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44호는 ‘협동조합의 정체성’을 특집 주제로 하고 있다. 코로나19 위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전세계 협동조합들은 각자 다양한 협동의 방법으로 이 어려움을 극복해나가고 있다. 이번 ICA 세계협동조합대회에서는 협동조합 운동이 연대와 회복력으로 지금의 위기를 어떻게 다뤄왔는지 돌아보고자‘협동조합 정체성에 깊이를 더하다(Deepening Cooperative Identity)’라는 주제를 선정하였다.
출판사 리뷰
『생협평론』 44호는 ‘협동조합의 정체성’을 특집 주제로 하고 있다.
코로나19 위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전세계 협동조합들은 각자 다양한 협동의 방법으로 이 어려움을 극복해나가고 있다. 이번 ICA 세계협동조합대회에서는 협동조합 운동이 연대와 회복력으로 지금의 위기를 어떻게 다뤄왔는지 돌아보고자‘협동조합 정체성에 깊이를 더하다(Deepening Cooperative Identity)’라는 주제를 선정하였다.
『생협평론』에서는 ‘협동조합 정체성’을 주제로,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연관지어 내용을 구성했다. 이번 ICA 대회에서 협동조합의 정체성을 다루려 하는 배경과 상황을 담고, 변화의 요구를 반영하며, ‘ICA 세계협동조합대회 미리보기’의 개념으로 흐름을 짚어보고자 한다.
『생협평론』 소개
2010년 창간한 『생협평론』은 협동조합을 둘러싼 다양한 사회, 경제, 문화적 이슈를 담아 전달하는 계간지로 협동조합에 대한 담론을 사회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생협평론』은 협동과 나눔 그리고 평화에 대해 iCOOP생협이 가지고 있는 생각을 세상과 나누고 말 거는 통로입니다. 또한 협동조합에 대한 담론을 사회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떠맡겠다는 자청이기도 합니다. 그 세상은 조합원인 나와 나의 이웃이 함께 사는 세상입니다. 때로는 도발적으로, 때로는 잔잔하게 iCOOP생협이 가지고 있는 생각들을 세상에 던질 것입니다. 이러한 생각에 무성한 응답들이 있기를 기대합니다.
_『생협평론』 창간호 길잡이에서
세계협동조합대회로 ICA의 역사를 살펴보면 크게 협동조합의 두 가지 성격, 즉 운동의 결사체적 성격과 사업체적 성격 사이 균형을 잡으려는 노력으로 점철되어 있다. 지금의 협동조합 정체성은 로치데일공정선구자조합으로 대표되는 영국 소비자협동조합의 사업체적 성격, 그리고 결사체적 성격을 중시했던 프랑스 농업협동조합 전통 사이의 균형을 찾으려는 고민의 역사이다.
커뮤니티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협동조합의 활동은 일률적이지 않고 조합원의 의지와 사업 분야에 따라 다양하다. 그럼에도 전세계가 직면한 빈곤, 기후위기, 재난, 불평등, 분쟁과 난민 문제, 생태계 보호에 함께 대응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공동 목표가 SDGs로 구체화된 지금 협동조합 기업은, 본연의 사업 활동에서 어떤 목표를 중점적으로, 어떻게 이행할 것인지 매년 총회에서 조합원과 논의하고 결정해야 할 책임을 지게 되었다.
우리는 다양하고 시급한 사회문제와 직면해 있다. 그런데 세상은 복잡해지고 이해관계도 천차만별이라 정부가 신속하게 문제 해결에 나서는 것이 쉽지 않다. 민간의 협력적 파트너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사회적경제와 정부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사회적 가치 창출이라는 목표를 공유하고 있다.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협력적파트너십의 핵심 요건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재)아이쿱협동조합연구소
(재)아이쿱협동조합연구소는 활동가와 실무자, 연구자가 실천적으로 협동하여 한국 생협 운동의 혁신적인 실천을 이론화함으로써 한국 생협 운동의 양적, 질적 발전에 기여할 것을 목적으로 하며, 미션으로 아이쿱생협의 발전을 촉진하는 ‘협동조합 생태계’ 조성은 물론 ‘지역사회를 바꾸어 가는 조합원 운동’, ‘협동조합인들의 삶의 문화 창조’의 연구의 거점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목차
길잡이 ‘호모 코오퍼런스(Homo Cooperans)를 위하여’_ 김찬호(편집위원장)
특집 협동조합의 정체성
- [좌담] 협동조합의 정체성을 말하다
- ICA 세계협동조합대회와 협동조합의 정체성_ 최찬호(한국협동조합발전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전 ICA-AP 사무총장)
- 협동조합 정체성과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이행_ 김형미(상지대 평생교육융합대학 사회적경제학과 교수)
- 사회적경제와 정부_최혁진(전 청와대 사회적경제비서관)
- 협동조합 정체성에 깊이를 더하는 한국 생협의 실천 : SDGs를 중심으로_ 김아영(성공회대 일반대학원 협동조합경영학과 아이쿱펠로우 연구교수)
- 이행 전략과 협동조합 연대 전략의 연계 _박강태(전국협동조합협의회 상임대표, 일하는사람들의협동조합연합회 회장, 해피브릿지협동조합 고문)
이슈
-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지역사회를 향해 - 생활클럽 바람의 마을의 지치지 않는 도전 _조유성(생활클럽 바람의 마을 사업본부, 치바사회적연대경제연구소 연구원)
- Non-GMO 표시제도의 신기원을 열다 - (주)밀크쿱 Non-GMO 표시 시정명령 취소 판결의 의의 _조제희(조제희법률사무소 변호사, 아이쿱생협연합회 고문변호사)
생협 줌 인
- 달팽이 집 _김성광(작가)
기획 연재
- 주요 개념 길라잡이
사회적 가치_이재열(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서평
- 사회와 연대하며 공동체의 변화를 이끌어가는 아이쿱생협 - 김선화, 신효진, 《윤리적 소비에서 공정무역마을운동으로 - 아이쿱 이야기》 _천경희(가톨릭대 사회혁신융복합전공 교수)
- 제3섹터를 헤매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 자끄 드푸르니·마르뜨 니센 외, 《사회연대경제 1 : 토대》 _주세운(《생협평론》 편집위원)
협동조합 소식
- ‘유럽협동조합 혁신상’으로 협동조합의 공헌을 알리다 _이주희(세이프넷지원센터 국제팀)
청년의 소리
- 협동조합의 더 깊은 정체성과 협동조합 생태계 구상 _김윤권(서울지역협동조합협의회 사무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