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리뷰
어릴 때부터 감정을 잘 표현할 수 있다면“‘어릴 때부터 감정을 잘 표현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 고민을 한 결과 어린이의 감정을 다루는 글쓰기 프로그램을 진행하게 되었다.”
동화작가 윤영선은 상담 공부를 하면서 지나친 열등감과 낮은 자존감, 적절하게 풀지 못하는 분노, 감정을 드러내지 못하고 정반대로 행동하는 현상, 그 결과 원활하지 못한 인간관계 등이 어린 시절의 감정 체계와 연관이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어릴 때부터 감정을 잘 표현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라는 고민을 한 결과 어린이의 감정을 다루는 글쓰기 프로그램을 진행하게 되었지요.
그 과정에서 얻은 다양한 경험과 노하우를 정리한 책이 《마음이 건강해지는 초등 글쓰기》입니다. 우리 어린이들이 생활 속에서 자신이 겪고 느끼는 것을 제대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초등 글쓰기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생각하기, 상상하기, 자신만의 관점 가지기 그리고 논리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지요. 많은 어린이가 이 책을 통해 감정을 잘 표현하고 친구관계도 원활하여 행복한 미래를 바라볼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합니다.
내 마음의 감정 여행이 책은 각각의 장을 통해 주제별로 짧은 이야기를 소개함으로써 주인공들이 느끼는 감정을 이해하고, 자신의 감정을 조리 있게 표현하며 조화롭게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아이들 스스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특히 ‘함께해요’를 통해 이야기를 통해 느낀 점을 바탕으로 자신의 경험을 직접 글로 쓸 수 있도록 구체적인 예시를 보여 줍니다.
1부 <내 마음의 감정 여행>에서는 자존감 높이고, 다른 사람 존중하고 배려하며, 화 다루고 푸는 방법 찾고, 스트레스(긴장)를 알고 이겨 내는 것뿐만 아니라 슬픔 감정 알고 도움 청하는 방법을 함께 고민해 봅니다. 이 책을 통해 자신만의 행복을 찾는 방법을 찾아보세요.
나와 너, 더불어 우리2부 <나와 너, 더불어 우리>에서는 옳은 일과 그른 일 알고, 짜증날 때 생각 바꾸며, 실수 인정하며, 긍정적으로 말하고, 친구와 나의 차이 인정하는 것과 내 감정 전달하는 것을 통해 다른 사람과 함께 어울려 사는 방법을 고민해 봅니다.
저자는 감정을 다루는 글쓰기 수업을 한 아이들이 변화되는 모습을 보고 ‘이거구나!’ 싶었습니다. 긍정의 감정이나 부정의 감정 모두 소중하게 다루어야 하고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에서 출발한, 마음이 건강해지는 초등 글쓰기가 온 세상 가득 퍼지기를 간절히 소원합니다.
《마음이 건강해지는 초등 글쓰기》는 감정 다루기를 알려 주는 글쓰기 연습이고, 친구 관계가 좋아지는 글쓰기 훈련이며, 마음이 건강해지는 글쓰기 지도서입니다. 이 책을 통해 아이와 교사가, 아이와 부모(양육자)가, 아이와 아이가 서로 감정을 잘 설명하면서 소통했으면 좋겠습니다.
어린이에게아니라고 말하는 것, 싫다고 말하는 것은 나쁜 게 아니다.
‘yes’라고 말하는 것, ‘좋다’고 말하는 것은 자존심 상할 일이 아니다. 그러나 쉽게 말하지 못하기도 하고 쉽게 말한다 해도 제대로 말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
나 전달법은 부정적인 말을 할 때 가장 필요한 말하기 방법이다.
“하지 마!” 이렇게 말하는 것은 명령어이다.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 같은 의미지만 듣기가 훨씬 편안하다.
말하는 사람의 의지가 들어가 있고 감정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듣기는 부드럽지만 강한 설득력이 있다.
어떤 남학생이 감정 수업을 하는 동안 학교에서 친구에게 나 전달법으로 말했더니 “어쩌라고? 그래서 뭐?”라고 해서 할 말이 없었다고 내게 전달했다.
나는 그 남학생이 나 전달법으로 친구에게 말했다는 것에 박수를 보냈다. 앞으로도 말하는 습관이 될 때까지 나 전달법으로 끊임없이 말하도록 권했다.
나 전달법은 분노를 참지 못하고 욱하는 성격의 남학생에게 효과가 좋은 방법이다. 나 전달법으로 말하는 동안에 화가 수그러들기 때문이다.
자존감 높이기, 화 다루기, 스트레스 신호 알기, 슬플 때 도움 청하기만 알아도 잘 말하고 잘 쓰는 방법을 터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을 끝까지 꼼꼼하게 읽기를 바란다.
‘아무리 나를 가난한 농부에게 팔려고 했어도 그렇지, 이렇게 볼품없는 모양으로 만들다니, 차라리 바닥에 떨어져서 깨져 없어졌으면 좋겠어.’
손잡이가 넓은 그릇은 생각할수록 토기장이가 미웠어요.
바로 그때, 밖으로 나온 농부의 모습을 보는 순간, 손잡이가 넓은 그릇은 깜짝 놀라고 말았어요. 농부는 두 손이 잘린 사람이었어요. 농사일을 하다가 손을 잃은 농부는 평범한 그릇을 사용할 수가 없었던 거예요.
토기장이는 이런 사실을 알고 손이 없는 농부를 위해 손잡이가 널찍한 그릇을 만들었던 거예요. 농부가 팔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말이에요.
“토기장이님! 저를 위해 이렇게 좋은 그릇을 만들어 주시니 정말 고맙습니다.”
농부는 눈물을 글썽이며 말했어요.
“제가 더 고마운 걸요. 그릇을 만들면서 이렇게 기뻤던 적은 처음이에요. 이 그릇은 나의 최고의 작품입니다.”
토기장이도 감격에 겨워 말했어요.
그제야 손잡이가 넓은 그릇은 자기가 토기장이의 가장 가치 있는 작품이라는 사실을 깨달았지요.
작가 소개
지은이 : 윤영선
1965년 충북 제천 산골 마을에서 태어나고 자랐어요. 단국대학교대학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하고 문학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2011년 제5회 웅진주니어문학상 장편동화 부문 대상을 수상했고, 2014년 제12회 푸른문학상에 청소년 중편소설이 당선되었어요. 지은 책으로는 《수탉이 알을 낳았대》, 《내 말 좀 들어 주세요》, 《잃어버린 미투리 한 짝》, 《국 아홉 동이 밥 아홉 동이》, 《도대체 공부가 뭐야?》, 《나는 블랙 컨슈머였어!》, 《성경인물 고사성어》, 《괜찮아요, 할머니!》, 《글쓰기 대장 나가신다!》, 《박씨 성을 가진 노비》, 《장영실과 갈릴레오 갈릴레이》, 《라희의 소원나무》, 《매월당의 초상화》, 《마음이 건강해지는 초등 글쓰기》가 있습니다. 《국 아홉 동이 밥 아홉 동이》의 ‘쌀 나오는 바위’는 초등 4학년 2학기 국어활동 책에 수록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