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진보 길라잡이 이미지

진보 길라잡이
한국에서 진보답게 살려면 알아야할 것들
도서출판 4.27시대 | 부모님 | 2020.07.22
  • 정가
  • 22,000원
  • 판매가
  • 19,8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100P (5% 적립)
  • 상세정보
  • 22.4x15.2 | 0.667Kg | 488p
  • ISBN
  • 9791197110603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나라의 자주 민주 통일을 지향하는 진보의 입장에서 여러 분야의 기본 내용들을 소개하려고 노력한 책이다. 우리역사, 북 바로알기, 국제관계, 민중운동사, 노동, 농업·농민, 페미니즘, 심리학, 종교, 철학, 경제, 정치노선, 활동방법, 자연과학 등을 담았다. 가급적 남과 북의 진보적 관점을 모두 포괄적으로 다루려 노력했다. 한국의 대표 악법 국가보안법의 마구잡이식 적용으로 북에 대한 정당한 학술연구마저 제한 위축된 현실은 조속히 시정되고 극복되어야 한다. 사람들이 쉽게 북한(조선)의 1차 자료를 접할 수 없는 현실적 한계로 ‘통일부 북한자료센터’의 자료를 주로 소개했다.

  출판사 리뷰

사색하며 뛰고, 뛰면서 사색하자!
교양과 교육은 진보의 생명선입니다. 진보도 관점과 입장이 퇴색하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 후퇴합니다. 한번 진보가 영원한 진보일 수 없습니다. 진보는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 매일 새로워지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입니다. 세상과 사람들의 변화에 대해 끊임없이 사색하고 탐구하지 않으면 새로움과 창조는 불가능합니다. 한국의 진보가 지난 1980년대 이후 3~40년간 사상 이론적으로 얼마나 새로워졌는지 생각해봅니다. 교양교육의 현대적 소통수단과 방법의 급진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한국진보의 교양교육 콘텐츠는 변화된 대중의 생각과 마음을 사로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발전하는 시대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전진이 아니라 정체되고 심지어 후퇴하고 있다는 느낌입니다.
철학, 경제학, 국제문제 등 분야들에서 조금 깊이 있는 자료를 찾아보면 여전히 8~90년대 당시 맑스주의 자료들이 대부분입니다. 철학과 사상의 후퇴는 물론이고, 진보에서 새롭게 관심을 끄는 여성, 인권, 국제문제 자료들에서 대중추수적인 경향마저 보입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진보정당과 진보적 대중단체에서 무엇을 어떻게 학습해야 하는지에 대한 대중적 요청과 질문은 많은데 시원하게 답해주는 데가 없다는 느낌입니다. 이것이 <진보 길라잡이>를 기획한 이유입니다.
시대의 발전추세에 맞고 대중이 좋아하는 매력적 콘텐츠를 한국진보의 원칙적 입장에서 개척하고, 풍부한 학습과 토론 자료부터 공급하자! 이것이 우리가 내린 결론입니다. 무엇을 완성한다기보다 부족하더라도 다시 기초부터 만든다는 입장에서 머리를 맞댔습니다. 이 책은 나라의 자주 민주 통일을 지향하는 진보의 입장에서 여러 분야의 기본 내용들을 소개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우리역사, 북 바로알기, 국제관계, 민중운동사, 노동, 농업·농민, 페미니즘, 심리학, 종교, 철학, 경제, 정치노선, 활동방법, 자연과학 등을 담았습니다. 환경과 인권, 문화예술 분야를 다루지 못했는데요, 아쉽지만 개정증보판을 기약하겠습니다. 이 책은 가급적 남과 북의 진보적 관점을 모두 포괄적으로 다루려 노력했습니다. 한국의 대표 악법 국가보안법의 마구잡이식 적용으로 북에 대한 정당한 학술연구마저 제한 위축된 현실은 조속히 시정되고 극복되어야합니다. 사람들이 쉽게 북한(조선)의 1차 자료를 접할 수 없는 현실적 한계로 ‘통일부 북한자료센터’의 자료를 주로 소개했습니다.

~ 한국전쟁은 우리 민족 내부에 심각한 후유증을 남겼고, 참전세력들은 오늘날까지 휴전선을 중심으로 대치하고 있습니다. 결국 남북의 분할 경계선은 38선에서 정전협정상 휴전선으로 바뀌었으며,법률적으로 한반도는 일시적 정전상태를 장기간 유지하고 있는 여전한 ‘전시체제’입니다. 분단이 전쟁을 동반한 ‘분단 전시체제’로 전화된 것입니다. 우리는 단순히 ‘평화적 분단체제’에 사는 게 아니라 ‘분단 전시체제’에 살고 있습니다.
분단 전시체제는 남북 사회 모두의 정상적 발전을 저해하는 기본요소입니다. 즉 남과 북 모두 언제 다시 재개될지 모르는 전쟁에 대비하며 분리된 상태에서 경제개발과 건설을 진행합니다. 북이 사회주의에 분단 전시체제라는 비정상적 요인이 결합되어있다면, 남쪽 사회는 예속 기형 자본주의에 분단 전시체제라는 비정상적 요인이 추가된 것입니다. 분단 전시체제는 남녘에 반공 군사독재정권이 유지되는 정치적 기반이 되었고, 경제사회적으로는 민주주의를 압살할 뿐 아니라 군사비 등으로 국민 복지를 축소하는 근거로 작용하였습니다.
분단 전시체제의 종결, 즉 평화적이며 자주적으로 외세의 간섭 없이 우리 힘으로 통일 평화체제를 만들지 않는 이상 우리 민족은 남과 북 어디에 있든 항시적인 분단으로 인한 정치경제적 소모전과 언제 다시 터질지 모르는 전쟁 위협에 고통 받게 됩니다. 냉전의 해체 이후 미국 패권시대가 열리면서 남녘은 1990년대 이후부터 상대적으로 체제 위협을 덜 받게 되지만, 거꾸로 북녘은 미국으로부터 극도의 핵전쟁 위협과 위기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것이 90년대부터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북미간 핵-미사일 공방의 배경입니다. 분단 전시체제는 한국인의 삶을 전쟁의 가치관으로 살게 만든 근본원인의 하나입니다. 단적으로 한국에서 유독 강하게 나타나는 ‘빨리빨리’ 문화, 효율속도 만능, 결과중시 문화는 자본주의의 속성이기도 하지만 전시 경쟁체제에 기반한 ‘속도경제’의 결과입니다. 이 전시 군사문화가 전근대적 관행 및 의식과 결합해 퇴행적인 노사문화 형성에 기여했음은 말할 것도 없습니다.
이처럼 분단 전시체제는 전쟁 재발 가능성에 따른 전사회적 불안정과 두려움 등으로 남북의 모든 민족에게 거대한 그림자로 체제 내화되었습니다. 5,000년 같은 핏줄, 같은 언어, 같은 문화로 살아온 우리 민족이 외세의 농락으로 갈라져 원수처럼 살아갈 이유는 없습니다. 분단이 장기화돼 새 세대가 계속 분단체제에서 태어나 자라나는 한편 분단 과정을 직접 경험한 세대는 점차 사라져 이질화가 심화됩니다.
분단의 피해는 남북 모두에게 가해집니다. 따라서 분단으로 인한 고통과 불안정한 전시체제를 종결짓는 것은 한시도 늦출 수 없는 남북 모두의 당면과제입니다. 앞서 언급했지만 자주적 민주주의와 통일의 과제를 다른 말로 자주·민주·통일 노선이라고 합니다. 자주적 민주주의와 사회주의가 남북 각지역의 정치노선이라고 한다면 분단 전시체제를 극복하는 통일은 남과 북 모두의 공통과제 일 것입니다.

'우리의 역사는 우리 민족이 걸어온 발자취이자 기록이다.··· 역사는 오늘의 삶을 비추어주는 거울이며, 내일을 내다볼 수 있는 창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역사는 과거가 어둡다고 하여 숨기거나 없는 것을 있다고 과장해서는 안 되며 치우침이 없고 엄격해야 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4.27시대연구원
우리 민족의 운명은 우리 스스로 결정하자2018년 남과 북의 최고지도자가 4.27판문점선언과 9.19평양공동선언을 민족과 세계 앞에 천명하였을 때, 우리 조국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향한 기대와 희망으로 8천만 겨레는 온통 기쁨과 감동이었습니다. 6.12싱가포르 북미공동선언을 접하면서 세계는 우리나라를 경이와 존경의 눈으로 바라보았습니다. ‘우리 민족의 운명은 우리 스스로 결정 한다’는 4.27판문점선언의 정신을 깊이 새기면서 2018년 4.27시대 실현에 앞장서고자 통일운동 전문가와 활동가들이 모여 4.27시대연구원을 창립하고 자주통일운동 노선과 이론, 정책을 생산해온 지 2년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지난 2년 동안 자주통일 운동의 강화와 남북공동선언 실천을 위해 우리 나름대로 치열한 토론과 연구, 선전교양과 저술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왔습니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 활동을 대중들과 공유하고, 보다 광범위한 교양체계를 구축하고자 ‘4.27시대 통일교과서’ 발간사업을 당차게 준비하여 우선 <진보 길라잡이>를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계속해서 철학과 사상이론, 우리 역사와 정치경제이론, 연합연방제통일론, 공동번영의 방법론, 문화예술이론, 북 바로알기 등 다양한 저술활동을 하고자 합니다. 부족하나마 4.27시대연구원의 노력이 자주통일을 염원하는 모든 분들에게 이론을 정립하고 실천함에 있어 의미 있는 자료가 되기를 바랍니다. 4.27시대연구원은 연구저술활동과 함께 4.27시대 실현을 향한 강력한 대중투쟁의 현장에서 늘 함께 하겠습니다. ‘4.27시대 통일교과서’ 편찬사업에 함께 하신 연구활동가, 여러 방법으로 협력해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이러한 일련의 노력이 통일을 향한 대중적인 교양과 학습의 열풍이 되어 4.27시대 통일일꾼을 폭넓게 배출하고, 주체역량을 비약적으로 강화하는데 기여가 되기를 간절히 희망해 봅니다.

  목차

|추천사| 전문성을 갖춘 입문서… 그야말로 ‘길라잡이’ 되길
|원장 인사말| 우리 민족의 운명은 우리 스스로 결정하자 6
|글쓴이 인사말| 사색하며 뛰고, 뛰면서 사색하자! 8

○ 우리역사 [편집팀]
1. 역사공부와 우리 민족 바로알기18
2. 고대국가와 고조선 24
3. 중세국가 고구려 34
4. 우리 민족의 근대 39
5. 참고도서 및 인터넷 자료 50

○ 북 바로알기 [이정훈]
1. 들어가며 : “있는 그대로의 북을 보자” 54
2. 인민생활 56
3. 정치 59
4. 철학사상 62
5. 경제와 과학기술 67
6. 문화예술 70
7. 대미관계사와 통일전략 75
8. 현대사 79
9. 민족문제와 지식인 문제 81

○ 국제관계 [손정목류경완]
1. 국제관계를 보는 진보적 관점 86
2. 미국의 군사패권질서 94
3. 미국의 경제패권질서 96
4. 미국 중심 세계질서에서 다극화 질서로 100
5. 추천자료 109

○민중운동사 [최기영]
1. 민중운동 역사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118
2. 진보정당운동사 122
3. 민주노동운동사 127
4. 농민운동사 132
5. 도시빈민운동사 137
6. 학생운동사 141
7. 통일전선운동사 145
8. 추천자료 149

○ 노동 [편집팀]
1. 들어가며 152
2. 산별노조운동의 쟁점과 과제 155
3. 노동자 정치세력화운동에 대한 평가와 과제 157
4. 비정규직 문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159
5. 특수고용노동자는 노동자이다 161
6. 4차 산업혁명과 플랫폼노동 163
7. 재벌체제 개혁과 노동권 보장 165

○ 농업 농민 [한도숙]
1. 들어가며 170
2. 식량주권 174
3. 농민수당(농민기본소득) 177
4. 경자유전 179
5. GMO 식품 183
6. 농협 개혁 188
7. 세계무역기구(GATT, UR, WTO, FTA, PPT) 192
8. 통일쌀 198
9. 종자주권 201
10. 농민이 만드는 대안, 농생태학/운동 205
11. 여성농민 209
12. 농민권리선언 212

○ 페미니즘 [문현숙]
1. 프롤로그 218
2. 페미니즘 _역사 220
3. 페미니즘 _민족 232
4. 페미니즘 _계급 242
5. 페미니즘 _젠더 251

○ 심리학 [김태형]
1. 들어가며 262
2. 자본주의사회와 인간심리 264
3. 한국인의 심리 266
4. 정신건강과 심리치료 267
5. 주류 심리학 비판 268
6. 본격적으로 심리학 이론을 공부하려면 270
7. 마치는 말 272

○ 종교 [김성윤]
1. 종교운동의 필요성과 인식 전환 274
2. 종교 비판과 인식론 문제 276
3. 종교운동의 역사 282
4. 종교의 본질과 변혁성 문제 288
5. 종교사상과 변혁운동사상 개념의 상관성 문제 293
6. 종교의 실천방법론과 변혁운동의 사업방법론의 관계문제 294

○ 철학 [김동원백철현]
1. 들어가는 글 298
2. 입문 300
3. 철학사 304
4. 맑스주의철학 312
5. 주체철학 324
6. 민족주의 332

○ 경제 [이승규]
1. 들어가며 338
2. 정치경제학 340
3. 주류경제학 342
4. 경제공황 347
5. 노동가치설 351
6. 맑스주의 정치경제학 355
7. 현대제국주의 358
8. 신자유주의 361
9. 다국적기업 368
10. 경제의 세계화 371
11. 비정규직노동자 373
12. 인플레이션 375
13. 미국식 금융방식 377
14. 저금리정책과 양적완화 380
15. 지식노동과 잉여가치이론 383
16. 맑스주의 정치경제학의 한계 386
17. 주체의 정치경제학 388

○ 정치노선 [이정훈]
1. 들어가며 : 한국 사회구조와 정치노선의 기본문제 392
2. 영·미식 자본주의, 신자유주의 추종노선 396
3. 사회민주주의 복지국가론 399
4. 사회주의적 대안 402
5. 자주적 민주주의 405
6. 통일문제와 정치노선 410
7. 유물사관의 한계와 정치노선 413

○ 활동방법론 [편집팀]
1. 들어가며 420
2. 지도(리더십 이론) 422
3. 사업체계와 방식 434
4. 사상사업 436
5. 조직활동 443
6. 전략과 전술 449

○ 과학시술과 21세기 산업혁명 [이정훈]
1. 들어가며 456
2. 양자역학 458
3. 양자컴퓨터 462
4. 우주, 다중우주 465
5. 인공지능 468
6. 뇌과학(신경과학) 474
7. 나노기술, 유전공학, 바이러스 477
8. 수소에너지와 핵융합 481
9. 빅데이터,블록체인 484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