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담쟁이 교실 시리즈 14권. 청소년들에게 이상 문학에 대한 편견을 불식시키고, 문사(文士)로서 암울했던 시대를 산 그의 삶과 문학을 다채롭게 조명하였다. 자유연상, 자동기술, 내적 독백 등의 실험적 구성과 시어로 식민지 근대와 그것에 촉발된 당대인의 내면을 예리하게 포착해낸 그의 시편들과 주요 산문들이 수록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선생님(샘샘)과 학생(소희)이 등장하여 서로 대화하면서 이상의 삶과 문학을 하나씩 풀어나가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특히 일선 학교 선생님들이 현장에서의 문학 교육 경험을 토대로 청소년들을 위해 집필된 만큼 그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이상 문학의 정수를 소개하고 있다.
출판사 리뷰
현란하고 자극적인 말과 글에 길들여져 있는 우리 청소년들에게 주옥같은 우리 글을 소개하고자 실천문학사와 현직 교사들이 함께 기획 편찬하는 ‘담쟁이 문학교실’ 열네 번째 권 『선생님과 함께 읽는 이상』이 출간되었다. 이 시리즈는 그동안 『선생님과 함께 읽는 우리 시 100』, 『선생님과 함께 읽는 우리 소설』, 『선생님과 함께 읽는 김소월』, 『선생님과 함께 읽는 한용운』 등이 편찬되어 일선 교육현장에서 꾸준하게 사랑받아왔다.
천재 시인 이상을 다시 읽는다!
천재’와 ‘광인’이라는 꼬리표와 함께 전위적이고 해체적인 글쓰기로 한국의 모더니즘 문학사를 개척한 시인 이상. 근대와 맞닥뜨린 식민지 조선 당대의 기념비요 자화상 역할을 하는 그의 시를 선생님과 함께 읽는다. 작품의 난해성 때문에 그동안 그의 작품에 다가가기가 어려웠던 게 사실이다. 시대를 너무 앞서 간 듯한 그의 작품들은 당시에는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 이 책은 청소년들에게 이상 문학에 대한 편견을 불식시키고, 문사(文士)로서 암울했던 시대를 산 그의 삶과 문학을 다채롭게 조명하였다. 자유연상, 자동기술, 내적 독백 등의 실험적 구성과 시어로 식민지 근대와 그것에 촉발된 당대인의 내면을 예리하게 포착해낸 그의 시편들과 주요 산문들이 수록되어 있다. 특히 일선 학교 선생님들이 현장에서의 문학 교육 경험을 토대로 청소년들을 위해 집필된 만큼 그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이상 문학의 정수를 소개하고 있다.
이상에 대한 가장 감칠맛 나는 문학평설!
이 책은 총 4부로, 연극적.심포지엄적으로 구성되었다. 전체적으로 선생님(샘샘)과 학생(소희)이 등장하여 서로 대화하면서 이상의 삶과 문학을 하나씩 풀어나가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1장 이상이 이상을 말하다’는 이상에 대한 평전으로, 이상을 직접 무대로 불러들여 이상이 자신의 삶에 대해 말하게 함으로써 그의 삶과 문학을 육성화시키고 있다. ‘2장 키워드로 읽는 이상의 시’에서는 난해한 그의 시를 키워드로 분류하여 다채롭게 살펴보았다. ‘3장 이상의 소설과 수필’은 시인 이상이 남긴 꼭 읽고 알아야 할 산문의 전문을 실어 그의 문학의 또 다른 면모를 볼 수 있게 했다. ‘4장 이미지로 보는 이상’에서는 자료사적으로 가치가 높은 그의 「오감도」 육필 원고를 비롯, 그의 학창 시절과 청년 시절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화보로 구성하였다.
작가 소개
저자 : 이상
이상(李箱, 1910-1937)의 본명은 김해경(金海卿)으로 ‘이상’이라는 필명은 1932년 「건축무한육면각체」를 발표하며 처음으로 사용했다. 1934년 구인회의 김기림, 박태원 등과 교우하며 문단과 교우를 맺었으며 이태준의 주선으로 <조선중앙일보>에 연작시 「오감도」를 연재하였으나 난해함에 항의하는 독자들의 반발로 중단되었다. 이상의 문학에는 억압되고 좌절된 욕구를 가진 무력한 자아의 불안과 공포 및 탈출 시도, 그리고 무의식의 개념을 도입한 자기 분열과 비합리적인 내면세계가 그려져 있어 흔히 난해한 초현실주의적인 작가로 일컬어진다. 그러나 기존 문학의 형태를 해체하여 이전까지는 없었던 전혀 새로운 의식과 언어로 구축한 작품 세계는 시대를 초월하여 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받는다.
목차
제1장 이상이 이상을 말하다
제2장 키워드로 읽는 이상의 시
1. '난해함'이라는 것
2. '키워드'라는 것
3. 키워드로 읽는 이상의 시
제3장 이상의 소설과 수필
1. 소설
(1) 날개
(2) 지주회시
2. 수필
(1) 권태
(2) 산촌여정
(3) 공포의 기록
(4) 세 통의 편지
제4장 이미지로 보는 이상
부록
이상 연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