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종교
원불교 상.장례문화 연구 이미지

원불교 상.장례문화 연구
원불교출판사 | 부모님 | 2023.08.21
  • 판매가
  • 20,000원
  • S포인트
  • 1,0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3x22.5 | 0.499Kg | 328p
  • ISBN
  • 9788980764051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작가 소개

지은이 : 안훈
원광대학교 원불교학 학사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석사원광대학교 불교학 박사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강사 역임재단법인 원불교 장례식장 총괄 책임자 역임현 원불교 김제교당 교감교수

  목차

책머리에

Ⅰ. 연구를 시작하며

Ⅱ. 상·장례문화의 개념과 장례풍습

1. 상·장례문화의 개념과 범주
2. 풍습에 따른 장례 형태
1) 화정문화
2) 매장문화
3) 자연장문화
4) 빙장문화
5) 기타 장례 형태
3. 한국의 장례풍습
1) 이별의식의 장례
2) 조상숭배의 장례
3) 고분과 문헌 속의 장례
4) 한국 장사 정책의 변화
(1) 국내 장사문화의 변천
① 선사시대
②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
③ 고려시대
④ 조선시대
⑤ 일제 강점기
⑥ 해방 이후부터 근대
⑦ 현대의 장례문화와 일제 강점기
(2) 국내 장사제도의 변화

Ⅲ. 종교의 내세관과 장례문화
1. 각 종교의 내세관
1) 이웃 종교
2) 원불교
2. 각 종교의 장례 문화
1) 유교
2) 불교
3) 개신교
4) 천주교

Ⅳ. 원불교 상·장례문화의 전개
1. 한국 장례풍습의 원불교적 수용
1) 『원불교 예전』의 상·장례
2) 전통장례의 원불교적 수용
3) 전통장례용품을 수용한 원불교의 장례용품
2. 원불교의 장의 업무 특징
1) 원불교 장의 관련 교례
2) 원불교 장의위원회 조직과 의식 진행
(1) 장의위원회 조직
(2) 장의위원회 담당 업무 분장
(3) 장의 업무 순서
(4) 장의 형태별 의식 진행 식순
3) 교당 현장교화에서의 상·장례의식 진행
3. 원불교 염습 매뉴얼
4. 상·장례 진행 서비스와 매뉴얼
1) 상·장례 서비스
2) 장례 상담 매뉴얼
(1) 응대 매뉴얼
(2) 인사 매뉴얼
(3) 고객 상담 매뉴얼
(4) 조문 예절 매뉴얼
3) 제례 발인 매뉴얼
4) 상례 예절 매뉴얼

Ⅴ. 원불교 상·장례문화의 방향과 과제
1. 원불교 상·장례문화의 방향
1) 의례간소화
2) 복지사업화
3) 경제자립화
4) 현장교화의 장
2. 원불교 상·장례문화의 과제
1) 상·장례의 새로운 의미 부여
2) 장례식장의 대형화, 전문화
3) 자연장의 보급 및 확대
4) 정보통신서비스 활용
5) 공존의 장례문화

Ⅵ. 글을 맺으며
참고 문헌

〈부록〉
별첨1 : 삼베 수의(또는 갖은 수의) 장의용품
별첨2 : 전통(유교식) 장례문화 : 전통장례의 19가지 절차
별첨3 : 원불교 장의 형태별 의식 진행 식순
별첨4 : 원불교 상·장례의식 진행 식순(화장장, 특별천도재 신규)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