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김재선
한국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과 강사. 스페인 연극을 전공했다. 대표 논저로는 「마요르가의 『하멜린』에 나타난 서사극 기법 연구」, 「벨라스케스에 대한 부에로의 연극적 판타지 연구」가 있고, 번역서로는 『맨 끝줄 소년』, 『봄에는 자살금지』 등이 있다.
지은이 : 김수완
한국외국어대학교 융합인재학부 교수. 중동지역학을 전공했다. 대표 논저로는 “Framing Arab Islam Axiology Published in Korean Newspapers”, “The New Korean Wave in the Middle East and Its Role in the Strategic Approach to Medical Tourism in Korea”, 「신의 이름으로, 중동지역 미디어검열」, 「중동 난민을 바라보는 내부자적 시선」, 「아랍에미리트 미디어 산업과 규제」, 「창조경제의 주역 중동신한류」, 『중동사회와 미디어문화』, 『IS를 말하다』 등이 있다.
지은이 : 심두보
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미국 위스콘신(매디슨)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싱가포르국립대에서 조교수로 근무했다. 그간 한류와 아시아 대중문화, 글로벌 미디어산업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미국 듀크대학교 방문학자, 한국소통학회 회장, 서울문화재단 이사, 성신여대 사회과학대학장을 역임했다. 저역서로 Pop Culture Formations across East Asia, 『미디어의 이해』 등이 있으며, “Hybridity and the rise of Korean popular culture in Asia”, “케이팝(K-pop)에 관한 소고: 한류, 아이돌, 그리고 근대성”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지은이 : 음영철
삼육대학교 글로벌한국학과 교수. 삼육대학교 국제교육원 부원장. 한국현대소설을 전공했다. 대표 저술로는 「넷플릭스 드라마 〈스위트홈〉에 나타난 파국의 서사와 감염의 윤리」, 「재한 조선족 혐오표현과 타자화 연구: 영화 〈청년경찰〉과 〈범죄도시〉를 중심으로」, 『대학 글쓰기, 개념부터 시작하자』, 『대학생을 위한 글쓰기 수업』 등이 있다.
지은이 : 김두진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연구교수.국제정치, 정치경제학(국제정치경제학), 정치사회학을 전공했다. 주요 논저로 「‘기억의 과잉’과 동아시아 온라인공간의 민족주의: 한중간 탈경계 언술(narratives)의 감정레짐」, 『타자의 눈에 비친 근대한국: 〈코리안 리포지토리〉의 시각을 중심으로』, 『한류와 역류: 문화외교의 가능성과 한계』, 「한류의 초국적보편성과 ‘미디어 제국주의 역전’테제: 영국의 K-pop과 포스트―비틀즈의 제국성」, South Korea: Challenging Globalization and the Post-Crisis Reforms 등이 있다.
지은이 : 양인실
일본 이와테대학교 인문사회과학부 준교수. 제국일본 내 문화의 횡단, 한일문화교류사, 영상 속 재일코리안표상 연구를 하고 있다. 대표 저술로는 「영화관객으로 재조일본인을 상상하기 일본어신문 『부산일보』를 중심으로」, 「복합영화상영관 메이지좌의 사회사」 등이 있다.
지은이 : 전동한
배화여자대학교 국제무역물류학과 교수. 무역실무를 전공했다. 대표 저술로는 『만화로 보는 무역실무』, 『국제무역계약』, 대표 논저로, 「AIIB확장과 한국의 역할: 지속가능성과 포용성 관점」, 「중국 방송시장에서의 K-콘텐츠 연구」 등이 있다.
지은이 : 오현석
서울신학대학교 일본어문화콘텐츠학과 조교수. 사회학(미디어론, 문화연구)을 전공했다. 대표 논저로는 「혼종성 이론에서 바라본 일본의 한류」, 「문화제국주의론에서 바라본 타자로서의 일본―1990년대 일본대중문화개방과 관련된 담론을 중심으로」, 「대중문화에 나타난 타자로서의 ‘일본’―문화권력의 작동과 저항성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지은이 : 손수진
백석예술대학교 호텔관광학부 부교수. 관광경영 전공 및 스페인어학을 전공했다. 대표 논저로는 『현지 언론보도 기사 내용분석과 SNS를 통한 아르헨티나의 K-Culture 선호도에 관한 연구』, 『라틴아메리카 현지 한류 팬덤의 K-Culture 선호도와 추천 및 한국방문의사 간의 관계성 연구: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잠재고객을 대상으로』,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통한 한류문화콘텐츠 인식조사 및 문화관광 활성화 방안: 멕시코와 아르헨티나 지역의 K-Culture 팬덤을 중심으로」, 「언택트(Untact) 시대의 한류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라틴아메리카 지역 온택트(Ontact)의 도전과 기회: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 지역을 중심으로」,「2021 해외한류실태조사: 아르헨티나 한류 심층분석」 등이 있다.
지은이 : 조지숙
경희대학교 아프리카 연구센터 박사급 연구원.프랑스 문학 및 문화를 전공했다. 현재 대학에서 프랑코포니 문학 및 문화, 세계문화 등을 강의하고 있다. 대표 논저로는 「아프리카 가나의 상징철학 ‘아딘크라(Adinkra)’」, 「나이지리아 일레이페(Ile-Ife)지역의 요루바 문화를 통해서 본 문화 상대성 재인식」, 「『아주르와 아스마르』에 투영된 이질성에 대한 폭력과 금기 그리고 융화」, 「마다가스카르 구술 문학을 통해서 본 전설 속 인물의 원형 찾기의 악의 유희성」 등이 있고, 대표 저서로는 『아프리카의 상징철학 아딘크라』, 『나이지리아의 역사』 등이 있다.
지은이 : 배소영
경희대학교 호텔관광대학 문화관광콘텐츠학과 조교수(호텔관광대학 부학장 및 문화관광콘텐츠학과장). 문화관광·여가문화를 전공했다. 대표 논저로는 「신중년 여성의 여가로서의 팬덤활동과 사회적지지, 삶의 의미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 연구: 〈내일은 미스터트롯〉 팬덤을 중심으로」, 「한류 영상 콘텐츠의 시청동기가 시청태도, 한국에 대한 국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영상 플랫폼 ‘bilibili’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 risk perception on behavioural intention towards ‘untact’ tourism in South Korea during the first wave of the pandemic”, “A multicultural retreat in exotic serenity: Interpreting temple stay experience using the Mandala of Health model” 등이 있다.
지은이 : 이미지
부산외국어대학교 태국어과 조교수.일본 교토대학교에서 동남아 지역연구(Area Studies)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논문 및 저서로는 「태국 2021: 코로나19 위기 속 출구 없는 정치대립과 사회구조적 난제」, 「태국 전통의료관광의 발전과 한국에의 시사점: ‘타이식 의학’의 제도화와 관광화 전략」, 「태국 2020: 의심받는 ‘타이식 민주주의’와 정치과정의 변화」, 「일본의 동남아 지역연구 연구동향과 한국에의 시사점」, 『맛으로 느끼는 동남아: 태국의 음식문화』, 『한국의 동남아시아 연구: 역사, 현황 및 분석』, 「韓?政府による?東南アジア「韓流」振興政策」 등이 있다.
간행사아시아대중문화시리즈를 발간하며 05
1부 드라마·영화로 본 한류 열풍
오현석
일본의 한류 현상 이해하기―셀러브리티 현상을 통한 내셔널리즘의 구축
Ⅰ. 들어가며 17
Ⅱ. 타자로서의 일본과 내셔널리즘 19
Ⅲ. 일본에서의 한류 현상 25
1. 한류 현상에 관한 소고 25
2. 한류 현상에 나타난 셀러브리티 29
Ⅳ. 맺음말 35
양인실
한류와 K 사이에서―낯설지만 익숙하고 세련된 한국 드라마
Ⅰ. 들어가면서 39
Ⅱ. 2022년 현재 한류 붐을 이야기하다 41
1. “n차 한류”라는 이름으로 43
2. “한류가 다가온다(韓流がやってくる)”는 담론 46
Ⅲ. 해외드라마에서 한류 드라마로 54
1. 해외드라마로서의 한국 드라마 54
2. 인터넷 우익과 한국 드라마 57
Ⅳ. 다시 일본에 ‘불시착’한 한국 드라마 60
1. 〈사랑의 불시착〉 관련 데이터로 보는 일본에서의 인기 62
2. 남북의 동성사회성(homo-social)―그들만의 세상 64
Ⅴ. 일본 내 〈사랑의 불시착〉 수용 67
1. 『아사히 신문』의 〈사랑의 불시착〉 관련 기사들 67
2. 한국 콘텐츠의 매력 69
3. 일본 드라마의 “답답함” 72
Ⅵ. 결론을 대신하여익숙하지만 낯선, 낯설지만 세련된 한국 드라마 75
음영철
베트남의 한류 현상 고찰 ―한국 드라마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83
Ⅱ. 베트남 국민의 한류 인식 88
Ⅲ. 한국 드라마에 나타난 베트남의 한류 현상 91
Ⅳ. 한국 드라마의 미적 구조 94
1. 〈꽃보다 남자〉: 여성의 주체적 성장 서사 94
2. 〈태양의 후예〉: 휴머니즘과 결합된 멜로 서사 97
Ⅴ. 맺음말 100
김재선
스페인의 한국영화 수용 연구―봉준호 감독을 중심으로
Ⅰ. 머리말 107
Ⅱ. 영화제 109
1. 산세바스티안 국제영화제 110
2. 바야돌리드 국제영화제 113
3. 시체스 국제영화제 116
4. 한국문화원의 한국영화제 120
Ⅲ. 스페인이 바라본 봉준호 감독과 그의 영화 세계 124
1. 장르의 혼합과 전복 126
2. 사회적 메시지 129
3. 영화 〈기생충〉 효과 133
Ⅳ. 마치는 말 136
2부 한류 확산의 현장
심두보
한류와 베트남
Ⅰ. 들어가며 143
Ⅱ. 베트남의 한류 146
Ⅲ. 한류가 매개하는 베트남 대중문화 151
1. TV 드라마 151
2. 음악과 공연 157
3. 영화 161
Ⅳ. 나가며한류 인프라를 생각한다 162
김수완
변화의 중심에서, 중동한류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Ⅰ. 머리말 169
Ⅱ. 중동한류의 시작과 성공요인 172
1. 한류의 시작 172
2. 문화코드분석을 통한 한류성공 요인평가 174
Ⅲ. 변혁의 사회와 문화적 함의 178
Ⅳ. 변화의 주체, 중동 여성파워와 뉴제너레이션 182
1. 중동의 여성파워 182
2. 중동의 뉴제너레이션 187
Ⅴ. 맺음말 190
손수진
한류를 넘어 K-Culture 현장 속으로 ¡Vamos!
―열정의 나라 멕시코와 아르헨티나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197
Ⅱ. 멕시코와 아르헨티나는 지금! 200
1. 멕시코 K-Culture 현황 200
2. 아르헨티나 K-Culture 현황 204
Ⅲ. 맺음말 208
조지숙
아프리카로 간 한류―세네갈에서 남아프리카공화국까지
Ⅰ. 머리말 211
Ⅱ. 세네갈에서의 한류드라마, 기업, 한글 212
1. 드라마 212
2. 기업 213
3. 한글 216
Ⅲ.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의 한류소설, 영화, 남아공의 과거와 한류의 현재 220
1. 소설 220
2. 영화 222
3. 남아공의 과거와 한류의 현재 223
4. 맺음말 227
3부 한류의 전망
김두진
한류의 초국적 보편성과 문화외교의 재인식―BTS의 세계 ‘시장주의’를 지향하며
Ⅰ. 머리말 233
Ⅱ. 동북아(중국, 일본 등)는 “가깝고도 먼” 곳이질적 한류 수용과 ‘보편적’ 문화외교의 재조명 237
Ⅲ. 북미, 라틴아메리카 및 서유럽 지역의 한류의 동향‘혼종성’을 넘어 초국적 ‘보편성’으로 244
Ⅳ. 동남아, 중동지역 및 이슬람권의 한류 접근의 신중성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254
Ⅴ. 맺는말 257
배소영
한류콘텐츠와 한국유학, 그리고 한국관광―문화적 친근성 개념을 중심으로
Ⅰ. 머리말 263
Ⅱ. 한류, 문화적 친근성, 그리고 외국인 유학생 265
Ⅲ. 자료수집 및 분석절차 268
Ⅳ. 분석결과 271
1. 한류콘텐츠 접촉에서 유학의사결정으로의 과정 271
2. 유학 중 형성하는 한국 및 한국문화와의 관계 277
Ⅴ. 맺음말 283
이미지
태국 속의 한류
―한태문화의 융합과 아시아 소비문화로서의 성장 가능성
Ⅰ. 머리말 289
Ⅱ. 한태 관계와 태국 한류의 과거와 현재 292
1. 한국과 태국 관계 292
2. 숫자로 보는 태국 한류 295
3. 태국 한류의 역사적 전개 과정과 유입 배경 299
Ⅲ. 한태문화의 융합과 재생산 304
Ⅳ. 맺음말 309
전동한
메타버스와 K-콘텐츠
―동남아 콘텐츠시장 수출 확대 전략
Ⅰ. 머리말 315
Ⅱ. 메타버스의 진화 317
1. 연구 배경 317
2. 메타버스의 진화 322
3. 메타버스 콘텐츠기업 324
Ⅲ. K-콘텐츠와 동남아 콘텐츠시장 326
1. K-콘텐츠 326
2. 동남아 콘텐츠시장 330
Ⅳ. 동남아 콘텐츠시장 수출 확대 전략 336
1. 메타버스와 K-콘텐츠의 결합 전략 336
2. 동남아 콘텐츠시장 수출 전략 338
Ⅴ. 맺음말 344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