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초등 > 3-4학년 > 학습참고서 > 고등참고서
2021 고전을 면하다 (2021년) 이미지

2021 고전을 면하다 (2021년)
홀수 | 3-4학년 | 2020.05.28
  • 정가
  • 15,000원
  • 판매가
  • 13,500원 (10% 할인)
  • S포인트
  • 750P (5% 적립)
  • 상세정보
  • 29.7x21 | 0.518Kg | 240p
  • ISBN
  • 9791189939298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내신과 수능을 한 번에 끝낸다!「고전을 면하다」 교재는 내신과 수능을 한 번에 끝낼 수 있도록 시조와 가사부터 향가·고려가요·한시·민요와 잡가까지 다양한 갈래별로 구성하였으며,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단계별 학습법으로 안내하여 빈틈없이 공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출판사 리뷰

- 독자 대상: 고등학교 국어(고전시가) 영역 내신 및 수능 준비생
- 구성: 고전시가 단계별 학습 방법을 담은 1부와 108개의 고전시가 필수 작품에 대해 수능, 모의평가, 에 출제된 선지를 변형한 OX 문제 및 핵심 내용 설명을 담은 2부로 구성
- 특징
· 「고전을 면하다」 교재를 활용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단계별 학습법으로 안내하여 고전시가 작품들을 빈틈없이 공부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고전시가 공부의 핵심은 작품 해석을 하는 데에 있습니다. 현대어 풀이를 고전시가 원문 바로 아래 배치하여, 원문과 현대어 풀이를 함께 읽으며 작품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수능, 모의평가, 학력평가에 출제된 선지를 변형하여 OX 문제로 제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자신이 작품의 내용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점검하며 실전적으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 해석의 틀, 해석의 덤, 눈여겨 볼 어휘 등 다양한 장치들을 활용하여 고전시가 작품들을 깊고 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내신부터 수능 국어까지 고전시가를 이 책 한 권으로 끝낼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고전을 면하다> 구성과 특징
첫째, 고전시가 해석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서 「고전을 면하다」
고전시가 공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고전시가를 해석하는 능력입니다. 이를 기르기 위해 「고전을 면하다」에는 고전시가 작품들의 원문과 이에 대한 친절하고 자세한 현대어 풀이, 그리고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는 다양한 장치들을 실어 놓았습니다. 이 장치들을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에 대해 단계별로 설명한 Step 1, 2, 3의 설명을 따라가며 읽고, '연습으로 탄탄하게'의 문제를 풀며 교재 활용법과 고전시가 학습법을 배워 봅시다.

둘째. 고전시가 108개의 작품들을 28일 동안 효율적으로 학습
「고전을 면하다」는 수능, 모의평가, 학력평가에 기출된 적 있는 고전시가 작품 원문과 변형 선지로 구성된 OX 문제를 수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작품을 꼼꼼히 공부한 후 OX 문제 풀이로 작품 내용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는지 점검하여 실전적으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시조와 가사부터 향가·고려가요·한시·민요와 잡가까지 다양한 갈래들을 골고루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4주(28일) 동안 108개의 작품의 학습을 완성하는 학습 PLAN을 제시하여 학생들의 공부 계획에 도움이 되도록 했습니다.

셋째, 다양한 장치들을 통해 내신과 수능 국어의 고전시가를 이 책 한 권으로 끝낸다
'해석의 틀'과 '해석의 덤'에서 고전시가 작품의 해석에 도움이 될 만한 표현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했습니다. 눈여겨 볼 어휘에는 형광펜으로 표시하여 반복적으로 살펴보며 자연스럽게 눈에 익힐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한 주제·특징·해제를 통해 해당 작품을 깊고 넓게 이해하고, <보기>로 작품 보기를 통해 실제 시험에서 해당 작품을 어떻게 바라보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박광일

  목차

1부
- How to use 고전을 면하다
- 고전시가 '이것만은 알고 가자'

2부
Part Ⅰ. 시조
[평시조]
- 지문으로 출제된 평시조 -
01. 이조년, 「이화에 월백하고∼」
02. 원천석, 「흥망이 유수하니∼」
03. 왕방연, 「천만리 머나먼 길에∼」
04. 송순, 「풍상이 섞어 친 날에∼」
05. 황진이, 「어져 내 일이야∼」
06. 임제, 「청초 우거진 골에∼」
07. 계랑, 「이화우 흩뿌릴 제∼」
08. 홍랑, 「묏버들 가려 꺾어∼」
09. 정철, 「어와 동량재???~」
10. 이항복, 「철령 노픈 봉을∼」
11. 박인로, 「조홍시가」
12. 조찬한, 「빈천을 팔려고~」
13. 남구만, 「동창이 밝았느냐~」
14. 김수장, 「초암이 적료?????∼」
15. 이정보, 「국화야 너는 어이∼」
16. 안민영, 「임 이별 하올 적에~」

- 선택지에 제시된 평시조 -
01. 이색, 「백설이 잦아진 골에∼」
02. 정도전, 「선인교 나린 물이∼」
03. 이방원, 「이런들 어떠하며∼」
04. 정몽주의 어머니, 「까마귀 싸우는 곳에∼」
05. 이직, 「까마귀 검다 하고∼」
06. 변계량, 「내게 좋다 하고∼」
07. 김종서, 「북풍은 나무 끝에 불고∼」
08. 성삼문, 「수양산 바라보며∼」
09. 월산대군, 「추강에 밤이 드니∼」
10. 이현보, 「귀거래 귀거래∼」
11. 이현보, 「농암에 올라 보니∼」
12. 서경덕, 「마음이 어린 후니∼」
13. 조식, 「두류산 양단수를∼」
14. 조식, 「삼동에 베옷 입고∼」
15. 이총, 「이 몸이 쓸 데 없어∼」
16. 성혼, 「말 업슨 청산이오∼」
17. 정철, 「재 너머 성 권농 집에∼」
18. 조헌, 「지당에 비 뿌리고∼」
19. 황진이, 「산은 옛 산이로되∼」
20. 신흠, 「노래 삼긴 사???∼」
21. 김상헌, 「가노라 삼각산아∼」
22. 주의식, 「형산의 박옥 얻어∼」
23. 이명한, 「꿈에 다니는 길이∼」

[연시조]
01. 황희, 「사시가」
02. 이현보, 「어부단가」
03. 이신의, 「단가 육장」
04. 권호문, 「한거십팔곡」
05. 이황, 「도산십이곡」
06. 이이, 「고산구곡가」
07. 김득연, 「산중잡곡」
08. 박인로, 「입암이십구곡」
09. 박인로, 「자경」
10. 이별, 「장육당육가」
11. 김광욱, 「율리유곡」
12. 윤선도, 「어부사시사」
13. 윤선도, 「오우가」
14. 윤선도, 「만흥」
15. 윤선도, 「견회요」
16. 윤선도, 「몽천요」
17. 신계영, 「전원사시가」
18. 이휘일, 「전가팔곡」
19. 이정환, 「비가」
20. 권구, 「병산육곡」
21. 위백규, 「농가」
22. 안민영, 「매화사」
23. 안서우, 「유원십이곡」

[사설시조]
01. 정철, 「장진주사」
02. 작자 미상, 「두터비 파리를 물고∼」
03. 작자 미상, 「어이 못 오던다∼」
04. 박문욱, 「내게는 원수가 없어~」
05. 작자 미상, 「개를 여라믄이나 기르되∼」
06. 작자 미상, 「임이 오마 하거늘∼」
07. 작자 미상, 「귀??리 져 귀??리∼」

Part Ⅱ. 가사
01. 정극인, 「상춘곡」
02. 조위, 「만분가」
03. 송순, 「면앙정가」
04. 정철, 「성산별곡」
05. 정철, 「관동별곡」
06. 정철, 「사미인곡」
07. 정철, 「속미인곡」
08. 허난설헌, 「규원가」
09. 허전, 「고공가」
10. 박인로, 「선상탄」
11. 박인로, 「누항사」
12. 정훈, 「탄궁가」
13. 안조원, 「만언사」
14. 김춘택, 「별사미인곡」
15. 이광명, 「북찬가」
16. 작자 미상, 「봉선화가」
17. 작자 미상, 「덴동어미화전가」
18. 신계영, 「월선헌십육경가」
19. 김인겸, 「일동장유가」

Part Ⅲ. 향가 · 고려가요 · 한시 · 민요와 잡가
[향가]
01. 득오, 「모죽지랑가」
02. 월명사, 「제망매가」

[고려가요]
01. 작자 미상, 「동동」
02. 정서, 「정과정」
03. 작자 미상, 「서경별곡」
04. 작자 미상, 「청산별곡」
05. 작자 미상, 「가시리」

[한시]
01. 최치원, 「추야우중」
02. 최치원, 「제가야산독서당」
03. 최치원, 「촉규화」
04. 정지상, 「송인」
05. 이색, 「부벽루」
06. 정약용, 「고시 8」
07. 정약용, 「보리타작」
08. 설장수, 「어옹」
09. 유종원, 「강설」

[민요와 잡가]
01. 작자 미상, 「시집살이 노래」
02. 작자 미상, 「정선 아리랑」
03. 작자 미상, 「춘향이별가」
04. 작자 미상, 「유산가」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