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김정욱
어릴 때부터 역사와 과학, 사회 이슈에 관심이 많아 신문으로 관련 지식을 많이 접했다. 기자가 된 후에는 정치부와 사회부에서 주로 활동했고, 특히 사회적 이슈가 되는 것들을 집중 취재하며 기사를 쓰고 있다.
들어가며
제1부 우주의 시작, 그리고 이곳을 탐구하기 위한 인류의 지식 ‘천문학’
무한한 우주 시작은 137억 년 전 먼지보다도 작은 점
우주는 얼마나 크고, 과연 끝은 있을까?
천문학은 어떻게 발전해 왔나?
천문학자는 밤에 일하고 낮에 잘까?
제2부 아직도 베일에 가려져 있는 태양계
우리은하의 변방 태양… 우리에겐 생명의 근원
태양계의 첫 번째 행성 수성, 2025년 베일 벗을까?
지구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샛별’… 실제의 환경은 지옥
멀고도 가까운 지구의 이웃 행성 화성
사람이 화성에 가기 위한 해결 과제들
지구의 안전지킴이 목성
태양계 행성 중 가장 많은 위성을 거느린 토성
누워서 자전하는 특이한 행성 천왕성
한 계절이 40년인 해왕성… 최근 구름이 사라진 이유는
명왕성은 왜 태양계에서 퇴출됐나?
태양계 행성 영어 이름은 어떻게 지어졌을까?
단주기 혜성의 기원 카이퍼 벨트
수수께끼 품은 태양계 끝자락 오르트 구름
제3부 과학자들 관심받는 목성과 토성의 위성들, 생명체 존재 기대감 가득
생명체 거주 가능성 높은 목성의 위성 가니메데
화산 활동이 활발한 ‘불의 천체’ 이오
생명체 거주 가능성 높아 우주과학계 주목받는 유로파
달보다 더 밝게 빛나는 목성의 위성 칼리스토
태양계 위성 중 두 번째로 큰 타이탄
주목받지 못하다 이젠 큰 관심 모으는 엔셀라두스
제4부 인류가 처음 밟아 본 지구 외 천체 ‘달’
달을 향한 인류의 여정… 반세기 만에 다시 달로
달 착륙은 사기극? …과학적 근거로 본 진실은
달 착륙 아직도 못 믿겠다고? …달에 두고 온 인류의 흔적들
인류 최초의 달 착륙 1등에 가려진 2명의 주인공들
제5부 지구와 우주, 알수록 신기한 사실들
지구와 우주의 나이, 과학자들은 어떻게 알아냈을까?
별들의 집합소 은하에도 구성단위가 있다
우주도 기네스북 기록을 가지고 있다
우리은하의 모습 어떻게 알아냈을까?
지구인의 우주 시야를 넓혀준 안드로메다은하
우리는 모두 별의 자손… 그 이유는?
제6부 우주를 탐구하기 위해 인류가 만들어 낸 것들
우주의 영원한 항해자, 지구인의 전령 보이저호
화성 탐사의 큰 획을 그은 ‘스피릿’과 ‘오퍼튜니티’
나사의 야심작 퍼서비어런스, 화성서 생명체 흔적 찾을까?
인류에게 우주 크기를 확장해 준 허블우주망원경
인류의 우주 개념을 바꾸고 시야를 넓힌 사진 한 장
우주를 보는 ‘인류의 눈’ 제임스웹망원경
‘암흑 우주’의 비밀, 유클리드망원경이 풀어 줄까?
‘우주과학 강국의 첫 단추’ 누리호 성공 의미는?
한국의 달 탐사선 ‘다누리’, 달 개척 선봉에 설까?
지구 위에 떠 있는 ‘눈’ 인공위성… 왜 안 떨어질까?
늘어나는 우주 쓰레기… 지구가 위태롭다
제7부 외계 생명체는 어디에 있을까? 또 우리는 그들과 언제쯤 만날 수 있을까?
이 우주에 생명체는 지구에만 존재할까?
‘콘택트’ 조디 포스터처럼 외계 생명체를 찾을 수 있을까?
외계 생명체, 다들 어디에 있을까?
외계 생명체 찾기가 ‘불편한’ 이들
그들은 정말 UFO를 타고 올까?
외계 생명체와 UFO의 연관성 얼마나 있나?
태양계를 스쳐갔던 미스터리한 ‘이것’의 정체는?
제8부 인류의 기원과 우주에서 지구 문명의 수준은?
인류의 기원은 정말 외계일까? …‘범종설’ 주장 학자들
지구 문명은 우주에서 어느 수준일까?
지구 그리고 우주의 문명 발전은 어디까지 가능할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