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김윤태
■ 학력 및 경력한국외대 중국어과 학사, 국립 대만대학 사회학석사/박사(현) 동덕여자대학교 중어중국학과 교수(현) 동덕여대 부설 한중미래연구소 소장(전) 중국학 연구회 회장(2019년)(전) 외교부 재외동포정책 실무위원■ 주요 논문 및 저서재중 대만인의 중국사회 적응과 발전:초국가적 사회영역을 중심으로(2016)‘초국가주의 역동성’으로 살펴 본 조선족 기업가 유형분석과 그 의미(2017)‘재미 중국동포’의 이주와 정착, 경제사회적 특징: 캘리포니아 거주 중국동포를 중심으로(2018)Mining Semantic Tags in a Content Analysis System for a Letter Databas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2019)중국동포 다중정체성의 형성: 문화대혁명 시기 한민족 정체성의 소실과 복원(2020)チャイナ・リスクといかに向きあうか: 日韓台の企業の挑戦(동경대학 출판회, 공저, 2016)한상의 모국진출 현황: 중국 조선족 기업의 네트워크 및 한국경제에 대한 기여(재외동포재단, 공저, 2016)재중 한국인 사회의 형성과 초국가주의적 생활 경험(한국학술정보, 공저, 2019)進步與正義的時代(巨流圖書公司, 공저, 2020)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표
제2절 선행연구의 검토
제3절 연구 방법
제2장 중국의 한국학 거시 지형도
제1절 중국 내 한국(조선) 관련 학과 및 연구소 지형도
제2절 사회 분야의 거시 지형도
제3절 문화 분야의 거시 지형도
제4절 교육 분야의 거시 지형도
제3장 중국의 한국학 미시 지형도-지식 구조 분석
제1절 사회 분야 지식 구조
제2절 문화 분야 지식 구조
제3절 교육 분야 지식 구조
제4절 중국의 한국학 확산과 한계
제4장 대만의 한국학
제1절 연도별 추세 분석
제2절 주요 연구자, 주요 학술지, 주요 학문 분야와 키워드 분석
제3절 대만의 한국학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제1절 중국과 대만의 한국학 연구동향 비교
제2절 정책적 함의: 한국학의 효과적 확산 모델 재정립
참고문헌
부록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