량함에 빠지다: 라이프스타일 편집숍 보에 108
4. Supplement
4.1 공간을 한층 빛내 줄 이색 유리 112
4.2 유리 제조사에서 추천하는 대리점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