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청소년 > 청소년 > 청소년 문학
그놈의 장미 이미지

그놈의 장미
SNS 폭력과 데이트 폭력에 맞선 한 중학생 이야기
써네스트 | 청소년 | 2020.12.10
  • 정가
  • 12,000원
  • 판매가
  • 10,800원 (10% 할인)
  • S포인트
  • 600P (5% 적립)
  • 상세정보
  • 21x14 | 0.349Kg | 216p
  • ISBN
  • 9791190631150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5·18문학상 수상자 박효명의 첫 번째 장편소설. 청소년들이 무방비상태로 노출되기도 하는 데이트폭력을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주인공 정새아는 평범하고 튀지 않게 사는 것이 좋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혀 믿지 않는다 왜냐하면 말은 그렇게 하면서도 실제로는 아무도 평범한 것을 좋아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서 자신의 부모조차도 그렇다.

평범한 게 가장 좋은 거라고들 말하는데 절대 아니다. 그건 이도 저도 아닌 어중간함을 듣기 좋게 포장한 말일 뿐이다. 우리 부모님만 해도 그랬다. 엄마는 중간쯤인 평범한 내 등수가 불만이었고, 아빠는 내가 연예인이 되기 힘든 평범한 외모인 걸 안타까워했다.

부모님의 불만을 생각하면 '어이가 없네~'라는 영화 대사가 절로 떠오른다. 대부분의 부모는 자식의 성적과 등수에 연연하니 그건 그렇다고 치자. 하지만 자식의 외모에 연연하는 부모는 드물지 않나? 아빠의 유일한 자식인 나는 아빠의 유전자를 빼닮아 너무도 평범한 외모를 가졌다. 성형외과 의사 눈에는 평범한 외모는 최악의 외모와도 같은 말인 듯했다. 내 평범한 외모가 왜 그토록 안타깝고 슬픈 일인지는 아직도 잘 모르겠다. 아빠의 직업을 차치하더라도 말이다. 어쨌든 나는 그렇게 암묵적으로 못난 아이로 자랐다. 성적이라도 좋았다면 모든 게 상쇄되었겠지만 외모도 성적도 나를 구제하지는 못했다.

그러던 그녀가 갑자기 튈 수 있는 일이 벌어진다. 사실은 아무렇지도 않은 사소한 일이지만 SNS는 그녀를 최고의 천사로 만들어준다. 최고의 천사가 된 그녀는 그토록 원했던 은호와의 만남도 갖게 된다. 그것이 다 평범하지 않은 자신의 행동에 의해서였던 것이다. 영원히 행복할 것 같은 일상이 시작되지만 거기서 불행이 시작되고 거침없이 절망의 나락으로 떨어진다.

  출판사 리뷰

5·18문학상 수상자 박효명의 첫 번째 장편소설

주인공 정새아는 평범하고 튀지 않게 사는 것이 좋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혀 믿지 않는다 왜냐하면 말은 그렇게 하면서도 실제로는 아무도 평범한 것을 좋아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서 자신의 부모조차도 그렇다.

평범한 게 가장 좋은 거라고들 말하는데 절대 아니다. 그건 이도 저도 아닌 어중간함을 듣기 좋게 포장한 말일 뿐이다. 우리 부모님만 해도 그랬다. 엄마는 중간쯤인 평범한 내 등수가 불만이었고, 아빠는 내가 연예인이 되기 힘든 평범한 외모인 걸 안타까워했다.
부모님의 불만을 생각하면 ‘어이가 없네~’라는 영화 대사가 절로 떠오른다. 대부분의 부모는 자식의 성적과 등수에 연연하니 그건 그렇다고 치자. 하지만 자식의 외모에 연연하는 부모는 드물지 않나? 아빠의 유일한 자식인 나는 아빠의 유전자를 빼닮아 너무도 평범한 외모를 가졌다. 성형외과 의사 눈에는 평범한 외모는 최악의 외모와도 같은 말인 듯했다. 내 평범한 외모가 왜 그토록 안타깝고 슬픈 일인지는 아직도 잘 모르겠다. 아빠의 직업을 차치하더라도 말이다. 어쨌든 나는 그렇게 암묵적으로 못난 아이로 자랐다. 성적이라도 좋았다면 모든 게 상쇄되었겠지만 외모도 성적도 나를 구제하지는 못했다.

그러던 그녀가 갑자기 튈 수 있는 일이 벌어진다. 사실은 아무렇지도 않은 사소한 일이지만 SNS는 그녀를 최고의 천사로 만들어준다. 최고의 천사가 된 그녀는 그토록 원했던 은호와의 만남도 갖게 된다. 그것이 다 평범하지 않은 자신의 행동에 의해서였던 것이다. 영원히 행복할 것 같은 일상이 시작되지만 거기서 불행이 시작되고 거침없이 절망의 나락으로 떨어진다.
그 절망의 나락에서 다시 살아나올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온갖 폭력에 노출된 우리의 청소년들의 자화상

요즘 우리시대 청소년들은 갖가지 폭력에 노출되고 있다. 특히 SNS 폭력과 데이트 폭력이라는 커다란 괴물들과 언제든지 맞닥뜨릴 수 있는 환경에 처해 있다.
SNS의 경우는 자신을 샐럽으로 만들어주기도 하지만 그 반대로 악마로 만들 수도 있다는 것을 잘 모른다. <그놈의 장미> 속 정새아가 바로 그러한 경우에 처하게 된다. 처음엔 누구나 그렇듯이 아무런 방어도 아무런 대응도 하지 못한다. 그렇게 하면 나아질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다. 하지만 절대로 그렇게 되지 않는다.

세상의 모든 새아와 다희, 말자, 민주에게. 그리고 그들이 아닌 또 다른 누군가, 당신에게도.
반짝반짝 빛나도, 빛나지 않아도 괜찮다. 부디 당신의 장미를 벤치 위에 내려놓고 돌아설 수 있기를…….

라고 '작가의 말'을 쓰듯이 저자는 <그놈의 장미>를 통해서 갖가지 폭력에 노출되어 있으면서도 그것을 어떻게 극복해야 될지 모르는 친구들을 응원하고자 이 글을 썼다.

이해할 수가 없었다. 그 동영상 자체가 말이 안 되는 거였다. 누군가에 의해 악의적으로 편집된 게 분명했다. 욕을 한 건 맞지만 절대로 할머니에게 한 건 아니었다. 누군가가 나를 밀어서 반사적으로 튀어나온 감탄사였을 뿐. 그게 이렇게까지 지탄받을 일인지 정말 모르겠다.
도대체 내가 뭘 그렇게 잘못한 걸까? 처음부터 그 일을 생색낼 마음 따위는 조금도 없었다. 내 입으로 지하철 선행 여중생이라고 떠들어 대지도 않았다. 멋대로 나에게 그런 이름을 붙이고 나를 규정 지은 건 사람들이었다. 그랬던 그들이 이제는 모든 게 거짓말이고 사기였다며 나를 거짓말쟁이에 사기꾼이라고 손가락질했다.

이를 악문 은호는 웃으며 내 머리를 쓰다듬었다. 그 애 손길이 스칠 때마다 온몸에 소름이 돋더니 이내 떨리기 시작했다.
떨림이 심해지자 은호가 두 팔로 내 목을 끌어안았다. 몸을 빼내려고 하면 할수록 그 애는 두 팔에 힘을 주어 내 목을 더 꽉 조였다. 그 애에게서 나는 진한 바닐라 향 때문인지 내 목을 조이는 힘 때문인지 숨이 잘 쉬어지지 않았다. 익숙한 숨 막힘이었다. 그 애는 더 이상 나에게 숨이 멎을 것 같은 사람이 아닌 엄마 아빠처럼 내 목을 졸라 숨 막히게 하는 사람이었다.

‘카페, 호프(CAFE, HOPE)’
참 안 어울린다. 덩굴이 옥죄고 있어 곧 질식할 것처럼 보이는 건물 이름으로는 말이다. 건물이 제 이름을 고를 수 있었다면 과연 ‘희망’이라는 단어를 선택했을까? 우리는 희망이라고 쓰인, 전혀 희망처럼 보이지 않는 곳으로 걸어 들어갔다. 늘 그래 왔던 것처럼

  작가 소개

지은이 : 박효명
「김순영 꽃」으로 제12회 5·18문학상 동화 부문 신인상을 받으며 등단했다. 지은 책으로는 『세 개의 시간』(공저), 『5월 18일, 잠수함 토끼 드림』(공저)이 있다.

  목차

1. 만화 덕후와 평범하진 않은 인물 / 6
2. 조금 더 나은 사람이 된다는 것 / 16
3. 지하철 선행 여중생 / 27
4. 내 생에 최고의 순간 / 40
5. 세상은 정말 아름다운 곳이야 / 53
6. 나를 가득 채우는 사람 / 64
7. 지하철 선행 여중생의 실체 / 78
8. 마녀의 저주 / 91
9. 세기의 로맨티스트 / 104
10. 라일락 언덕에서의 추억 / 119
11. 카페 ‘어스(US)’ / 131
12. 제3의 동영상 / 146
13. 내 사랑에 작별을 고할 때 / 157
14. 내겐 너무 용감한 그녀, 용자 / 172
15. 아주 오래전에 끝났거나 어쩌면 처음부터 없었는지도 모르는 / 186
16. 내 손으로 내 일을 해결하는 것 / 198
작가의 말 / 215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