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김지윤
서울대학교 음악박사이자 소리연구회 소리 숲 대표, 소리 숲 우리공간기획 대표다. 부산예술고에 피아노 전공으로 입학 후 피리로 전과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에서 피리전공으로 학사를 동대학원에서 음악학석사와 음악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가무형문화재 피리정악 및 대취타 이수자로 2015년에는 한국 연주사에 의미 있는 족적을 남긴 연주자라는 호평을 받으며 한국평론가협의회 심사위원선정 특별예술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미국 음향회사 돌비 초청독주회를 비롯 국내외 다양한 연주활동을 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대학과 예고에서 20년간 강의를 했으며, 지금은 바다를 품은 도시 부산에서 매일 반려견과 산책하며 부산을 아티스트의 시선으로 수년째 바라보고 있다. BeFM 부산영어방송과 TBN 부산교통방송에서 국악코너를 2년간 진행했고, 국제신문 필진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머리말
1. 제례악에 내포된 음양오행 사상
2. 국악 선입견과 마주하기
3. 말모이와 국악
4. 느린 호흡의 의미
5. 진흙 속의 진주 국악
6. 국악, 월드뮤직을 꿈꾸다
7. 음악과 통일
8. 전통 가곡인가, 한국 가곡인가
9. 조선 시대 선비들의 음악문화
10. 힐링의 악기 깡깡이 해금
11. 생각보다 잘 어울리는 피리와 하프
12. 사랑방 음악, 더 풍성해지길
13. 전통음악, 해설이 필요해
14. ‘시립’과 ‘국립’의 앙상블
15. 강강술래와 농악
16. 귀하디귀한 악기 편경
17. 단절은 또 다른 생성을 낳는다
18. 공연예술 패러다임 바뀐다
19. 방탄소년단 슈가와 대취타
20. 불교의식 음악과 춤 단상
21. 온고지신과 뉴트로
22. 농악 ‘함께’와 ‘신명’의 미학
23. 융합 우리를 아름답게 하리라
24. 북은 소, 얼후는 구렁이가죽?
25. 동래부동헌에 풍악이 울리다
26. 관현맹인과 여악의 전통
27. 옛것에서 발견하는 변용
28. 한국음악의 ㅤㄸㅖㅤ루아를 찾아서
29. 한국피리, 서양피리를 만나다
30. 국제성을 띤 악기 태평소
31. 현대음악에 맞는 기보법 필요
32. 판소리 공연의 매력
33. 수신을 위한 음악 선비음악
34. 다시 듣고 싶은 장인의 북소리
35. 국악의 탈 장르화를 꿈꾸며
36. 문화 콘텐츠 보고 기록유산
37. 태평양 건넌 조선 궁중악사들
38. 길들여진다는 것에 대하여
39. 유형과 무형의 문화유산이 만날 때
40. 새로운 음악생태계 모색
41. 토착화한 망자를 위한 노래
42. 부산대첩과 군악 대취타
43. 해운대 해변, 음악의 성지가 되길
44. 문화자산을 물려받는다는 것
45. 부는 악기는 왜 모두 ‘피리’일까?
46. 음높이의 기준 정하고 새 음악과 악보 만든 세종대왕
47. 악보 없이 입으로 전해진 음악 구음
48. 복식을 알면 음악의 장르가 보인다
49. 전통음악 합주할 때 지휘는 누가 하지?
50. 8가지 재료로 만든 전통악기
51. 애원성이 깃든 소리 아쟁
52. 합주 땐 다정한 부부처럼 조화로운 ‘금’과 ‘슬’
53. 소리의 어울림이 형제처럼 좋은 ‘훈’과 ‘지’
54. 금속 현악기 양금
55. 궁중 제례악에 사용되는 ‘축’과 ‘어’
56. 궁중 연향과 제례에 등장하는 북’
57. 한국 클래식 음악 어떻게 들을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