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금강경  이미지

금강경
고전과 윤리 : 지혜가 있는 삶
책과나무 | 부모님 | 2021.06.30
  • 정가
  • 17,000원
  • 판매가
  • 15,300원 (10% 할인)
  • S포인트
  • 850P (5% 적립)
  • 상세정보
  • 22.5x15.2 | 0.291Kg | 224p
  • ISBN
  • 9791167520074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도덕 교사와 동양사상 전공 교수가 들려주는 쉽고 재미있는 『금강경』과 불교 이야기. 『금강경』은 ‘고전과 윤리’ 과목에서 직접적으로 다루어질 뿐 아니라 여러 주제와도 관련성을 갖는다. 또 ‘생활과 윤리’나 ‘윤리와 사상’ 과목에서 다루어지는 불교 사상 관련 주제들도 『금강경』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전제한다. 그런데 고등학교 ‘고전과 윤리’ 교과서에는 실린 고전 중에 『금강경』은 교과서의 내용만으로는 저서의 근본 사상을 이해하기 어려움이 있다.

『금강경』은 깨달음에 대한 방편을 제시하는 경전으로, 불교가 강조하는 진리에 근거해서 ‘어떻게 판단하고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하는 방향 및 방법 등을 알고 접근해 간다면, 금강경의 핵심 사상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에서는 도덕 교사와 동양사상 전공 교수가 『금강경』과 불교 이야기를 쉽고 재미있게 들려준다. 현장에 있는 모든 교사들과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출판사 리뷰

“생각을 열고 지혜를 키우자! 교사와 학생을 위한 『금강경』 해설집
‘고전과 윤리’ 교과 활동을 위한 용어 정리 및 활용 문제 수록”

고등학교 ‘고전과 윤리’ 교과서 속 고전을 찾아가는 첫 번째 책은 바로 『금강경』이다. 금강경은 석가모니 붓다 입멸 이후, 대승불교 시기에 이루어진 대표적인 경전이다. 반야바라밀다(般若波羅蜜多)란 지혜로써 피안의 열반에 이르는 것, 즉 지혜의 완성을 뜻한다. 『금강경』은 이러한 지혜를 금강석으로 비유하는데, 깨달음을 얻기 위해 집착이 없는 지혜로써 보살행을 수행해야 한다는 석가모니 붓다의 설법을 담고 있는 경전이다.
『금강경』은 ‘고전과 윤리’ 교과의 ‘관계 속에 존재하는 나와 베푸는 삶’과 ‘진정한 나 찾기와 마음공부’라는 주제와도 연계된다. 또한 『격몽요결』이나 『노자』, 『장자』 등의 고전을 중심으로 다루어지는 여러 주제와도 상보적 관련성을 갖는다. 그런가 하면 고등학교 교과서 ‘생활과 윤리’나 ‘윤리와 사상’ 과목에서 다루어지는 불교 사상 관련 주제들도 내용상 『금강경』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전제한다.
이 책은 불교 사상의 흐름과 내용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불교 윤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금강경의 본문을 토대로 제목과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생각 열기’와 ‘생각 더하기’를 통해 탐구할 질문을 제시하고, ‘용어 알아보기’를 통해 본문 내용의 이해를 돕는다. 금강경의 본문을 읽고 난 후에 서예가가 직접 쓴 서체와 수능을 끝낸 고등학생의 시각으로 표현된 그림이 책의 내용에 빛을 더한다.
현장 교사와 동양사상을 전공한 교수가 고전을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쓴 책으로, 불교 고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으로 여겨진다. 교사와 학생이 좀 더 쉽고 재미있게 금강경을 이해하고 윤리 교과서를 공부할 수 있도록 지침서가 되어 줄 것이다.

달을 보아야지 달을 가리키는 손을 보아서는 안 된다. 그러함에도 사람들은 달은 보려 하지 않고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을 보고 전부라고 생각한다. 손가락과 달의 관계를 보라. 우리가 공부하는 현실적인 이유나 목적은 성적, 취업, 부귀, 명예 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공부하여 얻고자 하는 최고의 경지나 이상은 무엇일까?

제3품 大乘正宗(대승정종) ‘가장 큰 수레와 가장 올바른 가르침’

부처가 주라고 한 최고의 경전이 백지 경전이라는 것은 어떤 의미를 담고 있을까?

  작가 소개

지은이 : 김미덕
2001년 이래 여러 해 동안 동·서양 명화를 활용한 수업을 통하여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상상력을 길러 주는 일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다. 교육과정 개정에 맞춰 생명존중교육, 민주시민교육, 배움중심수업, 자유학년제의 주제활동수업, 인성교육 등 도덕적 탐구와 도덕적 성찰을 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을 탐색하고 있다. 또한 진로 선택을 위한 교과서 재구성 작업과 다른 교과와 융합 수업을 하는 등 다양한 수업 방법에 대해 연구를 해 오고 있다.[저서] ·명화를 활용한 도덕수업: 서양화를 중심으로, 책과나무, 2016·명화를 활용한 도덕수업: 한국화·동양화를 중심 으로, 책과나무, 2015·윤리와사상: 주제와 문제들(공저), 인간사랑, 2013[논문] ·노자와 스피노자의 자연관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 윤리교육연구, 2009 ·엘진의 절차적 인식론과 도덕과 교육, 윤리교육연구(공저), 2009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적 상상력을 기르기 위한 명화의 활용”, 윤리교육연구, 2010 ·명화를 활용한 도덕과 교육: 도덕적 상상력 함양을 중심으로, 박사학위 논문, 2011 ·도덕 교과서 속 명화에 담긴 도덕적 딜레마 분석(공저), 교육발전, 2012 ·도덕과 교육에서 피셔(Robert Fisher)의 10단계 수업 전략의 적용 가능성과 한계(공저), 교육논총, 2012

지은이 : 이경무
춘천교육대학교 교수, 철학 박사저자는 동양사상 및 한국 철학자로서 고전을 통해 예비 교사를 위한 인성교육과 도덕 교육에 관련된 연구를 해 오고 있다. 저서로는 『철학이란(공저)』, 『철학을 하는 길』(공저), 『예비 교사를 위한 인성 교육』(공저), 『청소년용 시민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공저) 등 다수가 있으며, 동양철학 및 한국철학과 관련된 논문, 도덕교육 및 도덕심리학에 관련된 논문과 청소년용 생태시민성 관련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목차

들어가며

CHAPTER 01_ 도덕과의 불교 윤리와 금강경

CHAPTER 02_ 불교 사상의 흐름과 내용
1 불교의 의미와 성격
2 윤회와 업과 해탈에 관한 브라만교와 불교의 차이
3 육사외도 및 브라만교와 불교의 수행
4 불교의 중도와 무상과 무아 그리고 공
5 부처의 이름과 10대 제자
6 불교 정전
7 불교의 ‘연기’ 사상, 사성제와 팔정도
8 인간의 마음 작용과 구성 요소
9 부파불교(소승불교)와 대승불교, 중관 사상, 유식 사상
10 중국불교
11 한국불교
12 승려의 의미와 위계

CHAPTER 03_ 금강경 본문
1 홍복과 청복[법회인유, 法會因由]
2 보살과 여래[선현기청, 善現起請]
3 집착 없는 마음[대승정종, 大乘正宗]
4 집착 없는 보시[묘행무주, 妙行無住]
5 법신·화신·보신[여리실견, 如理實見]
6 올바른 믿음과 참된 마음[정신희유, 正信希有]
7 간화·공안·화두[무득무설, 無得無說]
8 법보시와 금강경[의법출생, 依法出生]
9 깨달음의 증득[일상무상, 一相無相]
10 장엄한 정토와 청정한 마음[장엄정토, 莊嚴淨土]
11 집착 없는 행위[무위복승, 無福勝]
12 올바른 가르침[존중정교, 尊重正]
13 지혜 아닌 지혜[여법수지, 如法受持]
14 깨달음의 기쁨[이상적멸, 離相寂滅]
15 금강경 수지와 법보시[지경공덕, 持經功德]
16 인과응보와 책임 윤리[능정업장, 能淨業障]
17 나 아닌 나[구경무아, 究竟無我]
18 다섯 가지 눈과 마음[일체동관, 一體同觀]
19 법신과 법계[법계통화, 法界通化]
20 부처의 형상과 이름[이색이상, 離色離相]
21 말로 할 수 없는 것[비설소설, 非說所說]
22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무법가득, 無法可得]
23 누구에게나 있는 착한 마음[정심행선, 淨心行善]
24 법보시의 복덕[복지무비, 福智無比]
25 교화 없는 교화[화무소화, 化無所化]
26 겉모습과 본모습[법신비상, 法身非相]
27 잘못된 깨달음과 참된 깨달음[무단무멸, 無斷無滅]
28 텍스트 논리와 콘텍스트 맥락[불수불탐, 不受不貪]
29 여래의 의미[위의적정, 威儀寂靜]
30 티끌과 우주의 존재[일합이상, 一合理相]
31 존재의 본모습과 관념[지견불생, 知見不生]
32 존재의 본모습과 현상[응화비진, 應化非眞]

참고문헌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