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저자는 1950년대 이후 아시아의 여러 나라를 방문하게 된다. 인도, 중국, 일본, 몽골, 러시아 등을 방문해 그곳에서 일정 기간 체류하면서 그곳 사람들의 삶을 기록으로 또는 문학작품으로 남겼는데, 인도를 방문해서는 『파드마, 갠지스강가의 어린 무용수』라는 청소년 소설을 썼고, 몽골을 방문해 이 작품 『테무친 대초원의 아들』을 써서, 청소년 여러분에게 영웅적인 삶을 살다간 칭기즈칸의 청소년 시절의 테무친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이 작품은 우리 청소년에게 12세기 몽골에서 태어나, 세상의 영웅이 된 한 사람을 통해, 자신의 꿈과 희망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이를 극복하면, 결국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출판사 리뷰
출간의도
저자는 1950년대 이후 아시아의 여러 나라를 방문하게 됩니다.
인도, 중국, 일본, 몽골, 러시아 등을 방문해 그곳에서 일정 기간 체류하면서 그곳 사람들의 삶을 기록으로 또는 문학작품으로 남겼는데, 인도를 방문해서는 『파드마, 갠지스강가의 어린 무용수』라는 청소년 소설을 썼고, 몽골을 방문해 이 작품 『테무친 대초원의 아들』을 써서, 청소년 여러분에게 영웅적인 삶을 살다간 칭기즈칸의 청소년 시절의 테무친을 통해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우리 청소년에게 12세기 몽골에서 태어나, 세상의 영웅이 된 한 사람을 통해, 자신의 꿈과 희망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이를 극복하면, 결국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저자 티보르 세켈리가 자신이 살던 저 먼 유럽에서 지구의 반대편에 있는 몽골을 방문하면서, 13세기 초의 영웅 칭기즈칸 이야기를 청소년에게 하는 이유는 뭘까요?
독자 여러분이 이 청소년 소설을 읽고, 저자가 몽골 방문에서 느낀 바를 보면서, 내 삶에도 한 번 거울처럼 비추어 보면 어떨까요?
서평
*우리는 지난 세기에 풀지 못한 한반도 통일을 자신의 소명처럼 21세기에는 풀어낼 수 있는 용사가 나오기를 고대해 봅니다.
대한민국과 북한이 정치, 경제나 문화 각 분야에서 그에 속한 국민의 복된 삶을 드높이기 위해, 싸움 대신에 평화 속에, 먼저, 이산가족의 그리움을 풀고 일반인도 자유로이 왕래하고 통신하고 통상하는 시대를 만들어 내고, 궁극으로 자유롭고 민주적 통일 기반을 만들어 놓는 일을 우리 청소년 세대의 소명으로 인식하고 살아가는, <테무친>과 같은 영웅이 21세기에는 꼭 나오길 고대해 봅니다. -역자 장정렬(한국)
이 책의 저작권은 Erzsbet Szkely에게 있으며, 본 한국어판권은 저작권자와의 저작권 계약에 의해 진달래 출판사에게 있음을 알립니다. 이 작품의 무단 복제는 허용하지 않습니다. 내용의 인용은 본 출판사의 허락을 받아야만 합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티보르 세켈리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나라의 스피쉬스카 소보타(Spišská Sobota)에서 출생해 유고슬라비아 수보티카(Subotica, Vojvodino)에서 별세했습니다. 1930년 에스페란토에 입문했습니다. 헝가리 출신의 유고슬라비아인으로 세계시민이자 언론인, 연구가, 작가, 법학자, 에스페란티스토로 다양한 분야에서 괄목할 성과를 냈습니다. 그는 남미, 아시아, 아프리카를 탐험하였습니다. 그의 탐사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인간 심리의 근원을 밝히고 이해함에 있었습니다. 이 선구자가 걸어온 길은 실로 다양하고, 실천적이었습니다. 자신이 태어난 나라와 주변의 언어를 이해함은 물론이고, 25개의 언어를 배워 그 중 영어, 프랑스어, 에스페란토 등 9개 언어에 능통한 인물이었습니다. 1986년 에스페란토 아카데미 회원이 되고, 세계에스페란토협회 명예 회원이기도 하였다.
목차
/한국어판 출간 인사/ 6
/추천의 글/ 8
1. 몽골의 비밀 역사 14
2. 말 탄 두 사람과 또 한 사람 27
3. 대초원 방식으로 하는 약혼식 36
4. 타타르 부족의 복수심 47
5. ‘목칼 형틀’을 차고서도 56
6. 얕은 수풀에서의 참새 68
7. 말 훔친 자들을 뒤쫓다 76
8. 역사를 바꾼 담비 가죽 86
9. 최강의 세 부족 동맹체 97
10. 강력한 전쟁 군주의 탄생 107
저자의 글 114
번역자의 말 128
한국어판 출간인사(에스페란토) 138
에스페란토판 사본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