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철학은 이렇게 문득 던진 소박한 의문에 대한 ‘진실’을 탐구하는 마음에서 출발하였다. 이 책에서는 사람들이 궁금해 할 이런 의문과 마주했던 서양의 ‘철학자’ 32명의 사상을 한데 모았다.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주요 철학자의 사상 중에서도 핵심을 콕콕 짚어 그림과 함께 하나하나 설명하였다.
철학이란 아무런 전조(前兆)도 없이 불쑥 생겨난 것이 아니다. 철학이 지금에 다다르기까지는 ‘흐름’이 존재한다. 데카르트는 어떻게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명제에 이르렀을까? 그 명제에 이르기까지 어떤 흐름이 있었는지를 알고 나면 철학에 대해 조금은 친숙하게 느껴질 것이다. 이 책에서는 철학자들이 서로 어떤 사이였는지, 그리고 역사적 배경이 어떠했는지를 고려하면서 그 ‘흐름’을 차근차근 밟아 간다.
출판사 리뷰
철학이란 지혜와 진실을 파헤치는 학문!
인생에 도움이 되는 세상에서 가장 쉬운 철학 이야기
서양의 철학자 32명의 사상을 한데 모았다
철학이란 지혜와 진실을 파헤치는 학문이다.
‘내가 존재하는 이 세계는 대체 무엇인가?’ ‘나는 왜 사는가?’ ‘애당초 나란 존재는 무엇인가?’ 아마 누구나 한 번쯤은 이런 생각을 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철학은 이렇게 문득 던진 소박한 의문에 대한 ‘진실’을 탐구하는 마음에서 출발하였다. 이 책에서는 사람들이 궁금해 할 이런 의문과 마주했던 서양의 ‘철학자’ 32명의 사상을 한데 모았다.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주요 철학자의 사상 중에서도 핵심을 콕콕 짚어 그림과 함께 하나하나 설명하였다.
철학이란 아무런 전조(前兆)도 없이 불쑥 생겨난 것이 아니다. 철학이 지금에 다다르기까지는 ‘흐름’이 존재한다. 데카르트는 어떻게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명제에 이르렀을까? 그 명제에 이르기까지 어떤 흐름이 있었는지를 알고 나면 철학에 대해 조금은 친숙하게 느껴질 것이다.
이 책에서는 철학자들이 서로 어떤 사이였는지, 그리고 역사적 배경이 어떠했는지를 고려하면서 그 ‘흐름’을 차근차근 밟아 간다.
철학자들의 사상을 살펴보면 고개가 절로 끄덕여지는 부분이 무척 많다.
‘사물을 보는 관점은 사람에 따라 다르다’ ‘이렇게 생각하는 나는 틀림없이 존재한다’ ‘이 사과는 타인도 있다고 말하므로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철학에는 최소한 ‘진실’이라 생각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 ‘진실’이 보이면 나의 사고 의식이 바뀌고 나아가 세상을 보는 관점도 달라질 것이다.
제1장을 읽기 전에
고대 그리스에서는 이 세계를 전부 신화에 의존하여 설명했다. 이에 반발하여 ‘신화에 의존하지 않고 우리가 직접 이 세계를 풀어내 보자’라는 관점이 등장하게 되었고, 이것이 철학의 시발점이 되었다. 따라서 최초의 철학은 ‘이 세계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라는 질문에서 비롯되었다. 탈레스, 헤라클레이토스, 데모크리토스, 피타고라스 등이 이 물음에 답했다.
이윽고 철학은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인 아테네에서 점점 발전했다. 아테네의 광장(아고라)에서는 소피스트라 불리는 지식인들이 모여 열띤 토론을 벌이며 이 세계의 진리를 탐구했다. 그러던 중, 프로타고라스는 ‘사물을 보는 사고나 견해는 사람에 따라 다르다’라는 결론을 내렸다. 다시 말하자면 상대주의다. 진리를 탐구하려는 노력 자체가 물거품이 될지도 모르는 상황이었다.
그때 등장한 사람이 소크라테스다. 그는 ‘무지의 지’라는 사고법으로 진리를 탐구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호소했고, 다시금 철학을 뒤흔들었다. 소크라테스의 진리를 추구하는 탐구심은 그대로 제자들이 계승하여 플라톤은 이상을 그렸으며, 아리스토텔레스는 현실을 구석구석 살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때까지 존재하던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한다는 위대한 업적을 남겼는데, 이것이 오히려 지식의 발전에 해를 끼치는 작용을 하기도 했다. 그 때문에 그 이후에는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를 뛰어넘는 철학자가 나오지 못했다.
그 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원정으로 완전히 쇠퇴한 아테네에서는 제논의 금욕주의나 에피쿠로스의 쾌락주의라는, 그 전과는 달리 일반 사람들의 삶을 주시한 사상이 생겨났다.
제2장을 읽기 전에
‘아는 것(지, 知)’에 대해 충분히 결실을 맺은 고대 그리스의 아테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마케도니아 왕국에 이어서 로마 제국에도 지배를 받고 예전의 빛을 잃었다. 로마 제국이 붕괴된 후에는 중세 시대가 찾아왔다.
유럽의 중세 시대 사회는 기독교(로마 가톨릭 교회)가 중심이었다. 철학을 포함한 모든 학문은 기독교 신학에 흡수되었다. 기독교 신학은 13세기에 토마스 아퀴나스가 완성했으며, 그 신학 체계는 스콜라 철학이라 불린다. 16세기 정도가 되면서 학문과 신학을 따로 분리하기 시작했다. 그때까지 힘이 있던 로마 가톨릭 교회의 권위가 쇠퇴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 후 고대 그리스 로마의 문화를 재조명하고 인간을 중심으로 한 예술이나 문학이 생겨난 시대가 르네상스다. 자연 과학 분야에서는 실험이나 관찰을 바탕으로 확실한 세계상을 제시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철학에서는 신학에서 벗어나 이 세계의 진리를 탐구하는 사람들이 나타났고, 이른바 근대 철학이 부흥했다. 근대 철학에는 크게 두 가지 흐름이 있다.
베이컨에서 시작하여 로크, 버클리, 흄 등으로 이어지는 영국 경험론과 데카르트에서 시작하여 스피노자, 라이프니츠로 이어지는 대륙 합리론이다. 전자는 몇 가지 샘플에서 일반 법칙을 찾아내는 스타일이고, 후자는 확실한 사실을 차곡차곡 쌓아서 합리적으로 진리를 이끌어내는 스타일이다.
그들은 진리를 추구하면서 큰 과제에 직면했는데, 그것은 주관과 객관이 일치하는가에 대한 문제였다. 알기 쉽게 말하자면 우리는 세계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한 인식 문제였다. 이 문제는 독일의 칸트나 헤겔이 일단 결론을 지었다.
한편, 근대 철학은 굳이 따지자면 현실 사회와 관계가 없었는데, 헤겔은 나(주관)와 사회(객관)의 관계를 설명하여 사회사상(역사 사상)을 만들어 냈다는 점에서 획기적이었다. 헤겔의 사상을 바탕으로 생겨난 마르크스주의는 19세기 이후의 시대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제3장을 읽기 전에
지금까지 해 왔던 이야기를 한 번 더 복습해 보자. 고대 그리스 철학은 ‘이 세계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를 문제로 거론했다. 근대에 들어서면서 이 문제는 급속히 발전하는 자연과학에 맡겨지게 되었다. 그 대신 근대 철학이 다룬 문제의 중심은 ‘우리는 세계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는가’라는 인식 문제였다.
간단히 말하자면, 철학에서 다루는 문제가 객관(세계)에서 주관(나)으로 전환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근대 철학에서 먼저 결론을 낸 사람은 헤겔이었다. 그는 ‘객관이라는 것은 생각할 필요가 없다. 모든 것은 주관이라는 의식으로 나타난 세계일뿐이다.’라고 주장했다. 그런 다음에 주관의 인식 문제를 사회나 역사와 연결 지어 인식의 과정을 겪으면서 인간도 사회도 역사도 이상적인 모습에 다가간다는 생각을 나타냈다.
이 생각은 마르크스의 손으로 발전되었고, 19~20세기 사상의 메인 스트림이 되었다. 그 흐름 위에 있는 사상을 헤겔주의라고 한다면, 거기에 속하지 않는 반 헤겔주의라 부름 직한 사상이 다양한 형태로 생겨났다.
이 장에서는 키르케고르, 하이데거, 사르트르로 이어지는 실존주의, 니체의 힘의 철학, 후설의 현상학, 프로이트의 무의식, 메를로 퐁티의 신체론, 바타유의 에로티시즘, 미국에서 전개된 프래그머티즘,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게임론을 다루려고 한다.
각 이론들은 철학에 다양하게 접근하여 따로따로 전개된 것처럼 보이지만, 의식과 무의식, 의식과 몸, 생(生과) 사(死라)는 대립축으로 볼 수 있어서 비슷비슷한 문제의식도 엿보인다. 또한 헤겔주의가 이상(진리)을 둔 것과는 달리 이들 대부분의 사상은 이상(진리)을 예측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거의 공통된다고 말할 수 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사와베 유지
프리 라이터. 요코하마국립대학 교육학부 종합 예술학과 졸업.재학 중에 예술과 영화에 대한 철학·사상적인 접근을 배웠다. 편집 프로덕션 근무를 거쳐 프랑스로 건너갔다. 파리에서 사색에 잠기는 한편, 예술, 여행, 역사, 어학을 중심으로 서적, 잡지 집필·편집에 몸을 담았다. 현재는 도쿄에서 살고 있다. 파리의 까르띠에 산책 매거진 을 주재했다.일본에서 출간된 저서로는 《사이고 다카모리에게 배우는 최강의 조직을 만드는 100가지 법칙》, 《도해 가장 쉬운 3대 종교책》, 《도해 가장 쉬운 고사기(古事記) 책》, 《도해 가장 쉬운 지정학 책》, 《사연 있는 명화》, 《사연 있는 책》, 《음악가 100의 말》, 《처음 시작하는 프랑스어》 등이 있다.
목차
제1장 철학을 만든 철학자
이 장을 읽기 전에 12
탈레스 세계의 근원을 생각한 최초의 철학자 14
소크라테스 ‘무지의 지’로 진리를 추구하라! 23
플라톤 사물의 본질(=이데아)은 어디에 있는가? 33
아리스토텔레스 오로지 혼자서 세계를 설명하다 43
에피쿠로스 인간에게 최고의 쾌락은 지혜다 53
제2장 근대 사상을 만든 철학자
이 장을 읽기 전에 64
베이컨 편견을 버리고 지(知)를 얻어라! 66
데카르트 나는 존재하지만 세상은 존재하는가? 76
스피노자 이 세상 모든 것은 신의 출현이다 86
로크 인간은 태어날 때 백지 상태다 96
파스칼 인간은 약하지만 생각하기 때문에 위대하다 106
루소 ‘이성보다 감정’이라 말한 계몽주의자 116
칸트 객관은 주관 안에 만들어진다 125
헤겔 인간도 사회도 변증법적으로 이상을 향한다 135
마르크스 사회의 모순은 노동자의 혁명으로 해소된다 144
제3장 근대 사상을 뒤흔든 철학자
이 장을 읽기 전에 156
키르케고르 인간은 가능성으로 살 수 있다 158
니체 약자가 되지 말라! 사는 것을 긍정하라! 168
후설 진리도 객관도 없다고 한 현상론 177
프로이트 인간의 마음은 무의식에 제어되고 있다 186
하이데거 배려로 실존이 드러나다 196
사르트르 무의미한 자신은 의미 있는 자신으로 바꿀 수 있다 205
메를로 퐁티 인간은 몸으로 인해 세상과 한 몸이 된다 215
바타유 인간은 과잉을 소비하여 쾌락을 얻는다 224
퍼스 지식은 실제로 썼을 때 명확해진다 233
비트겐슈타인 사상 이론과 언어 게임론 242
제4장 현대 사상을 이끈 철학자
이 장을 읽기 전에 254
소쉬르 언어가 세상에 질서를 준다 256
레비스트로스 사회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보편 구조가 있다 265
롤랑 바르트 현대라는 신화 세계에 던져져 있다 275
라캉 인간의 무의식은 언어로 이루어져 있다 285
알튀세르 인간적인 마르크스와 과학적인 마르크스가 있다 294
푸코 자신이 자신을 감시하다 304
데리다 생각한 것과 말한 것은 어긋나 있다 313
들뢰즈 노마드 사고로 욕망의 가능성을 풀어라! 322
맺음말 332
주요 참고문헌 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