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김남준
수학은 세상을 보는 눈이며, 삶을 보다 자유롭게 합니다. 그동안 수학교육을 대중화하고 학생들에게 수학의 참맛을 알리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습니다. 현재 서울불암초등학교 수석교사로 재직하고 있으며, 2007 개정, 2009 개정,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개발에 참여하였습니다. 저서로는 『101가지 초등수학 질문 사전』, 『스타트 수학 일기』 등이 있습니다.
지은이 : 최수일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를,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수학 교사의 전문성을 제고하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4년부터 2011년까지 한성과학고, 용산고, 세종과학고 등에서 수학 교사로 근무했으며, 1994년에는 최초의 수학 교사 연구 단체인 전국수학교사모임을 만들었고 2003년부터 2010년까지 회장을 지내며 수학 교육의 방향을 끊임없이 고민했다. 2010년부터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학독서토론반을 운영하며 아이들이 왜 수학을 싫어하고 수업의 문제점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또한 최 소장은 수학 교육과정 전문가로서 제6차 및 제7차, 2007 개정 등 총 세 차례의 수학 교육과정 개정 작업에 참여해 교과서를 개발했다. 세종과학고 재직 시절에는 초대 전국과학고 입학사정관협의회 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2011년 퇴직 후 수학교육연구소를 설립해 입시 위주의 수업으로 흘러가 제대로 된 수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공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근본적 해결을 위한 연구에 전념했다. 홍익대학교, 인하대학교 수학교육과 겸임교수를 역임했고, 2017년 현재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수학사교육포럼 대표를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 학생과 학부모의 수학 고민에 대해 명쾌한 답을 제시한 『착한 수학』, 『하루 30분 수학』, 『지금 가르치는 게 수학 맞습니까』 등이 있다.
머리말 4
개념연결 만화 수학교과서 사용설명서 12
살아 있는 수학을 찾아라! 14
1학년 1학기
1단원
9까지의 수 사과를 셀 때 세(3) 개가 맞아요, 삼(3) 개가 맞아요? 20
9까지의 수 색종이가 둘(2) 장이지요? 22
9까지의 수 숫자 3이 숫자 5보다 크다고요? 24
9까지의 수 5가 3보다 많아요! 26
9까지의 수 아무것도 없으면 0이라고 하는데, 0도 수예요? 28
9까지의 수 5가 8보다 먼저니까 5 > 8이죠? 30
2단원
여러 가지 모양 모양의 종류는 , , 뿐인가요? 32
여러 가지 모양 , , 이름이 뭐예요? 34
여러 가지 모양 , , 모양을 왜 굴리고 만져요? 36
3단원
덧셈과 뺄셈 가르기와 모으기를 왜 배워요? 38
덧셈과 뺄셈 ‘모두’란 말이 있으면 덧셈이니까 다 더하면 되죠? 40
덧셈과 뺄셈 5 + 3 = 8인데, 이게 어떤 상황이냐고요? 42
덧셈과 뺄셈 5에서 3을 빼면 3이 남아요. 44
덧셈과 뺄셈 연필이 모두 11자루인데, 식이 8 - 3이라고요? 46
덧셈과 뺄셈 덧셈할 때 손가락을 사용해도 돼요? 48
덧셈과 뺄셈 4 + 3 = 7을 뺄셈식으로 어떻게 만들어요? 50
덧셈과 뺄셈 3 + 5 = 8을 어떻게 읽어요? 52
덧셈과 뺄셈 0은 없는 건데 어떻게 더해요? 54
4단원
비교하기 무엇을 비교해요? 56
비교하기 ‘큰 건물’, ‘높은 건물’ 어떤 말이 맞아요? 58
비교하기 동물의 키는 어떻게 재요? 60
비교하기 크기, 높이, 길이, 또 어떤 걸 비교해요? 62
비교하기 어떤 그릇에 더 많이 담을 수 있어요? 64
비교하기 비교하기가 왜 필요해요? 66
비교하기 이것도 높은 건물이고 저것도 높은 건물인데요? 68
비교하기 더 높이 있으면 더 많이 담겨 있는 것 아니에요? 70
비교하기 나는 무거운데, 엄마는 가볍대요. 72
비교하기 무게가 같으면 크기도 같아요? 74
비교하기 비교할 땐 ‘~이 크다’, ‘~이 작다’라고 하면 되죠? 76
5단원
50까지의 수 대충 봐도 사과가 더 많은데, 왜 꼭 세어 봐요? 78
50까지의 수 짝을 지을 수 있으면 짝수예요? 80
50까지의 수 수를 세는 방법이 따로 있나요? 82
수학 일반
수학 일반 수학은 계산만 잘하면 잘할 수 있는 거죠? 84
수학 일반 수학 동화가 뭐예요? 86
수학 일반 수학 일기를 쓰라고요? 88
1학년 2학기
1단원
100까지의 수 ‘406’은 ‘사십육’이라고 읽으면 되죠? 92
100까지의 수 수는 왜 10개씩 묶음으로 세요? 94
100까지의 수 두 수의 크기를 비교할 때 꼭 >, <를 써야 해요? 96
100까지의 수 왜 수를 세지 않고 어림을 해요? 98
2단원
덧셈과 뺄셈(1) 30 + 5 = 305 ? 100
덧셈과 뺄셈(1) 수 모형만 있으면 덧셈을 잘 할 수 있어요? 102
3단원
여러 가지 모양 □, △, ○을 네모, 세모, 동그라미라고 불러도 되죠? 104
여러 가지 모양 □와 은 같은 모양이에요? 106
여러 가지 모양 은 무슨 모양이에요? 108
여러 가지 모양 과 는 같은 모양이에요? 110
여러 가지 모양 두루마리 화장지는 어떤 모양이에요? 112
여러 가지 모양 도 네모, □도 네모 맞죠? 114
4단원
덧셈과 뺄셈(2) 세 수를 더할 땐 10을 만들면 되는 거죠? 116
덧셈과 뺄셈(2) 몇 개 남았는지는 세어 봐야 알아요. 118
덧셈과 뺄셈(2) 7 - 2 + 3에서 덧셈을 먼저 계산했어요. 120
5단원
시계 보기와 규칙 찾기 시침과 분침이 헷갈려요. 122
시계 보기와 규칙 찾기 9시 30분인데, ‘몇 시’냐고요? 124
시계 보기와 규칙 찾기 왜 시간이 아니라 시각이라고 해요? 126
시계 보기와 규칙 찾기 3시 30분은 어떻게 나타내요? 128
시계 보기와 규칙 찾기 모래시계도 시계예요? 130
시계 보기와 규칙 찾기 지금이 오전 12시예요? 132
시계 보기와 규칙 찾기 바늘이 있는 시계 읽기는 왜 배우나요? 134
시계 보기와 규칙 찾기 담장에 무슨 규칙이 있어요? 136
시계 보기와 규칙 찾기 뭐가 반복되는지 정말 모르겠어요. 138
시계 보기와 규칙 찾기 규칙을 찾는 것도 수학이에요? 140
시계 보기와 규칙 찾기 직접 규칙을 만들 수도 있어요? 142
시계 보기와 규칙 찾기 □□○○□□○○와 11221122가 같다고요? 144
시계 보기와 규칙 찾기 규칙을 찾아 색칠하는 문제가 너무 헷갈려요. 146
시계 보기와 규칙 찾기 규칙이 2가지일 수도 있어요? 148
시계 보기와 규칙 찾기 규칙은 어떤 곳에 쓰여요? 150
시계 보기와 규칙 찾기 수가 어떻게 배열되었는지 어떻게 알아요? 152
시계 보기와 규칙 찾기 수 배열표에서 규칙을 어떻게 찾아요? 154
시계 보기와 규칙 찾기 한 주의 시작이 무슨 요일이에요? 156
6단원
덧셈과 뺄셈(3) 10을 두 수로 가르면 1과 0이죠? 158
덧셈과 뺄셈(3)) 9 + 4에서 10을 어떻게 만들죠? 160
덧셈과 뺄셈(3) 13 - 8을 계산할 때, 왜 13에서 3을 빼나요? 162
덧셈과 뺄셈(3) 10이 왜 중요해요? 164
덧셈과 뺄셈(3) 덧셈구구가 뭐예요? 166
덧셈과 뺄셈(3) 세로셈은 쉬운데 가로셈은 어려워요. 168
수학 일반
수학 일반 머리가 좋아야 수학을 잘하나요? 170
수학 일반 수학을 잘 하면 노벨상을 받을 수 있나요? 172
수학 일반 내일 비가 올 가능성은 반반이죠? 174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