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청소년 > 청소년 > 청소년 역사,인물
세계기록유산 100% 활용하기 이미지

세계기록유산 100% 활용하기
좋은땅 | 청소년 | 2020.06.05
  • 정가
  • 15,000원
  • 판매가
  • 13,500원 (10% 할인)
  • S포인트
  • 750P (5% 적립)
  • 상세정보
  • 21x14.8 | 0.296Kg | 228p
  • ISBN
  • 9791165364366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세계기록유산이란 유네스코에서 보호, 보존하는 기록물로서 우리나라는 조선왕조실록, 훈민정음, 승정원일기 등 총 16건이 등재되어 있다. 기록유산 보유 기관에서는 이용자를 위해 전시하거나 전산화를 통해 온라인으로도 열람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구축하였지만 활용하는 방법은 아무도 알려 주지 않는다. <세계기록유산 100% 활용하기>에는 유네스코에 등재된 우리나라 세계기록유산에 대해 소개하고 각각의 활용 방법들을 이야기한다.

  출판사 리뷰

대한민국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잘 활용되고 있을까?

유네스코에 등록된 우리나라의 세계기록 유산은 총 16건으로 아시아에서는 가장 많고 전 세계적으로는 독일, 영국, 폴란드에 이어 네 번째로 많다. 선조들의 찬란한 기록문화유산이 지금까지 잘 보존되고 있는 사실은 자랑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보존하는 것에만 멈춰 있지 않은지 되돌아 볼 때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보며 마음으로 느낄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저자는 공공기관에서 기록물을 관리하는 일을 하며 우리나라의 기록유산들이 박물관 안에만 머물러 있다는 사실이 안타까웠다. 각 기관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잘 구축해 놓아 온라인으로도 충분히 열람할 수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이에 우리나라 세계기록유산을 알리고 청소년들이 우리나라의 기록유산을 간접체험할 수 있도록 이 책을 쓰게 되었다. 각 기록유산이 나오게 된 역사 배경과 각 보유기관마다의 이용법에 대해 설명해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홍덕용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하고 부산대학교 기록관리협동과정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부산광역시 수영구청에서 기록관리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대한민국 국가기록관리 발전을 위해 현재는 한국 기록전문가협회 운영위원,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표준화작업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에서 대규모로 생산되고 있는 행정기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국민들에게 투명하게 제공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목차

1장 대한민국 기록유산에는 무엇이 있을까?

1. 세계기록유산이란 무엇인가?
2. 우리나라는 왜 기록유산의 강국일까?
3. 조선왕조실록(1997년 등재)
4. 훈민정음 해례본(1997년)
5. 승정원일기(2001년 등재)
6. 불조직지심체요절 하권(2001년 등재)
7.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1995년 등재)
8. 조선왕조 의궤(2007년 등재)
9. 동의보감(2009년 등재)
10. 일성록(2011년 등재)
11. 1980년 인권기록유산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2011년 등재)
12. 난중일기(2013년 등재)
13. 새마을운동 기록물(2013년 등재)
14. 한국의 유교책판(2015년 등재)
15. KBS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2015년 등재)
16. 국채보상운동 기록물(2017년 등재)
17.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2017년 등재)
18. 조선통신사 관련 기록물(2017년 등재)

부록 북한의 세계기록유산 - 무예도보통지(2017년 등재)

2장 대한민국 기록유산은 어디서 보관하고 있을까?

1. 세계기록유산 보유 기관
2. 기록의 4대 원칙
3. 5·18 민주화운동 기록관(1980년 인권기록유산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 소장)
4. KBS(KBS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 소장)
5. 국가기록원(조선왕조실록, 새마을운동 기록물, KBS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소장)
6. 국립고궁박물관(조선왕조 의궤,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소장)
7. 국립중앙도서관(조선왕조 의궤, 동의보감,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물 소장)
8. 국립중앙박물관(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소장)
9. 국사편찬위원회(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물 소장)
10. 대구국채보상운동기념관(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소장)
11. 새마을운동중앙회(새마을운동 기록물)
12. 서울대학교(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조선왕조 의궤, 동의보감, 일성록,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물,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소장)
13. 한국국학진흥원(한국의 유교책판 기록물 소장)
14. 한국금융사박물관(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소장)
15.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왕조 의궤, 동의보감 소장)
16. 현충사(난중일기 소장)

부록 세계기록유산 소장기관 지도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