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중.고생을 위한 논술대비 시리즈인 스파크노트 명저노트 시리즈 47권. 방대하고 난해한 원작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안내서로 원작 이해를 돕기 위한 저자와 작품에 대한 배경지식, 그리고 매 chapter나 section 별로 '요점정리'와 '풀어보기'가 실려 있다. '요점정리'에는 방대하고 복잡하고 난해한 원저의 내용을 명쾌하고 간략하게 정리해 놓아 그 내용을 명쾌하게 파악할 수 있다.
헤밍웨이는 이 작품에서 그 같은 상황에 빠진 주인공들-제이크 반스, 브레트 에슐리 부인, 로버트 콘, 등-과 친구들을 내세워 더 이상 믿고 의지할 것이 없기 때문에 주색잡기 같은 현실도피적인 일로 시간을 때우며 허망한 삶을 이어가는 젊은이들의 목표 상실, 남성성에 대한 불안감, 성(性)의 파괴성, 등을 전하고 있다.
출판사 리뷰
방대하고 난해한 원작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안내서입니다. 따라서 여기에는 원작 이해를 돕기 위해 저자와 작품에 대한 배경지식, 그리고 매 chapter나 section 별로 '요점정리'와 '풀어보기'가 실려 있습니다. '요점정리'에는 방대하고 복잡하고 난해한 원저의 내용을 명쾌하고 간략하게 정리해 놓아 그 내용을 명쾌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비판적.분석적 글읽기의 바탕이 되는 '풀어보기'에는 원저에 담긴 저자의 의도, 철학적 성향, 주제, 용어 등이 설명되어 있으며, 'Review'에는 원작의 핵심 내용을 다시 한 번 짚어볼 수 있는 Important Quotations Explained(주요 인용구 해설)와 Key Facts, 원작에 대한 이해도를 점검하고 논술 또는 리포트 작성이나 토론 연습에 활용할 수 있는 Study Questions, 그리고 객관식 복습문제인 Review Quiz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내용 소개]
이 작품은 제1차 세계대전에 의해 꽃다운 청춘이 짓밟힌 남녀 집단을 칭하는 '잃어버린 세대(Lost Generation)의 일상을 그리고 있다. 소위 '대전쟁(the Great War)'이라는 끔찍한 충돌은 전쟁에서의 부도덕성에 대해 새로운 기준을 정립시켰고, 그 기준은 많은 사람들이 지녔던 정의, 도덕성, 인간성, 사랑, 신념, 인격 같은 전통적 가치들에 대한 믿음을 파괴시켰다. 그 결과, 그 전쟁에서 싸우고 일했던 그 세대의 구성원들은 오랫동안 의지하며 믿었던 그 개념들을 잃어버린 채 엄청난 도덕적o심리적 상실감에 시달렸으며, 삶의 의미를 찾고자 노력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서로에게 냉혹하게 굴며 목표 없이 방황했다.
헤밍웨이는 이 작품에서 그 같은 상황에 빠진 주인공들-제이크 반스, 브레트 에슐리 부인, 로버트 콘, 등-과 친구들을 내세워 더 이상 믿고 의지할 것이 없기 때문에 주색잡기 같은 현실도피적인 일로 시간을 때우며 허망한 삶을 이어가는 젊은이들의 목표 상실, 남성성에 대한 불안감, 성(性)의 파괴성, 등을 전하고 있다.
작가 소개
저자 : 어니스트 헤밍웨이
1899년 7월 21일, 미국 일리노이 주 오크파크에서 태어났다. 고등학생 때 학교 주간지의 편집을 맡으며 직접 기사나 단편을 쓰기 시작했고, 졸업 후에는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 〈캔자스시티 스타〉의 수습기자로 일했다. 제1차 세계대전 때 적십자 야전병원 수송차 운전병으로 이탈리아 전선에 투입됐다가 다리에 중상을 입고 귀국했다. 휴전 후 캐나다 〈토론토 스타〉의 특파원이 되어 유럽 각지를 여행하며 그리스 ? 터키 전쟁을 보도하기도 했다. 이후 파리로 건너가 거투르드 스타인, 스콧 피츠제럴드, 에즈라 파운드 등과 같은 유명 작가와 친분을 맺으면서 작가로 성장해 갔다. 1923년 《세 편의 단편과 열 편의 시(詩)》를 시작으로 《우리들의 시대에》(1924),《봄의 분류(奔流)》(1926), 《해는 다시 떠오른다》(1926)를 발표했다. 전쟁의 허무와 비련을 테마로 하여 전쟁문학의 걸작이라고 평가받는 《무기여 잘 있거라》(1929)는 그가 작가로서 이름을 날리는 데 일조했으며, 《누구를 위하여 종을 울리나》(1940)는 출판되자마자 수십만 부가 팔리는 기록을 세웠다. 그 후 십 년 만에 내놓은 《노인과 바다》(1952)를 통해 퓰리처상(1953)과 노벨문학상(1954)을 수상한다. 이후 신경쇠약과 우울증에 시달리다가 1961년 아이다호 케첨의 자택에서 자살로 추정되는 엽총 사고로 생을 마감했다.
목차
간추린 명작 노트
작가와 작품에 대하여 8
전체 줄거리 12
등장인물 16
주요 등장인물 분석 21
주제, 모티프, 상징 26
Chapter별 정리 노트
Chapters 1-2 35
Chapters 3-4 40
Chapters 5-7 45
Chapters 8-10 51
Chapters 11-12 57
Chapters 13-14 61
Chapter 15 66
Chapter 16 71
Chapter 17 75
Chapters 18-19 79
Review
Important Quotations Explained 84
Key Facts 88
Study Questions 90
Review Quiz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