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역사
사암 정약용 전기 이미지

사암 정약용 전기
창비 | 부모님 | 2022.07.01
  • 정가
  • 40,000원
  • 판매가
  • 36,000원 (10% 할인)
  • S포인트
  • 2,0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3 | 0.970Kg | 676p
  • ISBN
  • 9788936479138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조선 후기 대표적인 실학자 정약용 선생의 일생을 망라한 전기. 저자는 자신의 종조(從祖)이자 정신의 스승인 정약용 선생에 대한 깊은 애정과 존경을 바탕으로 옛 글과 현대의 연구 자료를 면밀하게 검토하고 정리했다. 선생의 연대기를 꼼꼼하게 기록했을 뿐 아니라 선생의 저술 목록과 연보, 주변 인물들에 대한 해설을 부록에 덧붙여 향후 정약용 연구에도 보탬이 되고자 했다.

‘다산’으로 잘 알려져 있는 정약용 선생의 마지막 호는 ‘사암(俟菴)’이다. 이 호는 후세에 성인(聖人)이 나와서 자신의 저서를 본다 해도 자신의 주장이 그르다 하지 않을 것이라는 자긍심을 가지고 지은 이름이다. 책은 사암이 1822년에 자신의 삶을 정리한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 집중본과 『사암선생연보』에 주로 의거해 사암의 일생을 기술한다. 또한 『여유당전서』 중 특히 시문집의 작품들을 바탕으로 사암의 사상과 공적을 해설한다.

때로는 자식과 형님에게 세상사와 학문을 이야기하고, 때로는 친구와 함께 시를 짓고 명승지를 유람하며, 때로는 제자와 함께 방대한 저서를 저술한 사암의 일생을 연도별로, 그리고 날짜별로 입체적으로 재구성한 다큐멘터리라 할 수 있다.

  출판사 리뷰

‘민족의 사표’ 대학자 정약용의 삶과 학문
“후대에 성인이 내 책을 본다 해도 부끄럽지 않을 것이다”


조선 후기 대표적인 실학자 정약용 선생의 일생을 망라한 『사암 정약용 전기』가 출간되었다. 정약용의 후손이자 수십년간 도서편집 분야에 종사하며 ‘전설의 편집자’로 알려진 정해렴 전 창작과비평사 및 현대실학사 대표의 역작이다. 정 전 대표는 정약용을 포함한 조선후기 및 근대기 우리 주요 사상가들의 저술을 정리편찬함으로써 한국학 원전 출판에 중요한 기여를 한 바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자신의 종조(從祖)이자 정신의 스승인 정약용 선생에 대한 깊은 애정과 존경을 바탕으로 옛 글과 현대의 연구 자료를 면밀하게 검토하고 정리했다. 600면이 훌쩍 넘는 분량에 선생의 연대기를 꼼꼼하게 기록했을 뿐 아니라 선생의 저술 목록과 연보, 주변 인물들에 대한 해설을 부록에 덧붙여 향후 정약용 연구에도 보탬이 되고자 했다.
‘다산’으로 잘 알려져 있는 정약용 선생의 마지막 호는 ‘사암(俟菴)’이다. 이 호는 후세에 성인(聖人)이 나와서 자신의 저서를 본다 해도 자신의 주장이 그르다 하지 않을 것이라는 자긍심을 가지고 지은 이름이다. 일평생 크나큰 역경 속에서도 불굴의 의지와 초인적인 공력을 기울인 선생의 삶을 이해하고 오늘날 선생이 민족의 사표로서 널리 추앙받는 것을 생각해보면 이 이름이 우리에게 전하는 울림이 새롭게 느껴질 것이다. 『사암선생연보』를 집필한 정규영 등 선생의 다른 후손들도 이 호를 즐겨 사용했다.

사암의 삶을 입체적으로 재구성한 다큐멘터리
풍파와 고초 속에서 피어난 혜안


이 책은 사암이 1822년에 자신의 삶을 정리한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 집중본(集中本)과 『사암선생연보』에 주로 의거해 사암의 일생을 기술한다. 또한 『여유당전서』 중 특히 시문집의 작품들을 바탕으로 사암의 사상과 공적을 해설한다. 때로는 자식과 형님에게 세상사와 학문을 이야기하고, 때로는 친구와 함께 시를 짓고 명승지를 유람하며, 때로는 제자와 함께 방대한 저서를 저술한 사암의 일생을 연도별로, 그리고 날짜별로 입체적으로 재구성한 다큐멘터리라 할 수 있다.
사암의 생은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청년기에는 빛나는 재능을 가지고 정조 임금으로부터 총애를 받으며 경기 암행어사, 곡산도호부사, 형조참의 등의 벼슬을 역임하고 수원 화성을 설계하는 등 업적을 쌓으면서 천주교에 관심을 가졌다. 그리고 장년기에는 신유옥사로 낙마하고 장기와 강진에서 18년 동안 긴 귀양살이를 하는 동안 다산동암에 터 잡고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쓰며 많은 저술과 작품을 남겼다. 귀양이 끝나고 여유당으로 돌아와 저술 정리에 힘쓰던 노년기에는 자신의 생애를 돌아보고 동학들과 교류하며 더 나은 삶을 추구했다.
잘 알려져 있고 이 책에서도 특히 많은 분량을 할애하는 시기는 귀양을 살았던 장년기이다. 보통 유배지에서도 학문과 글쓰기에 정진하여 『목민심서』나 가족들에게 보내는 편지를 남긴 시기로 알려졌지만, 이 책에서는 이 시기 사암의 활동이 이보다 더 풍성했음을 보여준다. 사암은 가는 곳마다 풍속과 정취, 사회제도의 모순을 시문과 기록으로 남겨 오늘날 조선 후기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들을 남겼다. 관계를 유지하거나 새로 만드는 데도 힘써 다채로운 일화들을 남겼다. 저자는 이 과정을 시간의 흐름대로 정직하게 서술하면서도 여러 시문과 서간문을 인용하며 사암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재현한다. 유배지에서의 고초와 소외감을 솔직하게 드러내면서도 그 자리에서 할 수 있는 노력을 다해 더 나은 학문과 삶을 추구하며 사암의 정신도 한층 진전되었음을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풍성한 문학작품으로 읽는 대학자의 한평생
‘인간 정약용’을 보여주는 편지와 글들


이 책은 한권으로 만나는 사암 저작 선집이라 할 만하다. 생애 첫 작품으로 14세 때 금강산을 유람하고 돌아온 아버지의 이야기를 듣고 해금강의 모습을 읊은 오언시 「그리운 금강산(懷東嶽)」으로부터, 마지막 작품으로 결혼 60주년 기념일을 자축한 시 「결혼 60주년(回詩)」에 이르기까지 사암의 많은 저작을 한글로 옮겨 담았다. 이외에도 110여편에 이르는 다양한 저작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 사암의 삶과 문학이 유기적으로 어우러지는 느낌을 받는다.
예를 들어, 첫 귀양지 장기의 풍물을 노래한 「장기의 귀양살이에서 본 풍속(城雜詩 二十六首)」, 그다음 귀양지 강진의 풍속을 읊은 「탐진 노래(耽津村謠 十五首)」 「탐진 농부가(耽津農歌 十首)」 「탐진 어부가(耽津漁歌 十章)」 같은 풍속시가 있고, 1794년 암행어사로 7개 고을을 돌아보며 직접 목도한 백성들의 참상을 고발하는 「적성촌에서(奉旨廉察 到積城村舍作)」, 백성들이 굶주리는 모습을 떠올린 「굶주린 백성(飢民詩)」, 군역의 부조리 때문에 남자가 스스로 생식기를 잘라낼 수밖에 없었던 처절한 비극을 읊은 「남근을 잘라내다니(哀絶陽)」 같은 사회시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죽란시사(竹欄詩社)를 결성해 동학들과 정기 모임을 가지며 남긴 아름다운 시들도 남아 있다. 이 책은 이처럼 많은 문학작품을 통해 시대를 앞선 실천적 사상가요, 훌륭한 행정가이자 경세가로서의 사암뿐 아니라 뛰어난 문인으로서 사암의 면모를 보여준다.
몇몇 시문들은 사암의 인간적인 매력을 드러내기도 한다. 특히 꿈속에서라도 보고 싶은 아내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진솔하게 표현한 「아내 생각(如夢令: 寄內)」과 시골 할아버지의 모습을 천연덕스럽게 묘사한 연작시 「늙은이의 즐거움(老人一快事 六首 效香山體)」 등이 그러하다. 「결혼 60주년(回詩)」은 노인이 된 사암의 정서를 낭만적으로 읊고 있어 우리가 알던 대학자 정약용과는 사뭇 다른 인간미를 느끼게 해준다. 사암은 이 시를 짓고 사흘 만에, 그러니까 결혼 60주년 기념일에 별세했다.
서간문 역시 사암의 삶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자료다. 강진에서 귀양살이하면서도 두 아들에게 집안을 보존하고 인간의 품위를 지키면서 살아나갈 길을 가르친 편지나 동학과 형제에게 그리움을 전하고 정신적 교류를 청했던 편지들에서는 사암의 인간적인 면모가 엿보인다. 저자는 우여곡절이 많았던 사암의 생을 그 당시 지었던 편지글을 인용하며 효과적으로 그려냈다.

후손이자 전설의 편집자가 정리한 사암의 삶
정약용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남을 기록


저자 정해렴은 사암이 자신의 6대 종조이기에 그의 전기를 쓰는 일이 더욱 어려웠다고 집필 소감을 밝힌다. 혹여라도 그의 후손이라는 이유로 전기의 객관성을 의심받는 일이 없도록 더욱 주의를 기울였다. 관록의 편집자인 저자 입장에서도 그 어느 때보다도 면밀한 작업을 통해 기존의 자료들을 충실히 반영하고 정리한 책으로 남을 것이다.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에 정인보안재홍 등에 의해 사암 연구가 본격화된 지 어느덧 100년 가까이 되었다. 그 기간 『여유당전서』가 완간되고 『목민심서』를 비롯한 사암 저작의 연구가 다방면으로 이뤄졌다. 사암의 말과 글을 활용한 수많은 도서가 출간되고 문화 콘텐츠도 만들어져 대중들도 널리 사암을 이해하고 공부하게 되었다. 그러나 사암을 공부하기 위해 가장 먼저 펼쳐야 할 책이 무엇인지 묻는다면 기존 출간도서 중에서 떠올리기가 쉽지 않다. 이 책은 사암과 관련해 가장 기본이 되는 사실과 자료를 빠짐없이 제시하고, 서정적인 작품과 편지, 상소문 등을 사암의 삶과 잘 엮어내고 있어 사암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에게 효과적인 출발점이 될 것이다. 또한 사실에 충실한 본문 서술과 부록은 사암 관련 참고자료를 찾는 이들에게 더없이 유용하다. 이 책이 사암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연구에 보탬이 되길 기대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정해렴
1939년 경기도 파주에서 출생하여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64년부터 교학도서·신구문화사·을유문화사 편집부에서 근무했고, 1976년부터 창작과비평사 편집부장·대표·고문, 1997년부터 현대실학사 대표를 역임했다. 출판계에 입문한 이후 1,000여권의 책을 편집·교정·편역했다. 정약용의 대표적인 저술인 일표이서와 실학·문학 저서를 완역하거나 편역하고, 『지봉유설』 『성호사설』 등 조선 실학자들의 주요 저작을 편역했다. 또한 홍기문·김태준·문일평·안확·신채호 등의 주요 저술을 정리해 총서로 간행하기도 했다. 저서로 『편집·교정 반세기』 등이 있다.

  목차

사암 선생 전기를 쓰기 시작하면서

제1부 어린 시절과 공부할 때

제1장 조선의 위대한 학자가 탄생하다 / 제2장 소과인 사마시에 합격하다

제2부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다
제1장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다 / 제2장 천주교 사건이 터지기 시작하다 / 제3장 수원 화성의 건설 / 제4장 경기 암행어사로 나가다 / 제5장 금정찰방으로 쫓겨나다 / 제6장 죽란시사 결성 / 제7장 곡산도호부사로 부임하다 / 제8장 형조참의에 임명되다

제3부 18년 동안의 귀양살이
제1장 신유옥사 / 제2장 장기의 귀양살이 / 제3장 강진의 귀양살이 / 제4장 다산학 산실 다산동암 / 제5장 제자들과 두 아들에게 내려준 교훈 / 제6장 사암의 두 아들 교육법

제4부 실학을 완성하다
제1장 마침내 여유당으로 돌아오다 / 제2장 노년에도 천명을 받들려 애쓰다 / 제3장 시를 읊고 경서를 토론하던 벗을 떠나보내다

제5부 사암의 문학론과 저술
제1장 사암의 문학론 / 제2장 사암의 저술

어리석은 생각을 감히 덧붙인다

참고문헌 / 사암 정약용 선생 연보 / 『사암 정약용 전기』에 나오는 인명·서명 / 인용된 사암 저작 및 인용처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