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권대순 소설. 주인공 현태는 칠 남매 중 장남으로, 초등학교 6학년 때 친어머니를 간암으로 잃고 3년 탈상을 겪는다. 중학생도 되지 못한 어린아이가 겪어내기엔 가혹한 시련이 아닐 수 없지만, 밑으로 줄줄이 달린 어린 동생들과 할머니, 홀로 남은 아버지를 두고 마냥 슬퍼할 수만도 없는 처지다. 그 후 새어머니를 맞이하며 다양한 일이 벌어지는데….
출판사 리뷰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의성 가도실 대가족 사이에서
흐르던 칸타타!
나에게 세상을 준 부모님, 그중에서도 열 달 동안 배 속에서 품고 길러 낳아준 어머니에 향한 사랑과 애틋함은 모든 이가 지니고 있을 것이다. 특히 그 사랑을 마음껏 주고받지 못한 채 일찍 어머니를 여의었다면 그 상실감과 헛헛함은 세상 그 무엇으로도 채울 수 없을 것이다. 작중 주인공 현태는 칠 남매 중 장남으로, 초등학교 6학년 때 친어머니를 간암으로 잃고 3년 탈상을 겪는다. 중학생도 되지 못한 어린아이가 겪어내기엔 가혹한 시련이 아닐 수 없지만, 밑으로 줄줄이 달린 어린 동생들과 할머니, 홀로 남은 아버지를 두고 마냥 슬퍼할 수만도 없는 처지다. 그 후 새어머니를 맞이하며 다양한 일이 벌어지는데….
어머니 순서가 되자 의사 선생님은 청진기를 가슴과 배 부분에 대 보며 말했다.
“숨을 크게 들이마시고 멈추세요.”
숨 쉴 기운도 없었던 어머니는 죽을힘을 다해 의사 선생님의 지시대로 했다. 의사 선생님이 이번에는 등 쪽으로 청진기를 옮겨서 대략 여섯 번 정도 더 진료를 하고는 어머니와 아버지를 번갈아 보면서 말했다.
“큰 도시의 큰 병원에 가 보세요. 여기서는 자세하게 검사할 의료 장비가 없어 확실한 병명을 알아내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면서 원기를 돋우기 위해 임시방편으로 링거액을 어머니 팔에 꽂아 줬다. 큰 병원으로 가라는 말에 기분이 찝찝했으나 어찌할 방도가 없었다. 약 기운이 혈관으로 퍼지기도 전에 어머니는 잠이 들었다. 밥도 못 먹고, 의원까지 오느라 차에 시달리고, 또 그전까지 마늘 논에서 노동했던 피곤함으로 인해 잠을 청했던 것 같다. 잠들어 있는 모습이 천진난만하여 마치 어린아이 같았다. 팔에 연결된 링거액 줄만 없으면 환자 티가 전혀 나지 않는 어머니였다. 온종일 들판에서 일한 탓에 그을린 검은 얼굴이 약간 붉게 변하면서 혈색이 돌아오고 있었다. 어머니가 주사를 맞는 동안 아버지도 침대 옆 의자에서 꾸벅꾸벅 졸았다.
새근새근 잠자고 있는 어머니를 보면서 본인도 긴장감이 풀어져 한참을 존 것이다.
“아비야? 나 좀 보자.”
그리고는 묵묵하게 방으로 들어가서 이부자리를 밀고 앉았다.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방으로 들어오니 덩달아 할머니도 일어나 같이 앉게 되었다. 할아버지의 낮은 음성의 중압감을 느꼈는지 호롱불도 세 사람의 눈동자를 충실히 밝히고 있었다. 먼저 할아버지가 입을 뗐다.
“아비야. 왜! 어미가 차도가 없느냐?”
아버지가 흠칫 놀라면서 대답했다.
“예. 큰 병원에서 의사 선생님이 약만 먹으면 호전될 것이라고 했거든요?”
할아버지는 아버지의 대답을 믿지 못하겠다는 듯이 또 따지며 물었다.
“그러함에도 너는 왜, 담배를 자주 피우노?”
아버지는 점점 대답이 궁색해서 고양이에게 쫓기는 쥐마냥 아무런 대답을 할 수 없었다. 이 기회를 놓치지 않으려고 할아버지의 추궁은 계속되었다.
“아비야. 숨기지 말고 모두 말을 해라. 그래야 힘을 합쳐 대책을 강구할 것 아이가?”
대답할 틈을 주지 않고 할아버지는 계속 이야기했다.
“어미의 병색은 더 짙어지고, 너는 더 고민을 하는 것 같고...?”
묵묵부답이던 아버지의 입술을 향하여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시선이 집중되어 있는데 갑자기 아버지의 어깨가 들썩였다.
아들이 집안에 득실거려야 혹 우환이 생겨도 다른 아들이 대신 제사를 지내는 등 죽은 아들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는 확신에서 비롯되었다. 어머니가 혹, 급성 간암을 피해 건강만 했다면 자식의 수를 여덟, 아홉을 넘어 휠씬 많이 낳았을 것이며 그때마다 할머니는 본인의 확고한 의지가 딱 맞게 떨어진다고 좋아했을 것이다.
할머니의 큰아들, 곧 나의 큰아버지는 1927년 정묘년(丁卯年), 토끼띠 해에 가도실에서 태어났다. 그해 조선 경성에서는 한국방송공사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경성 방송국 라디오방송이 개국했다. 또 12월에는 경성부, 지금의 서울특별시 기온이 영하 23.1℃까지 내려가면서,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는 역대 공식 최저 기온을 기록했다.
큰아버지와 같은 해 출생한 사람은 대한민국 14대 대통령인 김영삼, 포스코 명예회장 박태준, 방송인 송해, 가수 백설희, 작곡가 길옥윤 씨 등이 있다.
1927년 1월 12일 의성 지역의 명승고적을 소개하는 기사에서 경북 의성군 금성면에 존재하였던 국가 조문국에 대하여 소개했다. 그 기사는 ‘의성읍에서 남으로 향하다 금성면 소재지에 채 못 미쳐 만나는 언덕받이 오른편이 금성면 대리리 산 384번지이다. 이곳에 있는 잊힌 소왕국 옛 조문국 경덕왕릉은 그 형식이 전통적 고분으로서 봉 아래 화강석 비석과 상석이 있다.’라는 내용이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권대순
경북 의성 안평면에서 출생했다. 40대에 ‘책 5권을 집필하고 이 땅을 떠나자!’라고 목표를 세웠고 소설 『가도실 칸타타』가 다섯 번째 책이다. 직장생활 가운데 주경야작(晝耕夜作)으로, 2011년 『삶과 추억을 고백하다』, 2016년 『어머니의 자리』, 2019년『나는 아버지의 아들입니다』, 2020년 『당신의 커피 한 통과 막걸리 세 병』을 출간했다. 국가보훈처 문예공모전 우수상(2019년), 연천문학상 신인상(2020년)을 수상했으며, 구순(九旬)의 어머니를 위한 작은 효심으로 객지 생활 40년을 마무리하고 2021년 고향 의성 안평으로 홀로 귀향(歸鄕)했다.그냥 마음이 가는 대로 글을 쓰고 즐겨한다는 것이 맞겠다. 그런대로 지루하지 않아 여기까지 왔으며, 기록하는 일을 돈만큼이나 소중하게 생각하고 있다. 고향 의성 안평에서 평생 농사에 정진하며 뼈를 깎는 심정으로 살아온 분들을 생각하며 한 땀 한 땀 꿰매는 마음으로 글을 썼다. 작은 걸음에서 움을 틔워 낙락장송이 되길 염원했다. 고단한 삶 속에서 습작(習作)을 게을리하지 않았던 것은 스스로의 행복을 찾는 방법이며, 끈기 있는 글쓰기의 시작은 천성적인 시골 사람으로서의 삶에 대한 애착이며, 대물림이며, 고향에 대한 순박한 추억 찾기라 생각한다. 그 결과 소설 『가도실 칸타타』를 완성할 수 있었다.
목차
하늘에서 첫 강하를 했다
사람이 먼저다
고향 가도실(佳道實)은?
엄마 죽지 마!
그냥
우리 엄마
낳아라, 또 낳아라
새어머니
시집살이
고향 가도실을 지키다
그 도시락과 새어머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