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역사연구회는 1988년 출범한 한국사 연구자들의 모임이다. 과학적 역사학을 수립하고 그렇게 하여 나온 성과를 대중과 공유하기 위하여, 전문연구서와 다수의 교양서를 공동작업으로 발간하였다, 교양서로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2》 《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2》 《삼국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2》를 냈고, 현재 현북스와 함께 《우리는 지난 100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 1~3》의 전면 개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외에 《한국고대사 산책 : 한국고대사에 관한 38가지 팩트》(역사비평사), 《개경의 생활사 : 고려 500년의 서울》(휴머니스트), 시대 개설서로 《조선시대사 1,2》(푸른역사), 《한국고대사 1,2》(푸른역사), 《고려시대사 1,2》(푸른역사), 《한국현대대사 1,2》(푸른역사) 등이 있다. 또한 《신보수교집록》(청년사), 《수교집록》(청년사), 《각사수교》(청년사), 《1894년농민전쟁연구》(역사비평사), 《고려의 황도 개경》(창비), 《조선은 지방을 어떻게 지배했는가》(아카넷) 등 전문 연구서도 출간했다. 현재 계간지 《역사와 현실》을 발간하고 있다.홈페이지 www.koreanhistory.org
책을 펴내며
제1편 선사
1. 도구 사용과 무리생활
2. 농사짓기와 정착생활
제2편 고대
1. 금속기 문화와 고조선
1 계급 분화와 국가 성립 | 2 단군과 고조선 | 3 고조선의 변천과 멸망 | 4 한 군현과 토착 세력
2. 초기 국가의 성립과 발전
1 부여의 성립과 역사 전개 | 2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3 옥저와 동예 그리고 삼한 소국
3. 삼국의 발전과 가야
1 고구려의 영역 확장과 지배체제 정비 | 2 백제의 성장과 마한 통합 | 3 진한 사로국에서 신라로 | 4 가야의 여러 나라
4. 삼국의 항쟁과 지배체제 정비
1 고구려의 영토 확장과 평양 천도 | 2 백제의 천도와 지배체제 정비 | 3 신라의 지배체제 정비와 영토 확대
5. 삼국의 정치·사회·경제
1 지배구조와 정치제도 | 2 사회계층과 신분제 | 3 수취제도와 경제생활
6. 삼국의 문화와 예술
1 한자문화의 수용과 역사서 편찬 | 2 신앙과 종교 | 3 건축과 예술
제3편 통일신라·발해
1. 동아시아 정세와 통일전쟁
1 동아시아 정세 변화와 삼국의 대응 | 2 나당 연합과 백제의 멸망 | 3 고구려의 멸망과 나당전쟁
2. 신라의 지배체제 재정비와 정치 변동
1 평화 속 체제 안정 | 2 왕위 다툼과 정국 혼란 | 3 호족의 등장과 후삼국 분열
3. 신라의 정치·사회·경제
1 통치기구와 지배조직 | 2 토지제도와 경제생활 | 3 사회구조와 생활상
4. 신라 통일기의 사상과 문화
1 사상과 종교 | 2 문학과 예술
5. 발해의 지배구조와 문화
1 건국과 발전 | 2 발해의 멸망과 유민의 동향 | 3 정치제도와 주민구성 | 4 사상과 문화
제4편 고려
1. 고려 전기의 정치와 체제 정비
1 고려의 건국과 왕권 확립 | 2 지배 세력과 국가체제의 정비 | 3 숙종-인종대의 정치 변동
2. 고려 후기의 정치와 체제 변동
1 무신정권의 형성과 민의 봉기 | 2 몽골(원)의 간섭과 고려의 정치 | 3 개혁 정치와 고려의 몰락
3. 고려의 국제관계와 전쟁, 교류
1 다원적 국제질서와 국제관계 | 2 몽골과의 전쟁과 강화 | 3 일원적 세계질서로 변동
4. 고려의 경제구조와 생활
1 토지제도와 농장 | 2 수취제도의 운영과 교통 | 3 농업생산력과 농업기술 | 4 상공업의 발달
5. 고려의 사회구조와 변동
1 신분제의 운영과 동요 | 2 가족제와 여성의 지위 | 3 사회정책과 율령제
6. 고려의 사상과 문화
1 불교계의 동향과 불교문화 | 2 유교사상의 전개와 유교의례 | 3 도교·풍수도참·민간신앙 | 4 과학과 문화의 발달
제5편 조선
1. 조선왕조의 성립과 체제
1 조선왕조의 성립 | 2 새로운 국가체제의 정비 | 3 중앙과 지방의 행정조직 | 4 대외관계와 군사조직 | 5 관료 선발과 교육제도
2. 조선 전기의 경제 운영과 사회구조
1 과전법의 운영과 수취체제의 변화 | 2 농업 경영과 생산력의 발달 | 3 국가적 상업 통제와 관영 수공업체제의 형성 | 4 신분제의 구조와 운영
3. 조선 전기 학문과 문화의 발달
1 성리학의 수용과 보급 | 2 과학기술의 발달 | 3 문화의 발달
4. 조선 중기 사림의 성장과 붕당
1 사림의 성장 | 2 붕당의 발생 | 3 성리학의 심화
5. 두 차례의 전쟁과 전후 복구
1 임진왜란과 대일관계 | 2 병자호란과 대청관계 | 3 전후 국가체제 정비 | 4 재지사족과 지방사회
6. 조선 후기의 정치 변동
1 정치질서의 재편 | 2 탕평정치의 실시 | 3 세도정치의 등장과 폐해
7. 조선 후기 경제 발달과 사회 변동
1 부세제도의 개편 | 2 농업 발달과 지주제의 변동 | 3 상공업의 성장과 무역의 발달 | 4 서울과 지방사회의 변화 | 5 신분제와 가족·친족제의 변화 | 6 민중 저항의 양상
8. 조선 후기 사상과 문화의 새로운 흐름
1 화이론과 성리학 | 2 실학의 전개와 역사 연구 | 3 천주교와 민중사상의 등장 | 4 문화의 새로운 흐름
시각자료 소장처 및 출처
왕위 계보도
참고문헌
찾아보기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