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한국티소믈리에연구원
국내 최고의 티(TEA) 전문가 교육 및 연구 기관이다. 지난 10년간 티소믈리에, 티블렌딩 등의 전문 인력을 다수 배출하여 티 산업의 저변 확대에 수많은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최고의 티 전문도서들을 출판해 세계 티 문화를 국내에 소개하는 등 전문 출판사로 확고히 자리를 잡고 있다.
PART 1. 보이차(普茶)의 기초
보이차(普茶)란 무엇인가?
● 보이차의 표준 규정
● 지리적표시보호범위의 산지
● 보이차의 원료차, ‘모차(毛茶)’
● 운남대엽종(云南大葉種)의 생장 환경
● 테루아적 기후 조건
보이차의 생산에 사용되는 차나무와 차엽들
● 보이차 생산을 위한 주요 차나무 품종의 특징
맹해대엽차(海大葉茶) · 이무녹아차(易武綠芽茶) · 원강나차(元江茶) ·
경곡대백차(景谷大白茶) · 운항(雲抗) 10호(號) · 운항(雲抗) 14호(號) ·
운선(雲選) 9호(號) · 쌍강맹고대엽차(雙江庫大葉茶) · 봉경대엽종(鳳慶大葉種)
● 보이차의 생산에 사용되는 다양한 차엽들
· 인공재배차(人工栽培型茶)/· 야생차(野生茶)
· 반야생차(半野生茶)/과도기형차(過渡期型茶)/· 생태차(生態茶)
· 그 밖의 차엽(茶葉)
● 보이차 차엽의 다양한 품질 등급
보이차의 재료차인 ‘모차(毛茶)’
● 모차(毛茶)의 가공 과정
· 모차(毛茶)의 정의
· 선엽(葉) 채집
· 탄량()/위조(萎凋)
· 살청(殺)
· 유념(捻)
· 해괴(解塊)
· 일광건조(日光乾燥)
· 모차(毛茶)의 완성
보이생차(普生茶)의 가공 과정
· 모차의 병배(配) 준비
· 차엽의 사분(篩分)(또는 선별)
· 반제품의 병배
· 긴압(緊壓)
· 건조(乾燥)
· 검사 및 포장
· 창고 저장 및 ‘진화(陳化)’
보이숙차(普熟茶)의 가공 과정
· 모차(毛茶)
· 조수(潮水)
· 후발효(後醱酵)
· 번퇴(堆)
· 건조(乾燥)
· 사분(篩分)/체로 분리
· 간체(揀剔)
· 병배균퇴(配堆)
· 긴압(緊壓)(기계식 기준)
· 풍건조(風乾燥)
· 포장(包裝)
· 창고 저장 및 ‘진화(陳化)’
보이차 포장의 묶음 단위
● 보이병차 1편(片)의 무게에 숨은 과학
보이차 숙성 과정, ‘진화(陳化)’
● 진화(陳化)의 과정
● 진화의 조건
· 진화 장소
· 진화 시간
· 진화의 저장 조건
● 보이차 향미의 유효 기간
보이차의 4대 저장 및 진화 방식
● 교장법(藏法)
● 습창법(濕倉法)
● 건창법(乾倉法)
● 습창·건창의 ‘윤전모식법(輪轉模式法)’
● 자연 진화법
● 지역마다 다른 자연적 저장 조건
진화(陳化)를 통한 차엽의 성분 변화
● 티 폴리페놀류의 자가산화
● ‘테아닌’의 산화 및 분해
● 방향성 물질의 산화
● 차 색소의 산화로 ‘월진월향(越陳越香)’ 발생
● 당류 화합물의 변화
부록 : 알아 두면 좋은 지식!
● 핫 브랜드 보이차! _ 맹고대설산(庫大雪山) ‘야생차(野生茶)’
● ‘복방차(復方茶)’와 ‘단방차(單方茶)’란?
● 병배(配)에 사용되는 세 품질의 차엽
● 보이차의 ‘병배(配)’와 홍차의 ‘블렌딩(blending)’
● 보이차를 구입할 때 유의점
PART 2. 보이차의 다양한 분류
인공 숙성 여부에 따른, ‘보이생차’와 ‘보이숙차’
● 자연 진화 과정의 보이생차
● 인공 악퇴 과정의 보이숙차
형상에 따른 다양한 분류의 보이차들
● 잎차 형상의 ‘산차(散茶)’
· 생차∥보이산차(普散茶)
· 숙차∥보이숙산차(普熟散茶)
● 압축 형상에 따른 다양한 ‘긴압차(緊壓茶)’
· 떡 모양의 ‘보이병차(普餠茶)’/· 벽돌형의 ‘보이전차(普茶)’
· 정사각형의 ‘보이방차(普方茶)’/· 경단형의 ‘보이단차(普團茶)’
· 사발형의 보이타차(普茶)/· ‘하트형’의 ‘보염패긴차(寶焰牌緊茶)’
· 버섯갓형의 ‘반선긴차(班禪緊茶)’/· 말발굽형 ‘이무원보차(易武元寶茶)’
특정 시점(사건)에 따른 보이차의 분류
● ‘역사상의 보이차’와 ‘현대상의 보이차’
생산·유통 시대에 따른 시장에서의 분류
● 국영차창 시대 이전의 ‘호급차(號級茶)’
● 국영차창의 상표가 사용된, ‘인급차(印級茶)’
· 상표의 디자인에서 유래된 호칭, ‘팔중차(八中茶)’
· ‘차(茶)’자의 색상에 따라 분류된 다양한 보이차들
● ‘맥호(號)를 매긴 시대’의 ‘칠자병차류(七子餠茶類)’
· 칠자병차류(七子餠茶類)의 시대별 주요 변화
· 칠자병차류의 주요 상품들
● ‘주문자생산방식(OEM)’ 시대의 보이차들
· ‘민간 주문자생산방식(OEM)’의 대유행
· 새로운 트렌드 _ 야생 고차수의 차엽이 대유행
· ‘주문자생산방식(OEM)’ 시대의 주요 상품
보이차 식별 번호, ‘맥호(號)’에 따른 분류
● 칠자병차류의 ‘맥호(號)’
· 병차의 네 자릿수 맥호
● 현대 시대의 맥호
· 머리글자 ‘T’
· 병차의 부가 번호(-○○○):“네 자릿수 맥호-(★)○○○”
· 차창 번호의 변화
· 보이차의 유명 맥호와 대표적인 상품들
보이차의 ‘창고 입고 유형’에 따른 분류
● 자연창(自然倉) 보이차
● 건창(乾倉) 보이차
● 습창(濕倉) 보이차
부록 : 알아 두면 좋은 지식!
● 핫 브랜드 보이차! _ 궁정보이(宮庭普) 숙병차(熟餠茶), ‘궁정금호(宮庭金豪)’
● 청대(淸代) 중후기에 발전한 ‘보이칠자병차(普七子餠茶)’의 전신, ‘원차(圓茶)’
● 원보차의 독특한 세시풍속
● 핫 브랜드 보이차! _ 운남보이의 황후, ‘빙도차(島茶)’
PART 3. 현대 보이차의 주요 브랜드 업체들
보이차의 ‘20대 주요 브랜드’ 업체들
● 운남곤명차창∥雲南昆明茶
· 차업의 역사/· 중차패(中茶牌) 주요 상품
● 맹해차업유한책임공사∥海茶業有限責任公司
· 차업의 역사/· 대익패(大益牌) 주요 상품
● 운남하관타차집단고분유한공사∥雲南下關茶集團股彬有限公司
· 차업의 역사/· 주요 브랜드 상품
● 운남보이차집단유한공사∥雲南普茶集團有限公司
· 차업의 역사/· 주요 생산 기반, ‘6대 생태 차원’/· 보수패(普秀牌) 주요 상품
● 안녕해만차업유한책임공사∥安寧海灣茶業有限責任公司
· 차업의 역사/· ‘노동지패(老同志牌)’ 주요 상품
● 운남농간집단맹해팔각정차업유한공사∥雲南農墾集團海八角亭茶業有限公司
· 차업의 역사/·‘팔각정패(八角亭牌)’ 주요 상품
● 운남전홍집단고분유한공사∥雲南集團股彬有限公司
· 차업의 역사/· 봉패(鳳牌) 주요 상품
● 보이난창고차고분유한공사∥普滄古茶股彬有限公司
· 차업의 역사/· 난창고차패(滄古茶牌) 주요 상품
● 운남용생녹색산업집단유한공사∥雲南龍生綠色産業集團有限公司
· 차업의 역사/· 용생차업패(龍生茶業牌) 주요 상품
● 운남육대차산차업고분유한공사∥雲南六大茶山茶業股彬有限公司
· 차업의 역사/· 육대차산패(六大茶山牌, Six-Famous-Tea-Mountain) 주요 상품
● 운남토림차업유한공사∥雲南土林茶業有限公司
· 차업의 역사/· 토림봉황패(土林鳳凰牌), 운남명패(雲南名牌) 주요 상품
● 운남쌍강맹고차엽유한책임공사∥雲南雙江庫茶葉有限責任公司
· 차업의 역사/· 맹고패(庫牌), 맹고융씨(庫戎氏), 망파패(忙波牌), 청강패(崗牌) 등 상품
● 맹해현복해차창∥海縣福海茶
· 차업의 역사/· 복해차창패(福海茶牌) 주요 상품
● 맹해진승차업유한공사∥海陳升茶業有限公司
· 차업의 역사/· 진승호(陳升號) : 서브 브랜드_복원창호(復原昌號), 진승정품(陳升精品) 상품
● 운남성서쌍판납주고차산차업유한공사/(용원차업)∥
雲南西雙版納州古茶山茶業有限公司/(龍園茶業)
· 차업의 역사/· 용원호(龍園號), 성세용원(盛世龍園), 기과수(幾樹), 행천호(行天號) 등 상품
● 명정원차업유한공사∥昆明正沅茶業有限公司
· 차업의 역사/· 정원(正沅), 운자사계(云子四季), 일구향(逸口香), 일품순(逸品醇) 등 상품
● 맹해우림고차방차엽유한책임공사∥海雨林古茶坊茶葉有限責任公司
· 차업의 역사/·우림고차방패(雨林古茶坊牌) 주요 상품
● 보이차왕차업집단고분유한공사∥普茶王茶業集團股彬有限公司
· 차업의 역사/· 노고동(老古董), 항서상(恒瑞翔), 운령양광(云嶺陽光) 등 상품
● 운남용윤차업유한공사∥雲南龍潤茶業有限公司
· 차업의 역사/· 용윤차패(龍潤茶牌) 주요 상품
● 운남성맹해윤원창차창∥雲南省海潤元昌茶
· 차업의 역사/·윤원창패(潤元昌牌) 주요 상품
부록 : 알아 두면 좋은 지식!
● ‘보이차제일촌(普茶第一村)’, 노반장촌(老班章村)?
● 핫 브랜드 보이차! _ 포랑산의 뉴 브랜드, ‘포랑단주(布朗單株)’
● 보이차 업계 주요 인물 간략 정리!
PART 4. ‘보이차(普茶)’의 어원을 찾아서
‘보이차(普茶)’ 이름의 유래
● ‘보이(普)’ 지역의 선민, ‘백복(百)’ 사람들
● ‘백복(百)’에서 분화된 운남 소수민족들
● 맹고면어족(孟高緬語族)(몬·크메르어족)의 계통 및 시대별 명칭 변화
● ‘보이(普)’의 기록상 지명(地名)과 차명(茶名)의 시대적 연표
● 당나라 시대의 ‘은생차(銀生茶)’
● ‘보일검(步日瞼)’의 지명 변화
● ‘보이(普)’는 ‘포랑족’의 호칭
● ‘보차(普茶)’의 기원은 ‘복인(人)’들이 먹던 ‘복차(茶)’
● 명나라 시대의 ‘보차(普茶)’, ‘아차(茶)’
● 청나라 말기, ‘복아차(茶)’, ‘보이차(普茶)’
‘보차(普茶)’의 어원이 ‘복차(茶)’였을 실증적 증거들
● 맹해현(海縣) 남나산(南山)의 대차수
● 난창현(滄縣)의 경매고차수(景邁古茶樹)
● 맹랍현(縣)) 이무만살차산(易武慢撒茶山)
● 복자족(子族)이 ‘차나무’와 ‘목화’를 심었다는 기록
● 차나무의 유전학적인 증거 등
● 『화양국지·파지(華陽國志·巴志)』의 기록된 ‘차(茶)’
부록 : 알아 두면 좋은 지식!
● 남조국(南詔國)을 세운 ‘몽사(蒙捨)’
PART 5. 보이차의 산지, ‘육대차산(六大茶山)’
‘육대차산(六大茶山)’의 유래
● 청나라 시대에 ‘육차산(六茶山)’ 명칭이 첫 등장
● ‘고육대차산(古六大茶山)’의 산지 변천
● ‘고육대차산(古六大茶山)’ vs. ‘신육대차산(新六大茶山)’의 차이
● ‘신육대차산(新六大茶山)’의 산지 변천
‘고육대차산(六大茶山)’
● 제갈무후의 전설로 유명한 ‘유락산(攸樂山)’
● 고대 복족의 후예 포랑족이 거주하는 ‘혁등산(革登山)’
● 고육대차산의 행정, 무역의 중심지, ‘의방산(倚邦山)’
● 고육대차산에서 중요 차엽 집산지, 망지산(莽枝山)
● 재주와 기예가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었던 ‘만전산(山)’
● 전장차마고도(藏茶馬古道)의 발원지, 만살산(曼撒山)
● 역병으로 ‘만살산’을 대체한, ‘이무산(易武山)’
‘신육대차산(新六大茶山)’
● 불해실험차창(沸海實驗茶)으로 유명한, ‘맹해차산(孟海茶山)’
● 신육대차산 중 최고의 고차산(古茶山)인 ‘남나산(南山)’
● ‘고산들 사이의 평지’, ‘맹송산(宋山)’
● 명나라 시대부터 고차산으로 유명한, ‘남교산(南嶠山)’
● ‘신선들의 발자취가 있는 산’이라는 ‘파달산(巴達山)’
● 차나무의 재배 역사가 1300년 이상인, ‘경매산(景邁山)’
● 제다(製茶) 전설이 4000년 이상이나 된, ‘포랑산(布朗山)/반장(班章)’
부록 : 알아 두면 좋은 지식!
● 고육대차산(古六大茶山)’의 현지 조사 및 검증 작업
● 번작(樊綽)과 『만서(蠻書)』
● 제갈량이 차나무를 심어 남겼다는 ‘무후유종(武侯遺種)’의 전설은 사실인가?
● ‘고육대차산’ 중 4개의 차산이 있는, ‘상명향(象明茶)’
● 석병현인들의 ‘디아스포라’로 부활한 ‘고육대차산’
● 신육대차산 중 5개 차산이 위치한 ‘보이차제일현’, ‘맹해현(海縣)’
● 차산인 남나산(南山)이 ‘죽순 장(장아찌) 산’?!
● ‘난창강(滄江)’은 ‘큰 코끼리강’?!
● 서쌍판납 외의 강남 유명 차 산지, ‘임창시(臨滄市)’
PART 6. 차마무역(茶馬貿易)의 역사
차마무역(茶馬貿易)의 기원
● 차마무역의 여명기
차마무역의 흥성기, ‘당(唐)’
● 중국 내륙에서 음차(飮茶) 습관의 형성과 확산
● 서장(西藏)에 차의 전파
● 차의 음용법을 몰랐던 서장 토번국의 왕실
● 서장에 음차 문화의 확산
● 서장에서 없어서는 안 될 식품이 된 ‘차(茶)’
● 차마무역을 촉발시킨, ‘안사의 난(安史之)’
● 보이차 산지인 운남성에 ‘남조국’이 등장
‘청장차마무역(藏茶馬貿易)’으로 변방을 다스린, ‘송(宋)’
‘천장차마무역(川藏茶馬貿易)’의 기반을 다진, ‘원(元)’
‘차마정책’의 강화로 변방을 통치한, ‘명(明)’
● ‘차마정책(茶馬政策)’의 강한 부활
● ‘인안제도(引岸制度)’의 강화
● ‘천장차마고도’의 기반인 ‘조문차로(門茶路)’의 형성
● 명대의 ‘조문차로(門茶路)’는 ‘공차도(貢茶道)’
● ‘차(茶)’와 ‘말(馬)’의 환율 정책은 명(明)의 부국강병책!
‘천장차마무역(川藏茶馬貿易)’의 중흥기, ‘청(淸)’
● ‘종합무역’으로 발전되는 천장차마무역(川藏茶馬貿易)
● 열악한 무역 길로 인한 ‘천장남로대도(川藏南路大道)’의 개척
● 운남 ‘보차(普茶)(보이차의 옛 명칭)’ 산지의 차엽 관리 강화
● 보차(普茶)의 ‘국제무역 허브지’로 떠오른 ‘사모보이지구(思茅普地區)’
● 보차(普茶) 무역의 대흥행
● 가혹한 징세 등으로 쇠퇴한 보이차 무역
중화민국의 항일 전쟁 자금, 보이차!
부록 : 알아 두면 좋은 지식!
● 행선지별 주요 차마호시(茶馬互市)
● 다성(茶聖), 육우(陸羽, ?~804)의 등장
● 차의 음용법을 몰랐던 토번국의 왕실
● 명대 극작가 탕현조가 『차마(茶馬)』에서 예찬한
‘차마무역(茶馬貿易)’과 ‘강마(羌馬)’!
● 19세기 서장에서 벌어진, 인도 ‘홍차(紅茶)’와 중국 ‘천차(川茶)’의 대격돌?!
PART 7. 차마고도(茶馬古道)의 역사
차마고도(茶馬古道)란?
역사상 가장 오래된 차마고도,
탕고도(古道) : 섬강장차마고도(陝康藏茶馬古道)
‘3대 차마고도(茶馬古道)’_ ①
당번고도(唐蕃古道)/청장차마고도(藏茶馬古道)
● 당대(唐代)의 무역 경로
● 송대(宋代)의 무역 경로 : ‘서로차(西路茶)’ 무역로
‘3대 차마고도(茶馬古道)’_ ②
전장도(藏道)/전장차마고도(藏茶馬古道)
● 당대(唐代)의 초·중기 전장차마고도의 경로
무역 경로
● 당 후기(後期)의 전장차마고도의 경로
● 전장차마고도의 역사상 주요 3대 지선
● 사모(思茅)-보이(普)의 차마역도, ‘보이차마도(普茶馬道)’
● 사모보이지구에서 뻗어나가는 크고 작은 간선들
● 임창시, 서쌍판납-대리 간 지선상의 문화 유적지들
‘3대 차마고도(茶馬古道)’_ ③
천장도(川藏道)/천장차마고도(川藏茶馬古道)
● 서한(西漢) 시대에 시된 ‘천장차마고도’의 기원
● 천장차마고도의 기틀, ‘조문차로(門茶路)’
● 명대(明代) 초기의 ‘천장차마고도(川藏茶馬古道)’
● 천장차마고도의 ‘남로(南路)’와 ‘서로(西路)’
·‘남로(南路)’
·‘서로(西路)’
● 청대(淸代)에 남로에서 개척된 길, ‘천장관도(川藏官道)’
부록 : 알아 두면 좋은 지식!
· 천장차마고도(川藏茶馬古道)의 유통 상인,
‘마방(馬幇)’과 ‘차배자(茶背子)’들의 힘든 유통 행로!
· 팁(Tip)! : 남로변차 ‘1인(引)’을 운송하려면 몇 필의 말이 필요한가?
부록 : 보이차의 충포(泡), 보이차를 맛있게 우리는 양식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