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우리 예배의 현실을 잘 들여다보고 우리가 마땅히 드려야 할 예배의 모습과 의미를 분명하게 하는 일이 중요하다. 이 책은 저자가 시드니신학대학에서 전통적이고 현대적인 예배에 관한 열세 가지 주제로 강의한 내용을 묶어서 만들어졌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저자의 사유를 따라 아주 쉽고도 자연스럽게 예배의 본질과 현실, 전망에 대해서 사유하고 길을 찾아 가게 될 것이다.
출판사 리뷰
어떤 예배를 드리고 있는가? 어떻게 예배를 드려야 하는가?
현대사회는 탈종교사회라고들 하지만 여전히 다양한 종교들이 다원적으로 존재하며 그 종교들마다 나름의 예배가 계속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기독교 예배의 의미는 쉽게 다른 종교와 사상들의 영향을 받아 모호해지기 일쑤다. 그러므로 우리 예배의 현실을 잘 들여다보고 우리가 마땅히 드려야 할 예배의 모습과 의미를 분명하게 하는 일이 중요하다. 이 책은 저자가 시드니신학대학에서 전통적이고 현대적인 예배에 관한 열세 가지 주제로 강의한 내용을 묶어서 만들어졌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저자의 사유를 따라 아주 쉽고도 자연스럽게 예배의 본질과 현실, 전망에 대해서 사유하고 길을 찾아 가게 될 것이다.
이 작은 책을 통해 예배가 언약적일 뿐만 아니라 우주적이고 너무나 아름답다는 것을 알면 좋겠습니다. 우리는 평생 예배해야 하고, 영원히 예배해야 합니다. 우리가 모르면서 예배할 수는 없지 않겠습니까? 우리가 영원토록 해야 할 예배입니다. 우리 모두 예배 잘하고, 예배를 잘 누리기를 바랍니다. (머리말 중)
현대인들은 자신이 종교 시대를 지나 과학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고 자부한다. 자신들은 예배하지 않으면서 이 과학 기술이 지배하는 시대에 어떻게 지금까지 예배가 살아남았는지 신기해 한다. 대부분 예배가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예배해야 한다고 말하면 전근대적인 습성에 젖어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여전히 예배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다. 종교인들이 늘상 하는 것이 예배이기 때문이다. 예배 없는 종교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장 ‘예배의 현실’ 중)
예배하면서 교회가 탄생했다. 예배가 곧 교회라는 말이다. 교회는 건물이 아니라 하나님 백성이 하나님 앞에 모이는 것인데, 이 모임이 곧 예배요 교회이다. 교회가 예배를 기획하고 만든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예배하면서 교회가 생겨났다. 교회가 세워지고 난 다음에 교인들이 모여서 우리가 하나님을 이래저래 예배하자고 의논해서 예배가 시작된 것이 아니다. 하나님께서 택하신 그분 백성을 부르셔서 하나님 앞에 세우신 것이 예배였고, 이렇게 예배하면서 교회가 생겨났다. 이렇게 예배와 교회는 떼려야 뗄 수 없이 연결되어 있다. 교회보다 예배를 먼저 앞세워도 된다. 예배가 교회를 불러낸다. (2장 ‘예배와 교회’ 중)
작가 소개
지은이 : 안재경
고려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군종목사(3, 8, 17사단), 한국해비타트 총무를 거쳐, 화란한인교회를 만 7년간 담임했다. 지금은 온생명교회(경기도 남양주)를 담임하고 있다. 〈개혁교회건설연구소〉, 〈개혁정론〉, 〈서울포럼〉, 〈S.E.T.〉, 〈국제사회복지민간협력기구〉 사역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저서로는 『사사기 룻기 성경공부』(CLC), 『고흐의 하나님』(홍성사), 『렘브란트의 하나님』(홍성사), 『예배, 교회의 얼굴』(그라티아), 『종교개혁과 예배』, 『십계명 문화를 입다』(SFC), 『예배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직분자반』, 『코로나 예배전쟁』(세움북스) 등이 있다. 한국교회의 공교회성 및 예배 회복을 위해 가르치고 글을 쓰고 있으며, 개혁신학과 교회의 토착화, 기독교 문화와 다음 세대를 세우기 위해 고민하고 대화하고 작당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1장 예배의 현실
2장 예배와 교회
3장 예배와 언약
4장 예배와 세상
5장 예배와 회중
6장 예배와 그리스도
7장 예배와 직분
8장 예배와 성령
9장 예배와 시간
10장 예배와 공간
11장 예배와 형식
12장 예배와 체험
13장 예배의 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