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홍덕용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하고 부산대학교 기록관리협동과정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부산광역시 수영구청에서 기록관리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대한민국 국가기록관리 발전을 위해 현재는 한국 기록전문가협회 운영위원,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표준화작업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에서 대규모로 생산되고 있는 행정기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국민들에게 투명하게 제공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1장 대한민국 기록유산에는 무엇이 있을까?
1. 세계기록유산이란 무엇인가?
2. 우리나라는 왜 기록유산의 강국일까?
3. 조선왕조실록(1997년 등재)
4. 훈민정음 해례본(1997년)
5. 승정원일기(2001년 등재)
6. 불조직지심체요절 하권(2001년 등재)
7.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1995년 등재)
8. 조선왕조 의궤(2007년 등재)
9. 동의보감(2009년 등재)
10. 일성록(2011년 등재)
11. 1980년 인권기록유산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2011년 등재)
12. 난중일기(2013년 등재)
13. 새마을운동 기록물(2013년 등재)
14. 한국의 유교책판(2015년 등재)
15. KBS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2015년 등재)
16. 국채보상운동 기록물(2017년 등재)
17.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2017년 등재)
18. 조선통신사 관련 기록물(2017년 등재)
부록 북한의 세계기록유산 - 무예도보통지(2017년 등재)
2장 대한민국 기록유산은 어디서 보관하고 있을까?
1. 세계기록유산 보유 기관
2. 기록의 4대 원칙
3. 5·18 민주화운동 기록관(1980년 인권기록유산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 소장)
4. KBS(KBS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 소장)
5. 국가기록원(조선왕조실록, 새마을운동 기록물, KBS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소장)
6. 국립고궁박물관(조선왕조 의궤,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소장)
7. 국립중앙도서관(조선왕조 의궤, 동의보감,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물 소장)
8. 국립중앙박물관(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소장)
9. 국사편찬위원회(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물 소장)
10. 대구국채보상운동기념관(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소장)
11. 새마을운동중앙회(새마을운동 기록물)
12. 서울대학교(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조선왕조 의궤, 동의보감, 일성록,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물,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소장)
13. 한국국학진흥원(한국의 유교책판 기록물 소장)
14. 한국금융사박물관(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소장)
15.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왕조 의궤, 동의보감 소장)
16. 현충사(난중일기 소장)
부록 세계기록유산 소장기관 지도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