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유아 그림이 자기 안에서 제2의 탄생을 추동하는 생명 과정의 자극을 받아 무의식적으로 그려내는 것이라는 이해는 획기적이다. 그리고 이 획기적인 이해의 바탕에는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적 인간 이해가 있다. 발도르프 교육에 유아 그림의 해석을 도입한 사람은 유아 그림 해석의 체계화를 선도한 화가이자 예술교육자 한스 슈트라우스였다.
《유아 그림의 수수께끼 - 성장의 발자국 읽기》는 그의 방대한 수집품을 물려받아 연구를 계속한 미하엘라 슈트라우스의 간결하고도 깊이 있는 역작의 국역본이다. 인지학에 대한 관심 여부를 떠나 이 책은 아이들의 내밀한 성숙 과정을 알고 돕기를 원하는 교육자들과 부모들에게 참신하고 유익한 시야를 열어줄 것이다.
출판사 리뷰
영유아기 그림 언어에 담긴 수수께끼를 풀어주는 열쇠!
유아는 자신의 발달 과정을 그린다
손에 필기구를 쥘 수 있게만 되면 아이는 그림을 그린다. 끄적거리고 휘갈기고 점을 찍는다. 아이의 첫 그림 소재인 소용돌이와 직선은 곧 동그라미와 네모로 바뀐다. 이어서 곧바로 선 기둥, 나무를 닮은 사람, 머리나 몸통에 더듬이같은 발이 달린 사람을 그린다. 이렇게 자신을 그리는 아이의 자화상적 관점은 어느새 집 안에서 세상을 향하는 관찰자의 관점으로 바뀐다.
예술치료와 교육 영역에서 영유아기의 그림
예술치료와 교육 영역에서 영유아기의 그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람들의 관심은 그림이 아이의 심리 상태를 바깥으로 알려주는 메시지임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아이는 그림으로 의사소통을 할 마음이 없다. 아이는 불완전하게 태어난 자기 몸과 마음을 성장시키는 생명력을 무심히 표현하면서, 오로지 자신과의 의사소통에만 관심을 가진다. 영유아기를 거치면서 아이는 골격과 장기가 꼴을 갖추고 신경계들이 분화하고 지각의 방향이 달라지고 의식이 꿈꾸는 상태에서 뚜렷한 자의식의 상태로 변화한다. 그 사이에 아이는 자신을 환경과 구분되는 개별자로 인식하게 되면서, "내 이름이 뭐냐고요? 내 이름은 나!"라고 말한다.
발도르프 교육 이론으로 읽는 유아 그림
유아 그림이 자기 안에서 제2의 탄생을 추동하는 생명 과정의 자극을 받아 무의식적으로 그려내는 것이라는 이해는 획기적이다. 그리고 이 획기적인 이해의 바탕에는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적 인간 이해가 있다. 발도르프 교육에 유아 그림의 해석을 도입한 사람은 유아 그림 해석의 체계화를 선도한 화가이자 예술교육자 한스 슈트라우스였다. 《유아 그림의 수수께끼 - 성장의 발자국 읽기》는 그의 방대한 수집품을 물려받아 연구를 계속한 미하엘라 슈트라우스의 간결하고도 깊이 있는 역작의 국역본이다. 인지학에 대한 관심 여부를 떠나 이 책은 아이들의 내밀한 성숙 과정을 알고 돕기(또는 방해하지 않기)를 원하는 교육자들과 부모들에게 참신하고 유익한 시야를 열어줄 것이다. 그리고 본문 말미에 붙은 발도로프 교육학의 대가 볼프강 샤트의 "인간학적 주석"은 인지학과 발도르프 교육학이 이해하는 아동 발달을 근간으로 할 때 확연히 보이는 유아의 성장과 그림 언어 사이의 유기적인 관계를 명료하게 설명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우리나라 유아 그림은 어떨까? 영유아 교육 현장에 대한 제언
이 책이 아동 발달에 관해 제시하는 중요한 통찰에 더하여, 독자들은 권말에 실린 우리나라 영유아 그림 사례와 그에 대한 해설인 "우리 육아 현장을 위한 제언"(이정희)에서 우리 영유아 교육과 예술치료에 적용되어야 할 의미심장한 관점들을 얻게 될 것이다. 영유아 분야 베스트셀러 《발도르프 육아예술》의 저자 이정희 박사의 해설과 제언을 간추려본다.
다섯 번째 생일을 앞둔 소영이는 집에서나 유치원에서 심심하다는 말을 달고 지냅니다. 그러면 보통 여섯 가지 색연필을 사용하는 소영이에게 열두 가지색 크레파스와 도톰한 새 스케치 북 한 권을 줍니다. 아이는 즉시 식탁에 앉아 그림 그리기에 몰두합니다. 시어머님은 손녀에게 다가가서 등을 토닥거리며 그림 모티브를 칭찬하십니다. "우리 소영이가 꽃을 그렸구나, 해바라기 꽃이네?" 하지만 아이는 영락없이 할머니의 설명을 부정하면서 엉뚱하게 반응합니다. "아뇨! 그냥 그렸는데요."
소영이 또래의 자녀를 둔 엄마라면 쉽게 공감하는 일상의 한 장면입니다. (중략) 이런 상황에서 소영이의 반응은 전혀 우려의 대상이 아닙니다. 오히려 어른의 태도를 주목해 보아야 합니다. 이른바 '관계 맺음'을 위해 어른들은 아이에게 자주 말을 건네지만, 그 자체가 아이의 집중을 방해합니다. 손녀 그림을 들여다보면서 할머니가 전하는 애정 어린 칭찬에 소영이는 솔직하게 반응한 것입니다. 실제로 만 네다섯 살짜리 아이는 해바라기 꽃을 떠올리며 그릴 수 없습니다. 아이가 몰두해서 무언가를 열심히 그린 것이 어른 눈에 구체적인 사물로 보일 뿐입니다. (중략)
아이는 그림을 통해 자신의 신체 발달을 종이 위에 자연스럽게 표출합니다. 생후 7년간의 발달 과정에서 아이는 지상의 삶을 영위하기 위한 도구인 자신의 집을 만듭니다. 젖니갈이가 시작되기까지 생명에너지는 머리부터 몸통을 거쳐 내장 기관을 포함한 사지체계를 발달시킵니다. 유기체의 세밀한 구조와 체형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아이는 자신의 몸 안에 작용하는 생명력을 무의식적으로 감지하고 그 흔적을 그림으로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인체 발달의 심오한 비밀을 담은 유아 그림을 주의 깊게 관찰하면, 우리는 아이의 보편적인 발달 너머의 개별적인 내면의 발달 상황을 어느 정도 읽어낼 수 있습니다.
손에 필기도구를 쥘 수 있게 되면 아이는 어디에나 그림을 그려댑니다. 끄적거리고 휘갈기고 점을 찍으면서 낙서처럼 보이는 그림을 그립니다. 소용돌이와 직선은 곧 동그라미와 네모로 바뀌고, 이어서 곧바로 선 기둥, 나무를 닮은 사람, 머리나 몸통에 더듬이같은 발이 달린 사람을 그립니다. 이렇게 자신을 향하던 아이의 관점은 집을 그리면서 어느새 집 안에서 세상을 향하는 관찰자의 관점으로 바뀝니다. 이렇게 유아 그림이 보여주는 전형적인 변화 과정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보편적인 성장과 내면의 발달을 드러내는 기록입니다.
한국 발도르프킨더가르텐 현장 두 곳에서 수집한 세 아이의 그림을 비교해 보면 몇 가지 현상이 두드러집니다. 우선 전체 그림의 구성이 매우 안정적입니다. 만 4세 정도가 되면 아이들은 친구들과 관계 맺기에서 조화를 유지하기 시작합니다. 이런 내면의 상황을 반영하여, 아이마다 그림의 모티브는 다양하지만 균형감 있는 구도를 보입니다. 또한 동일한 문양이지만 여아 A와 B에서 연령대의 차이가 보입니다. 특히 만 다섯 살이 된 여아 C의 그림은 삼원색을 적절히 써서 강조와 변화를 보여주는 가운데 전체적으로 리듬감까지 더해집니다. 명확한 선들은 힘을 담고 있으며 안정감을 줍니다. 마지막 그림에서는 꽉 찬 집의 내부를 보여줍니다. 만 여섯 살에 임박한 이 아이는 자신의 집인 몸이 어느 정도 완성된 상태에 도달했음을 보여줍니다. (중략)
아이 그림이 부모를 포함하여 교육자에게 성장을 읽어내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으려면, 우리의 교육 현장에서 몇 가지 유념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첫째, 아이가 그림을 그릴 때 집중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주어야 합니다. 이른바 아이와의 '상호 작용'을 위해 아이에게 모티브와 관련된 말을 건네거나 그리기를 지도하는 설명은 삼가야 합니다. 둘째, 유아 그림에 관심을 가지고 아이의 발달을 편견 없이 '읽기'를 원하는 교육자는 유아 그림에 대한 기본 이해를 바탕으로 아이가 그리는 전형적인 모티브의 의미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셋째, 아이들은 저마다 다른 발달의 속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아 그림은 획일적인 평가나 분석의 대상이 아니라 세심한 관찰과 이해를 위한 자료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꾸준한 노력으로 유아의 발달과 그림의 연관성을 제대로 읽어내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미하엘라 슈트라우스
발도르프 교육 전문가로, 부친이자 유아 그림 해석의 선구자였던 한스 슈트라우스(1883~1946)의 방대한 수집품과 연구 성과를 물려받아 보완하고 구체화하는 작업을 계속했다.
목차
제6차개정판 서문/초판 서문/이 책이 나오기까지 07
영아 그림에 담긴 여러 가지 힘 17
I. 선과 움직임
영아기 그림을 구성하는 요소들 28
사람 그림과 나무 그림 47
머리에 발이 붙은 사람, 머리에 사지가 붙은 사람 81
II. 선에서 면으로
영혼을 표현하는 매개체인 색채 90
III. 기호 그리기에서 모사하기로
구체적·삽화적인 그림 100
인간학적 주석 - 볼프강 샤트 121
참고문헌 135
부록: 우리의 육아 현장을 위한 제언 - 이정희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